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2�� �����鼭 �λ걤���� ����Ű�� ġ�ø� ������������ �̵��մϴ�

��1�� ����������2�� �����ι��� ����� ��ȹ��3�� �������η���ü��Ϻ���

 

2�� �����ι��� ����� ��ȹ��7�� ���ð�ȹ

1�� �����
2�� ���ð�ȹ�ü�
3�� �������ѱ�����
4�� ���ɻ�
5�� ������
  
 

1.도시계획구역  2.도시기본계획
3.도시계획 현황  4.센텀시티개발  5.동ㆍ서부산권 개발

 

   2. 도시기본계획

도시기본계획은 국가계획 등 상위계획을 수용하고 도시전체의 장기적인 발전방향과 미래상을 제시하며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을 동시에 포괄하는 종합적인 계획으로서 당해 도시가 장래에 지향하여야 할 장기적인 도시개발의 전략과 방향 제시 및 각종 계획의 기본이 될 수 있는 부문별 도시개발지표를 설정하는 계획이다.


부산도시기본계획의 변천

구분

단위

1972년

1985년

1992년

1996년

기준년도


1972년

1980년

1990년

1994년

목표년도


1986년

2001년

2011년

2011년

도시계획구역

시가화 면적

주거용지

상업용지

공업용지

384.58

156.15

99.83

19.31

37.01

569.00

163.90

107.22

18.33

38.35

805.47

187.12

121.47

20.29

45.36

1,052.85

198.21

123.31

24.19

50.71

인 구

만명

270

480

480

450

도시개발

기본방향


·건전한 도시
 기반의 구축

·괘적한 생활환경의  조성

·도시기능의 합리적  정비

·사회 후생의 증진

·도시생활권 광역화  및 기존 시가지 인  구 집중억제

·광역권 종합 계획에
 의한 지역기능 공간의  조성

·인공 토지개발과
 해안선의 확정

·도시환경의 인간화를
 위한 재정비 계획

·상위 계획에 의한
 제한계획

 

·도시내 지역간 균형  개발

·쾌적한 도시환경
 창출

·도시경제의 고도화

·지역경제권의 발전  선도

·국제적 도시위 상
 정립
 

·3개권역 설정 특화개발

·공간구조의 다핵화

·지역경제의 활성화 유도

·도시내외 교통소통원활

·쾌적한 도시환경조성과  관리

·해양수변형 관광개발

 

미래상


·국제도시

·남부개발권의
 기간도시

·수륙관문으로서
 항만도시

·상공업에 역점을
 둔 생산도시

·자연미와 인공미가
 조화된 관광도시
 

·국토개발의 주역으로  서 중추관리기능도시

·국제 및 연안해운의
 거점인 항만도시

·공업입지 및 자원
 기지로서 상공업에
 역점을둔 생산도시

·자연미와 인공미가
 조화된 관광도시

 

·국제교역 및 국제
 활동중심지

·서울시 대응거점이  자 국제화 부도심

·광역서비스 및 첨단
 기술확산의 중심
 도시

·고루 잘사는 도시,
 쾌적한 도시

·개성있는 도시

·환태평양 동북아
 관문도시

·수도권 대응 거점도시

·동남경제권 중추도시

·친환경적 해양도시



 

 

 

  가. 2011년 부산도시기본계획(1997∼2011년)

(1) 계획의 개요

  ○ 시간적 범위 - 기준년도 : 1994년, 목표년도: 2011년

  ○ 공간적 범위 - 1,052.845㎢

      기정 805.47㎢에 기장군(220.293), 용원 편입지(0.694), 항만구역(24.5), 어항구역(1.488), 시랑대 매립(0.4)
      을 추가

  ○ 1단계(1997∼2001), 2단계(2002∼2006), 3단계(2007∼2011)

 

(2) 21세기 도시 여건변화 추세

 (가) 세계화

  ○ 국가간 경쟁의 가속화로 도시의 국제경쟁력 심화

  ○ 산업구조의 고도화로 도시경제기반의 강화

  ○ 첨단정보통신망을 포함한 사회간접자본시설의 확충

 

 (나) 지방화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역할분담 및 조정

  ○ 민간자본의 도입과 정부와 민간간의 협력체계구축

  ○ 도시개발에 대한 관심과 계획과정의 주민참여욕구 증대

 

