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칼럼

경제 산책 - 동남권 신공항 경제성

내용

부산과 밀양이 동남권 신공항 유치를 두고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정부는 경제성을 이유로 "가덕도와 밀양 양쪽 다 후보지로 적절치 못하다"는 결론을 내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서 떠오르는 대안이 현재의 김해공항 확장 안이다. 그러나 김해공항 확장 안은 이미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해공항 확장은 900m만 확장해도 3조2천억원∼4조2천억원이 드는 것으로 2009년 용역에서 나왔다. 10년 뒤 항공수요를 내다보고 규모를 키우면 7조5천억원까지 들어가 가덕도 조성안과 별 차이가 나지 않는다.

특히 김해공항이 비좁아 신공항 건설안이 나온 것인데 확장해서 쓰자는 말은 논의자체를 5∼6년 전으로 되돌리는 발상이다. 김해공항 확장 안은 여전히 북쪽 김해 신어산·돛대산 등의 장애물 위험이 상존한다. 2002년 중국 민항기의 돛대산 추락사고로 190여명이 사망하는 대참사를 빚은 바 있다. 소음피해 권역은 현재의 700여 가구에서 10배인 7천여 가구 이상으로 늘어나 김해공항 인근 주민이 강력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가덕도 안에 대해서는 이미 경제성을 입증할 만한 건설계획이 부산시에서 나와 있다. 가덕도 신공항 공사비는 9조8천억원(밀양 10조3천억원)이지만 단계별 건설을 하면 훨씬 줄일 수 있다. 첨단 매립방식을 사용하면 공사비를 7조9천억원으로 낮출 수 있다. 여기에다 1단계로 5조9천억원만 들여 현재 김해공항 이용객의 3배인 연간 2천500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항을 개발한 뒤 수요를 봐가며 2단계로 2조원을 들여 연간 3천400만명 수용 규모의 공항건설안이 가능하다.

그런데도 정부는 정치논리로 판단하고 있는 듯하다. 경제성을 40%로 둔 것 자체도 인천공항(경제성 30%) 때의 평가 배점과는 다르다.

김해공항 이용승객은 계속 증가하고 있어 대규모 민자를 들여서라도 가덕도로의 이전 확장은 꼭 필요한 시점이다.

 

작성자
부산이야기
작성일자
2011-03-30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