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평선 - 일본의 오만(傲慢)
- 내용
우리나라가 광복 68주년을 기념해 다양한 행사를 갖고 있을 때 일본 총리와 각료, 의원들은 망언을 일삼고 야스쿠니 신사를 찾아 전범들을 참배하는 등 오만방자한 행동을 일삼았다. 1945년 8월15일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처참하게 패전한뒤 무조건 항복을 선언했다. 68년이 지난 지금 일본은 자신들의 과오를 잊은 채 한국을 비롯한 주변국들에게 눈에 보이지 않는 총구를 다시 겨누기 시작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 15일 정부 주최 전국전몰자추도식에서 아시아 각국들에 대한 가해와 반성을 의도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일본 총리가 추도식에서 역사에 대한 사과와 반성을 하지 않은 것은 처음이다. 이날 총무상과 납치문제 담당상, 행정개혁 담당상 등 아베 내각 각료 3명과 국회의원 100여명은 2차대전 A급 전범 14명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다. 또 일본 우익단체 회원들은 2차 대전 당시 일본군 복장을 한 채 야스쿠니 신사를 찾았다.
중국은 일본의 행동에 대해 역사적 정의와 인류의 양심에 대한 공공연한 도전으로 아시아 피해국 국민의 감정을 심각히 상하게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대만은 일본이 미래지향적인 사고로 역사적 잘못에 대해 책임지는 태도를 보이고, 주변 국가들과 발전적인 좋은 관계를 유지하길 바란다고 경고했다.
박근혜 대통령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최근 우경화 흐름이 강화되고 있는 일본에 대해 과거로 돌아간다면 새로운 미래를 보지 못하는 것이라며 압박했다. 박 대통령은 양국이 진정한 협력동반자로 발전하려면 일본 정치인들이 과거의 상처를 치유해 나가는 용기 있는 리더십을 보여줘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등 피해자들에 대한 진정한 사과와 보상을 촉구했다. 일본이 과거를 반성하지 않고 오만방자한 행동을 계속할 경우 국제사회에서 고립될 수 밖에 없다.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13-08-21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591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