 (다) 광역화

  ○ 광역시설의 설치와 광역적 토지이용을 위한 관리체계 확대

  ○ 지역간 기능분담과 상호협력을 통한 경쟁력 향상

  ○ 지역간 광역교통망 및 광역통신망 구축

 

 (라) 첨단화

  ○ 산업구조의 고도화, 첨단화, 전문화

  ○ 산업간 경쟁심화와 특화산업의 연대

  ○ 고속정보교류망의 형성과 정보공유의 보편화

 

 (마) 친환경화

  ○ 환경친화적 지속가능한 개발 추진

  ○ 전통문화 유산의 발굴·보전과 쾌적한 정주환경의 창출

  ○ 양적 팽창으로 부터 삶의 질적수준 제고 요청 증대

 

(3) 21세기 부산의 도시성격

 (가) 발전방향

21세기 세계첨단해양도시(Super Marine Technopolis21: SMART21) 건설을 도시개발목표로 설정하여 Tri-Port 즉 Air-Port, Sea-Port, Tele-Port를 갖춘 명실공히 세계 일류 수준의 비약적 도시를 지향

 

 (나) 도시성격

  ○ 항만물류도시 : 세계5대 중심항에 속하는 항만·물류기능을 갖춘 선진도시

  ○ 정보산업도시 : 정보화 시대에 부응하는 정보, 첨단산업구조를 갖춘 생산도시

  ○ 문화관광도시 : 문화·예술·관광이 조화롭게 살아 숨쉬는 국제도시

  ○ 복지환경도시 : 삶의 질이 향상된 쾌적한 환경속에 풍요롭게 살아가는 복지도시

 

(4) 21세기 부산광역시의 미래상

  ○ 국제적 차원 - 환태평양·동북아 관문도시

  ○ 국가적 차원 - 수도권 대응 거점도시

  ○ 지역적 차원 - 동남경제권 중추도시

  ○ 도시적 차원 - 친환경적 해양도시

 

(5) 도시기본구상

 (가) 도시지표 설정

  ○ 인구지표 기준

    - 다양한 방식의 산술적 방법에 의한 추계인구 전망

    - 가덕도 신항만 및 배후도시 건설, 대규모 해안매립 등 새로운 개발가능지와 기개발지의 재건축·재개발에
       따른 사회적 증가인구의 고려

    - 신개발지, 매립가능지, 이전적지는 목표년도까지 60%정도 개발될 것으로 추정

    - 불량주거지, 노후주거지는 목표연도까지 1/2정도 개발될 것으로 추정

    - 현재 수준의 1인당 주거면적 13.4㎡/인 보다 비교적 개선된 15.0㎡/인을 기초단위로 가정하여 선정

 

□ 인구지표의 설정

(단위 : 천인, %)

구 분

1994

2001

2006

2011

연평균증가율

최소자승법 (1차식)

3,912

4,180

4,380

4,600

0.95

Logistic

Curve방식

K = 480만

3,912

4,010

4,150

4,420

0.72

K = 500만

3,912

4,030

4,180

4,480

0.80

지 수 함 수 법

3,912

4,090

4,270

4,540

0.88

평 균

3,912

4,078

4,245

4,510

0.84

계 획 인 구 지 표

3,912

4,070

4,240

4,500

0.82

 

□ 경제산업지표

구 분

단 위

1994

2001

2006

2011

총 인 구

천 인

3,912

4,070

4,240

4,500

15세 이상 인구

천 인

2,835

3,094

3,308

3,573

경제 활동 인구

천 인

1,698

1,918

2,143

2,430

경제활동참가율

59.9

62.0

64.8

68.0

취 업 인 구

천 인

1,627

1,851

2,079

2,369

취 업 률

95.8

96.5

97.0

97.5

1차 산업 인구

천 인

36

45

33

32

2차 산업 인구

천 인

464

548

628

711

3차 산업 인구

천 인

1,127

1,258

1,418

1,626

 

