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바로가기

부산광역시 주거복지센터

  • 주거복지센터 안내
    주거복지센터 안내
    • 센터소개
    • 주거복지 관련법령
    부산광역시 부산도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 사업안내
    사업안내
    • 주거복지 상담
    • 이사비지원
    • 저소득층 주거환경개선(간편집수리)
    • 주거위기가구 긴급주거지원
    • 비주택거주자 주거상향지원
    부산광역시 부산도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 알림마당
    알림마당
    • 공지사항
    • 온라인상담
    • SMS알리미 신청
    • FAQ
    • 주거복지 관련기관
    부산광역시 부산도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 공공임대주택
    공공임대주택
    • 공공임대주택소개
    • 영구임대주택
    • 매입임대주택
    • 전세임대주택
    • 행복주택
    • 국민임대주택
    • 재개발 임대주택
    • 분양전환공공임대주택
    • 청년임대주택
    • 임대주택찾기
    부산광역시 부산도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로그인
회원가입
language close
  • KOR
전체메뉴
주거복지센터 안내
  • 센터소개
  • 주거복지 관련법령
사업안내
  • 주거복지 상담
  • 이사비지원
  • 저소득층 주거환경개선(간편집수리)
  • 주거위기가구 긴급주거지원
  • 비주택거주자 주거상향지원
알림마당
  • 공지사항
  • 온라인상담
  • SMS알리미 신청
  • FAQ
  • 주거복지 관련기관
공공임대주택
  • 공공임대주택소개
  • 영구임대주택
  • 매입임대주택
  • 전세임대주택
  • 행복주택
  • 국민임대주택
  • 재개발 임대주택
  • 분양전환공공임대주택
  • 청년임대주택
  • 임대주택찾기
 
  • 주거복지센터 안내
    • 센터소개
    • 주거복지 관련법령
  • 사업안내
    • 주거복지 상담
    • 이사비지원
    • 저소득층 주거환경개선(간편집수리)
    • 주거위기가구 긴급주거지원
    • 비주택거주자 주거상향지원
  • 알림마당
    • 공지사항
    • 온라인상담
    • SMS알리미 신청
    • FAQ
    • 주거복지 관련기관
  • 공공임대주택
    • 공공임대주택소개
    • 영구임대주택
    • 매입임대주택
    • 전세임대주택
    • 행복주택
    • 국민임대주택
    • 재개발 임대주택
    • 분양전환공공임대주택
    • 청년임대주택
    • 임대주택찾기
부산주거포탈
부산주거포탈
공공임대주택
공공임대주택
  • 공공임대주택소개메뉴 활성화
  • 영구임대주택이동
  • 매입임대주택이동
  • 전세임대주택이동
  • 행복주택이동
  • 국민임대주택이동
  • 재개발 임대주택이동
  • 분양전환공공임대주택이동
  • 청년임대주택이동
  • 임대주택찾기이동
  • 공공임대주택소개
  • 영구임대주택
  • 매입임대주택
  • 전세임대주택
  • 행복주택
  • 국민임대주택
  • 재개발 임대주택
  • 분양전환공공임대주택
  • 청년임대주택
  • 임대주택찾기
  • 공공임대주택소개
  • 영구임대주택
  • 매입임대주택
  • 전세임대주택
  • 행복주택
  • 국민임대주택
  • 재개발 임대주택
  • 분양전환공공임대주택
  • 청년임대주택
  • 임대주택찾기
  • 공공임대주택소개
  • 영구임대주택
  • 매입임대주택
  • 전세임대주택
  • 행복주택
  • 국민임대주택
  • 재개발 임대주택
  • 분양전환공공임대주택
  • 청년임대주택
  • 임대주택찾기

공공임대주택소개

  • 공공임대주택소개메뉴 활성화
  • 영구임대주택이동
  • 매입임대주택이동
  • 전세임대주택이동
  • 행복주택이동
  • 국민임대주택이동
  • 재개발 임대주택이동
  • 분양전환공공임대주택이동
  • 청년임대주택이동
  • 임대주택찾기이동
공공임대주택소개
Home  >  공공임대주택  >  공공임대주택소개
홈으로 이동
  • 공공임대주택 대분류 메뉴 펼치기
    • 주거복지센터 안내
    • 사업안내
    • 알림마당
    • 공공임대주택
  • 공공임대주택소개 대분류 공공임대주택소개 하위 메뉴 펼치기
    • 공공임대주택소개
    • 영구임대주택
    • 매입임대주택
    • 전세임대주택
    • 행복주택
    • 국민임대주택
    • 재개발 임대주택
    • 분양전환공공임대주택
    • 청년임대주택
    • 임대주택찾기
블로그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트위터
링크복사
프린트
공공임대주택소개

