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603호 칼럼

생활경제 풀어쓰기 - 부모재산과 봉양

내용

부모의 재산정도가 자식 및 손주와의 만남 횟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조사결과가 나와 주목을 끈다.

노부모의 소득이 1% 높아질수록 자식을 주 1회 만날 가능성이 2배 높아진다는 것이다. 재산이 적은 부모일수록 자녀와 만나는 횟수도 적었다.

2011년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노인실태조사에 의하면, 부유한 계층인 소득 상위 20%의 노인들은 10명 중 4명(38.0%)이 따로 사는 자녀 중 가장 친한 자식과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얼굴을 봤다. 반면, 가난한 하위 20%의 노인들은 그만큼 자식을 자주 본다는 응답이 훨씬 적었다(28.0%).

또 상위 20%의 노인들은 5명 중 1명(19.5%)이 따로 사는 손주들과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만났다. 반면 하위 20%의 노인 중에는 손주를 일주일에 한 번 만난다는 응답이 그 절반도 안 됐다(8.5%).

즉 가진 게 적은 노인들은 자식 얼굴 보는 횟수도 적어진다는 것이다. 한국·미국·영국·일본 등 OECD 15개국 3만4천544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해보면, 부모 재산에 따라 자식과 만나는 횟수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었다. 나머지 14개국은 부모의 소득과 만나는 횟수가 상관없었다.

또 노인들이 아플 때 누가 병간호를 하는가도 재산의 많고 적음이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1년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가진 게 많을수록 아플 때 며느리가 병시중을 드는 비율이 높았다.

소득 상위 20%에 드는 노인은 "어르신의 시중을 주로 누가 드느냐"는 질문에 배우자(32.3%), 맏며느리(25.2%), 딸(10.8%) 순으로 답했다. 반면 하위 20% 노인은 같은 질문에 배우자(49.7%)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음이 딸(13.2%), 차남 이하 아들(11.7%), 장남(8.6%) 등의 순이었다. 맏며느리건, 둘째 며느리건 며느리는 자식들보다 순위가 한참 뒤였다. 나이가 들어서 자식들과 자주 만나고, 아플 때 며느리 시중을 받기 위해서는 재산이 많아야 가능할 모양이다.

작성자
강준규 동의대 교수·경제학
작성일자
2013-11-13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603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