□ 생활환경지표

구 분

단 위

1994

2001

2006

2011

비 고

인구

계 획 인 구

천 인

3,912

4,070

4,240

4,500


연평균 증가율

-

0.57

0.82

1.20


주택

주택 보급률

69.6

80.2

84.5

85.7


가구당 인구

3.5

3.2

3.0

2.8


총 가구수

천가구

988

1,109

1,224

1,382


교통

도 로 율

14.8

18.0

20.0

22.0


승용차보유대수

천 대

367

1,060

1,488

1,870


통신

전화가입률

대/백인

38.3

44.7

47.0

50.0


우체국당 인구수

천 인

21

17

16

15


전신전화국

개 소

10

14

16

18


상수도

상수도보급율

98.2

99.0

99.2

99.4


1인 1인 급수량

420

445

460

475


총급수량

천 톤/일

1,599

1,793

1,935

2,125


하수도

1일 1인 오수량

378

398

410

420


총오수량

㎘/일

1,437

1,614

1,742

1,912


하수종말처리장

개 소

3

6

9

15


청소

쓰레기총배출량

톤/일

4,590

4,680

4,750

4,950


분뇨총배출량

㎥/일

2,691

2,848

2,967

3,149


 

□ 복지환경지표

구 분

단 위

1994

2001

2006

2011

비 고

보건

보 건 소

개 소

12

14

15

16


병 상 수

18,624

23,040

24,925

32,000


의 료 인 수

인/만

13

15

18

20

치과의사 포함

교육

시설

초 등 학 교

개 소

245

289

316

342


학급당 학생수

44

38

35

30


중 학 교

개 소

149

166

191

215


학급당 학생수

52

45

40

35


고 등 학 교

개 소

116

129

154

179


학급당 학생수

48

42

40

35


대 학 교

개 소

25

28

29

30


사회

복지

문화

시설

종합사회복지관

개 소

39

60

75

90


노인 복지 시설

개 소

10

18

22

28


공 공 도 서 관

개 소

12

21

32

45


장 서 수

천 권

864

1,050

1,600

2,250


박 물 관

개 소

9

11

14

16


동 · 식 물 원

개 소

2

3

4

6


 

 (나) 목표와 전략

(목표) 환태평양 경제권의 중심기지구축,지정학적입지조건의 극대화, 국제업무 지원시설의확충. 수도권의 경제,정보,금융기능분담,산업구조의 고도화,첨단화, 생산,물류,유통기능의 거점화. 광역시 중추기능의 강화, 산업구조의 고도화,첨단화, 지역경제의 자족화와 제조업 활성화. 해양위락형 관광벨트조성, 삶의 질적 수준 향상유도, 개성있는 도시환경의 창출.  (전략) 국제hub항 개발및 물류 유통거점화. 국제업무 금융및 투자기능 활성화, 신산업단지 조성및 산업고도화, 도시구조개편 및 시가지 개발, 광역교통망 및 국제공항 정비, 휴식,여가 공간조성등 각목표와전략이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되어있습니다

 

 (다) 도시기본골격

○ 2도심 : ① 기존도심(국제무역·업무·유통기능), ② 서면도심(행정·금융·상업·문화기능)

○ 6부도심 : ① 하단(휴양·교육기능) ② 동래(관광·위락기능)

                      ③ 해운대(정보·업무·관광기능) ④ 사상(공업·광역서비스기능)

                      ⑤ 가덕.녹산(첨단산업·연구·물류거점기능) ⑥ 구포(유통·광역서비스기능)

○ 2지구중심 : ① 기장(해안관광·전원휴양기능), ② 구서(주거·교육기능)

※ 3개권역설정 특화개발 : ① 서부권(생산·물류거점) ② 중부권(무역·금융거점)

                                               ③ 동부권(정보·관광거점으로 특화)

 

 (라) 시가지 정비계획

○ 도심지개발

  ·도시구조 개편에 대비한 개발정책방향의 제시

  ·도시개발에 따른 부정적 영향의 최소화

  ·지역특성에 맞는 다양한 개발기법의 모색

  ·공공기관의 역할증대 및 민간건설자본의 적극 도입

○ 주택개량 재개발

  ·지역특성에 맞는 다양한 개발기법의 모색

  ·현 거주민 중심의 사업추진

  ·공공기관의 역할증대 및 민간건설자본의 적극 도입

  ·주거환경개선 및 주택공급의 확대

○ 역세권 개발

  ·역세권중심 생활권 근린상업기능 활성화

  ·기존 상업·업무지역의 기능강화

  ·역중심 거리별 개발밀도 계층화로 토지이용의 효율성 제고

  ·역과의 연결 교통체계 정비로 역세권 이용 효율성 제고

 