공공임대주택

  • 공공임대주택소개
  • 영구임대주택
  • 매입임대주택
  • 전세임대주택
  • 행복주택
  • 국민임대주택
  • 재개발 임대주택
  • 분양전환공공임대주택
  • 청년임대주택
  • 임대주택찾기

공공임대주택이란 임대 또는 임대한 후 분양전환을 할 목적으로
공급하는 주택(「주택법」 제2조제1호에 따름) 을 말합니다.

공공임대주택 종류

영구임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을 지원받아 최저소득계층의 주거안정을 위하여 50년이상 또는 영구적인 임대를 목적으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
매입임대
LH나 도시공사가 주택을 매입하여 수리, 도배 후 저렴하게 임대하며 저소득층, 청년, 신혼부부 등 다양하게 입주 가능한 공공임대주택
전세임대
도심 내 최저소득계층이 현 생활권에서 거주하도록 기존 주택에 대해 전세계약을 체결한 후,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사업으로 전세보증금의 95%를 낮은 금리로 지원(대출)
공공임대
영구임대주택을 대체할 목적으로 국가재정 또는 국민주택기금을 지원받아 일정 기간 임대를 목적으로 건립된 85㎡ 이하의 주택
재개발임대
주택재개발사업(조합)에서 건립한 임대주택을 부산광역시장이 무주택 시민을 위해 매입하여 부산도시공사에서 임대하고 있는 국민임대주택(30년 임대)
청년임대
국가 재정 지원이 없는 자체사업으로, 기존주택을 매입하여 부산의 청년층과 신혼부부에게 임대시세의 60~80%범위에서 저렴하게 공급하는 주택
국민(순환)임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이나 주택도시기금의 자금을 지원받아 저소득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하여 30년 이상 장기간 임대를 목적으로 공급하는 주택
행복주택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주거약자 등의 주거비 부담경감을 위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곳에 짓는 공공임대주택

신청자격

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무주택구성원으로서 소득 및 자산보유 기준에 해당하는 사람. 1세대 1주택만 신청가능
무주택세대구성원 : 다음 전원(이하 무주택세대구성원)이 주택(분양권등 포함)을 소유하고 있지 아니한 세대의 구성원을 말합니다.

세대구성원(자격검증대상)
swipe좌, 우 드래그가능
세대구성원 신청자격표
세대구성원(자격검증대상) 비고
  • 신청자
  • 신청자의 배우자
신청자와 주민등록 상 세대 분리되어 있는 배우자(이하 '분리배우자') 포함
  • 신청자의 직계존속
  • 신청자의 배우자의 직계존속
신청자와 세대별 주민등록표상에 함께 등재되어 있는 사람 및 신청자의 분리배우자와 세대별 주민등록표상에 함께 등재되어 있는 사람에 한함
  • 신청자의 직계비속
  • 신청자의 직계비속의 배우자
  • 신청자의 배우자의 직계비속
신청자와 세대별 주민등록표상에 함께 등재되어 있는 사람에 한함

※ 「민법」상 미성년자(만 19세 미만)는 공급 신청할 수 없습니다. 단, 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미성년자도 공급신청 가능합니다(법정대리인의 동의 또는 대리 필요). - 자녀가 있는 미성년 세대주
- 직계존속의 사망, 실종선고, 행방불명 등으로 형제자매를 부양하여야 하는 미성년 세대주
- 부 또는 모가 외국인인 한부모가족으로서 미성년 자녀(내국인)가 세대주인 경우

※ 외국인은 신청 할 수 없습니다.

※ 일반공급 자격 해당여부 및 배점적용은 공급신청자 본인을 기준으로 합니다.

※ 주택소유여부, 소득자산 산정, 중복신청 및 중복입주 확인은 무주택세대구성원 전원(해당세대)을 대상으로 합니다.

※ 1세대 1주택 신청·공급원칙에 따라 임대주택에 거주중인 해당세대 중 일부가 공급신청 시에는 입주 전 세대 분리하여야 합니다.

