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여파
생활경제 풀어쓰기
- 내용
기획재정부는 지난 10일 세월호 사고 이후 소비동향 분석에서 4월 세월호 사고에 따른 소비·서비스업 부진이 5월 들어 개선됐지만 1분기 평균 수준으로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전반적으로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되고 있으나 회복세가 견고하지 않고, 특히 세월호 사고 영향으로 소비와 서비스업 분야가 부진하다는 분석이다.
기재부에 따르면 4월 소매판매는 전달보다 1.7%가 줄어, 1분기 평균 소비 증가율인 0.4%에 크게 못 미쳤다. 5월부터는 세월호 참사의 영향이 조금씩 줄어들고 5월 초 연휴 효과로 소비는 조금씩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한 백화점 매출은 4월의 -1.4%에서 5월에는 2.0%로 반전됐고, 할인점도 4월의 -4.1%에서 5월에는 1.7%로 회복됐다. 4월 0.9% 줄었던 휘발유 판매도 5월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 늘어났다.
이 밖에 영화와 놀이공원 등 문화생활, 주말 고속도로 통행량 등 밑바닥 소비지표들도 나아지고 있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5월 신용카드 국내사용 금액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3.8% 늘어나는 데 그쳐 세월호 참사 전인 3월(7.0%)은 물론 세월호 참사가 있었던 4월(5.2%)보다도 더 떨어진 점은 불안한 요소로 보고 있다.
또 세월호 사고 여파로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폭이 10개월 만에 최저인 41만3천명을 기록했다. 단체행사, 회식 등이 줄어들면서 도소매숙박음식점업의 취업자 수 증가폭이 둔화하고 여가관련 서비스업의 취업자 수가 감소한 영향이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취업자가 전년 동월 대비 1만1천명 줄어들며 9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30대 취업자 수도 4만2천명 줄어들면서 넉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40 ~ 60대는 전달보다 증가폭이 둔화되긴 했지만 증가세를 이어갔다. 50대는 22만7천명 늘어나며 15개월 연속 20만명대 이상의 취업자 수 증가폭을 유지했고, 60대도 18만2천명 늘어났다. 40대도 2만2천명 증가했다.
- 작성자
- 강준규/동의대 교수·경제학
- 작성일자
- 2014-06-18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634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