(6) 부문별 계획

 (가) 인구배분계획

1) 생활권 설정 기본방향

  ○ 도시전체를 중부, 동부, 서부로 구분한 대 생활권 설정

  ○ 중생활권은 자치구 행정구역단위로 설정 도시공간구조와 연계

  ○ 소생활권은 자치구별 기초단위인 동을 기준으로 설정

 

2) 생활권설정(3개 대생활권, 15개 중생활권, 239개 소생활권)

  ○ 중부 대생활권 : 7개 중생활권(중·동구, 서구, 영도, 진구, 연제, 남구, 수영) 136개 소생활권

  ○ 동부 대생활권 : 4개 중생활권(동래, 금정, 해운대, 기장) 55개 소생활권

  ○ 서부 대생활권 : 4개 중생활권(사상, 북구, 강서, 사하) 48개 소생활권

 

3) 생활권별 인구배분구상(총 4,500천명)

  ○ 중부 대생활권 : 1,651천명

  ○ 동부 대생활권 : 1,246천명

  ○ 서부 대생활권 : 1,603천명

 

생활권별 인구배분구상

대생활권

중생활권

1994

2001

2006

2011

총 계

3,911,836

4,070,000

4,240,000

4,500,000

중부권

소계(7개소)

1,887,289

1,762,000

1,687,000

1,651,000

중·동구

  233,499

  191,000

  162,000

  145,000

서 구

  187,194

  156,000

  136,000

  126,000

영 도 구

  209,749

  187,000

  179,000

  173,000

부산진구

  476,400

  450,000

  424,000

  415,000

연 제 구

  251,514

  240,000

  238,000

  236,000

남 구

  321,694

  318,000

  313,000

  306,000

수 영 구

  207,239

  220,000

  235,000

  250,000

동부권

소계(4개소)

  993,608

1,142,000

1,205,000

1,246,000

동 래 구

  321,355

  325,000

  332,000

  354,000

금 정 구

  312,188

  306,000

  298,000

  290,000

해운대구

  294,773

  411,000

  420,000

  442,000

기 장 군

   65,292

  100,000

  155,000

  160,000

서부권

소계(4개소)

1,030,939

1,166,000

1,348,000

1,603,000

사 상 구

  301,383

  335,000

  394,000

  483,000

북 구

  271,279

  289,000

  309,000

  352,000

강 서 구

   75,043

  127,000

  191,000

  270,000

사 하 구

  383,234

  415,000

  454,000

  498,000

 

(나) 토지이용계획

1) 용도별 소요면적 산정

○ 주거용지

  ·목표년도 계획인구중 85%인 3,825천명 주거용지에 거주 계획

  ·소요면적은 평균인구밀도 적용방법을 채택하여 추정

소요면적 추정

구 분

인구배분율(%)

수용인구

인구밀도

혼 합 율(%)

소요면적

100%

3,825천인

310인/ha

123.31㎢

고 밀 지 역

45

1,721

650

10.0

29.42

중 밀 지 역

35

1,339

350

10.0

42.51

저 밀 지 역

15

574

200

14.0

33.40

초 저밀지역

5

191

125

15.0

17.98

 

○ 상업용지

  ·목표년도의 계획인구중 65%인 2,925천명을 상업용지의 이용인구로 가정하여 계획

  ·소요면적의 추정은 이용인구 1인당 점유면적에 의한 산출방식을 적용

소요면적 추정

구 분

이용인구
비 율

수용인구

1인당
점유면적

용적률

부지면적

공공용지율

혼 합 률

소요면적

100%

2,925천인

24.19㎢

중심상업

35

1,024

10

600

1.71

40

10.0

3.16

일반상업

35

1,024

15

300

5.12

40

11.0

9.58

주상혼합

30

877

20

250

7.02

30

12.5

11.45

 

○ 공업용지

  ·공업용지입지율, 타용도혼합률, 공공용지율을 각각 80%, 10%, 30%로 가정하여 계획

  ·소요면적의 추정은 제조업체 평균종업원 밀도에 의한 산정 방식 적용

소요면적 추정

2차산업인구

종업원 밀도

공업용지입지율

타용도혼합률

공공용지율

소요면적

711,000원

178인/ha

80%

10%

30%

50.71㎢

 