소득기준

통계청이 발표하는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단위:원)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구 분 2023년 2022년 (변동분)
금 액 6,509,452 6,208,934 +300,518

*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분기별 가계소득동향 합계의 산술평균임
- 6,509,452원 (1분기 6,779,243원 2분기 6,283,756원 3분기 6,522,699원 4분기 6,452,108)

※ 단, 태아를 포함한 가구원 수가 4명 이상인 세대는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 적용

통계청이 발표하는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

(단위:원)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표
구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2023년 3,353,884 5,005,376 6,718,198 7,622,056 8,040,492
2023년 3,212,113 4,844,370 6,418,566 7,200,809 7,326,072
(변동분) +141,771 +161,006 +299,632 +421,247 +714,420

※ 6인 이상 가구는 통계청이 발표하는 5인가구 소득에 1인당 평균금액 (661,147원) 합산하여 산정
* (6인 가구) : 8,701,639원 (7인 가구) : 9,362,786원

* 1인당 평균금액 = (5인가구 월평균소득 - 3인가구 월평균소득) / 2

* 통계청 발표일(‘23. 2. 23.)

「국민기초 생활보장법」 제2조제11호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단위:원)

국민기초 생활보장법 제2조제11호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표 - 구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3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인가구
구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7인 가구
2023년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6,330,688 7,227,981 8,107,515

※ 8인 이상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 1인 증가시마다 879,534원씩 증가(8인가구: 8,987,049원)

부동산가액

(산정기준)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제42조제1항에 따른 보험료 부과점수의 산정방법에서 정한 재산등급 25등급에 해당하는 재산 금액의 상한과 하한을 산술평균한 금액

(단위:만원)

보험료 부과점수의 산정방법에서 정한 재산등급 25등급에 해당하는 재산 금액의 상한과 하한을 산술평균한 금액
구 분 2023년 2022년 (변동분)
금 액 21,550 21,550 변동없음

※ 통계청 발표일(‘22. 12. 01.)

총자산가액

(산정기준)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른 소득3분위, 30~39세 가구, 30세 미만 가구, 소득2분위의 순자산 평균값 (십만원 단위에서 반올림)

(단위:백만원)

보험료 부과점수의 산정방법에서 정한 재산등급 25등급에 해당하는 재산 금액의 상한과 하한을 산술평균한 금액
구 분 소득3분위 (소득3분위 105%) 30 ~ 39세가구 30세미만가구 소득2분위
2023년 361 379 299 85 255
2022년 325 341 288 86 242
(변동분) +36 +38 +11 -1 +13

※ 통계청 발표일(‘23. 02. 06.)

자동차가액

(산정기준) 국토교통부 장관이 정하는 금액*에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전년도 운송장비 소비자물가지수를 곱하여 산정한 금액 (천원단위 이하버림)

※ (’21.4.13. 이후) 3,500만원

(단위:만원)

전년도 운송장비 소비자물가지수를 곱하여 산정한 금액
구분 운송장비
물가지수
자동차가액
공공분양·공공임대·장기전세 영구임대·국민임대·행복주택
2023년 1.0525 3,683
2022년 1.0162 3,557
(변동분) 0.0363 +126

신청방법

01. 인터넷 청약 (LH)
    Step 1

    온라인 신청

    Step 2

    서류 제출 대상자
    서류 접수

    Step 3

    서류제출 대상자 선정, 발표

    Step 4

    무주택 / 소득 / 자산조사

    Step 5

    무주택 /소득/ 자산 소명처리

    Step 6

    당첨자 발표

    Step 7

    계약 체결

    02. 방문 및 우편접수 (BMC)
    Step 1

    모집공고

    Step 2

    신청서 및 서류 제출

    Step 3

    무주택 / 소득 / 자산조사

    Step 4

    무주택 / 소득 / 자산 소명처리

    Step 5

    당첨자 발표

    Step 6

    계약 체결

대표전화
051-810-1360(동부권) 051-257-9270(서부권)
상담가능시간 : 평일 09:00 ~ 18:00(주말, 공휴일 제외)
점심시간 : 12:00 ~ 13:00
동부권 주거복지센터
부산진구 신천대로 156, 부산도시공사 1층
서부권 주거복지센터
서구 구덕로164, 1층 (토성역 9번출구 앞)
부산광역시 주거복지센터
  • 사이트맵
부산광역시 주거복지센터(홈페이지)(C) 2023 Busan Metropolitan City. All rights reserved. DESIGN BY 디자인을담다
Login
웹접근성 인증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