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산책 - 일자리 창출
- 내용
요즘 지방자치단체들의 최대화두는 일자리 창출이다. 사회에 첫 진출하는 청년들의 희망과 꿈을 꺾는 청년실업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고용 없는 성장시대’라고는 하지만 방법을 찾으면 반드시 길은 열려 있다.
부산시가 이 같은 절박성을 먼저 깨닫고 일자리 창출에 주력해 온 지 몇 년이 지났다. 특히 올해는 시정 최우선 목표를 일자리 창출로 정했다.
부산시는 올해를 ‘새로운 일자리 창출의 해’로 선포하고 12만6천개의 일자리를 만들기로 했다. 이를 위해 ‘부산시 일자리 창출본부’와 ‘새일자리기획단’을 신설하고 33개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노·사·민·정의 범시민 프로젝트인 ‘새로운 일자리 2% 더 늘리기’ 운동도 벌여 각계각층의 참여를 넓혀가고 있다.
부산은 1970∼80년대 경공업에서 중화학공업으로의 구조조정에 실패하고 대기업이 별로 없어 상황은 다른 도시보다 열악하다. 그러나 적절한 아이디어를 내고 전방위적으로 펼치는 노력은 상당한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시 소속 전체 공무원들의 월급을 1% 이내 범위에서 모아 고용창출을 지원하는 ‘일자리 나누기 운동’까지 전개한다. 이렇게 마련한 모금액은 청년인턴 등을 채용하는 경비로 활용한다. 시 공무원들이 고통을 분담하고 솔선수범 한다는 차원에서 보면 매우 고무적이다.
부산시의 각종 노력은 특화된 일자리 창출사업에서도 뚜렷이 확인할 수 있다. 부산시는 지난 27일 한국여성경제인협회부산지회와 ‘여성기업 1사 1명 여성일자리 창출사업’ 협약을 체결했다.
다음달 7일에는 주한 유럽연합상공회의소와 공동주최로 첫 외국계 회사 채용박람회도 연다. 기업을 직접 방문해 상담을 통해 일자리를 발굴하고 구직자와 기업을 연결해 주는 ‘찾아가는 일자리발굴단’ 사업은 지난해 571명을 취업시키는 성과를 올렸다.
부산시의 이 같은 다각적이고도 눈물겨운 노력들이 상당한 성과를 내 구직자들에게 희망을 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12-02-29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514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