○ 토지소요 면적

  ·2011년까지 토지소요 면적은 총 205.37㎢(주거 123.31, 상업 24.19, 공업 50.71, 개발예정용지 7.16)임

  ·추가로 확보되어야 할 용지는 18.25㎢(주거 1.84, 상업 3.90, 공업 5.35, 개발예정용지 7.16)임

토지소요 면적

(단위 : ㎢)

구 분

목표년도 소요토지면적

추가소요토지

비 고

당 초

변 경

합 계

187.12

205.37

18.25


주 거 용 지

121.47

123.31

 1.84

시가화용지11.09㎢

상 업 용 지

 20.29

 24.19

 3.90

공 업 용 지

 45.36

 50.71

 5.35

개발예정용지

     -

  7.16

 7.16


※ 당초는 1992년 기본계획수립시, 변경은 1996년도 수립시

 

2) 용지 배분계획

용지 배분계획

(단위 : ㎢)

구 분

1994

2001

2006

2011

비 고

도시계획구역

647.28

1,052.85

1,052.85

1,052.85


시가화 면적

167.66

173.79

181.89

198.21


주 거 용 지

105.59

107.86

112.36

123.31


상 업 용 지

18.22

19.94

21.62

24.19


공 업 용 지

43.85

45.99

47.91

50.71


 

(다) 교통계획

1) 기본방향

  ○ 기장군 편입, 대규모 개발사업 추진 등 도시여건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

  ○ 부산·경남권 광역개발계획의 최대한 수용과 순환형 가로골격구성, 도시공간구조에 부합되는 교통계획 수립

  ○ 신규개발지역(강서, 수영만, 북항 등) 및 외곽신도시 연계 고속교통망체계 구축 및 기존 계획도로의 기능
       체계정비

 

2) 교통망 계획

○ 도시고속도로

  ·주변지역과 원활한 연계를 위한 도시고속도로망 구축과, 도심통과 교통처리를 위한 시가지 우회·순환도로 기    능강화

  ·내부순환축(장림-구포-미남-해운대-영도)과 외곽순환축(가덕-녹산-지사-한림-양산-철마-일광-해운대)형성

  ·외부순환도시고속도로망의 가덕노선은 연육교를 건설하여 거제와 연계시키고 진주-대전간 고속도로축으로    연결

  ·도심과 서면도심을 중심으로 6개 방사축(경부축, 울산축, 대구축, 남해축, 진해축, 거제축) 형성

 

○ 주간선도로

  ·도시고속도로망의 기본골격에 부합한 간선도로망체계 확충 및 정비

  ·내부순환 고속도로망과 외곽순환 고속도로망 사이에 외곽 순환간선도로망의 설정으로 고속도로 기능을 직접    보강

  ·부산∼외부지역과 연결을 위한 6개 방사도로축 설정

 

○ 철도계획

  ·범아시아 관통철도의 시발점으로서의 위상제고

  ·경부고속철도의 한일해저터널 개발에 의한 국제간 연계

  ·가덕도 인입철도, 동해남부선 및 경전선 복선전철 계획 수용

 

 (라) 통신계획

1) 기본방향

  ○ 부산·경남광역권내 중추정보관리기능을 담당하는 계획 수립

  ○ 중앙통신망 계획과 연계, 정보통신기반시설 확충

 

2) 주요 부문별 계획

  ○ 국가통신망과 부산지역 통신망의 연계 통합통신망 구축

  ○ 국제정보 거점도시 육성을 위한 정보통신 기반시설 구축

  ○ 도시의 안전관리를 위한 기반시설의 유지관리 시스템 구축

 

3) 통신시설계획

  ○ 전화보급률은 1994년 38.3대/100인, 2011년 50.5대/100인

  ○ 전화국은 1994년 10개소, 2011년 18개소

  ○ 우체국당 이용 인구수는 1994년 21,000명, 2011년 15,000명

 

 (마) 공공시설계획

1) 기본방향

  ○ 시설별 서비스인구 기준을 근거로 공공시설의 균형배치

  ○ 과다, 과소 자치구 단계적 분구 또는 합병 관리

  ○ 부도심 및 지구중심에 공공시설 적정 배치로 서비스지원 강화

 

