원전해체연구센터
수평선
- 내용
-
고리1호기 폐로 결정에 따라 부산시가 전담 조직을 신설하는 등 '원전해체연구센터' 설립에 본격 나섰다. 원전해체연구센터는 국내외 원전 해체 및 핵심기술을 연구·개발하는 곳으로 미래창조과학부가 2019년까지 1천473억원을 들여 건립하기로 한 사업이다. 현재 부산·울산·대구·광주·경북·전북·전남·강원 등 8개 광역 지자체가 유치 의향서를 제출해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시는 전담팀을 중심으로 단독 설립이 어려울 경우 울산시와 공동 설립에 나설 방침이다. 시는 고리 원전 인근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산업단지 안에 부지를 확보해 두고 있다. 부지 인근에는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중입자가속기, 수출용 신형 연구로 등 원자력 비발전 분야 대형 국책시설이 들어섰거나 들어설 예정이다. 울산시는 울주군 서생면 신고리 원전 5·6호기 인근 원자력 융합 및 에너지 특화산업단지에 원전해체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기장군에는 폐로 결정으로 2017년 6월 운영을 종료하는 고리 1호기를 비롯해 고리 2∼4호기와 신고리 1·2호기 등 원전 6기가 가동 중이다. 울주군 서생면에는 신고리 3·4호기가 올해 말과 내년 가동될 예정이고 5·6호기가 2017년경 착공 예정이다.
원전해체연구센터는 미래부가 설립계획을 세웠고 기획재정부가 예비타당성 조사를 벌이고 있다. 무엇보다 우려되는 것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부지선정이 정치적 논리에 휘둘릴 수 있다는 것이다. 정치권이 유치경쟁을 벌일 경우 지역갈등으로 번질 수 있다.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원전 해체 및 기술 자립을 위해 빠른 부지선정을 기대해 본다.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15-06-24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685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