2) 공공시설 배치기준

  ○ 행정동을 기준으로 한 소생활권의 서비스인구 규모가 비슷한 동사무소, 파출소 및 우체분국 등을 배치하고       소방파출소는 2내지 3개동을 기준으로 설치

  ○ 자치구를 중심으로 한 중생활권의 구청, 경찰서, 소방서, 우체국 등을 배치, 자치구의 자족적 도시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유도

 

 (바) 산업개발계획

 1) 기본방향

  ○ 환태평양 경제권의 거점기능 확보

  ○ 동남경제권의 중추관리기능 강화

  ○ 산업구조의 재조정 및 고도화 추진

 

 2) 산업별계획

  ○ 1차산업 종사자 : 기장편입으로 당분간 성장세 유지하다 감소 전망

  ○ 2차산업 종사자 : 가덕신항만건설 등의 사업으로 현재 28.5%보다 약간 증가한 30% 전망

  ○ 3차산업 종사자 : 현재 69.3%에서 목표연도에서는 68.6%로 다소 감소 전망

 

 3) 주요개발 구상

가) 가덕도 개발

○ 부산신항만 개발

  ▷ 기본방향

    - 21세기를 대비한 동북아의 국제컨테이너 중심항만으로 개발

    - 항만과 도시기능이 조화된 종합물류·정보 거점항으로 개발

  ▷ 사업기간 : '95∼2011

  ▷ 사업내용

    - 면적 : 10㎢(항만 5.0, 물류 3.7, 조선 1.3)

    - 컨테이너부두 : 24선석(5만톤 15, 2만톤 9)

    - 일반부두 : 9선석(2만톤 6, 3만톤 1, 5천톤 2)

    - 방파제 : 1.6㎞(동 1.0, 서 0.6), 안벽 10.8㎞

○ 배후도시 개발계획

  ▷ 기본방향

    - 항만관련 복합물류기지 조성

    - 자연환경과 조화된 신도시 건설

  ▷ 사업기간 : '95∼2011

    ▷ 계획인구 : 20만인 (10만 수용)

    ▷ 면적 : 9.7㎢ (주거 5.6, 상업 2.2, 공원·녹지 1.9)

○ 주요 수송노선 계획

  ·도로 : 5개 노선 41.38㎞

  ·철도 : 1개 노선 48.40㎞ (가덕도∼삼랑진)

 

나) 부산정보업무단지 개발

○ 기본방향

  ▷ 국제화 정보화에 부응하는 복합정보업무 단지로 개발

    - 국제업무, 정보통신, 상업 등의 도시중추관리 기능 도입

    - 첨단 정보화 시대에 부합하는 멀티미디어 특화단지 조성

  ▷ 쾌적한 도시환경 창출

    - 수영강변을 활용한 친수공간 확보

    - 보행자를 위한 전용공간 확보

○ 개발계획

  ▷ 사업기간 : 1995∼2005

  ▷ 면적 : 1.152 ㎢(상업 0.092, 공업 0.165, 녹지 0.085)

  ▷ 사업내용

    - 국제업무, 컨벤션센터(국제무역 전시장, 회의장등)

    - 정보통신(정보통신관련 서비스 연구 개발)

    - 멀티미디어(텔리컴 센터, 멀티관련 제품 시연장 등)

    - 상업시설(백화점, 스포츠시설, 위락편의시설)

    - 일반공공시설(공공시설, 녹지, 공원, 공급처리시설, 도로)

  ▷ 기대효과

    - 동남아 국제교류기지로 동남권 경제의 중추기능 수행

    - 고용기회 제공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사) 환경계획

 1) 주택

가) 기본방향

  ○ 주택공급물량의 확대

      주택 부족물량 충족을 위해 도시내 개발가용지(산지, 구릉지 등) 최대한 활용, 기존 시가지내 재개발,
      재건축 사업을 통해 확보

  ○ 균형적 주택공급 유도

      소득계층 및 라이프싸이클 등을 고려 다양한 계층의 주택공급

  ○ 주거의 질적수준 향상

      주거환경을 제고, 기존 노후주거밀집지역 저밀도개발 유도

 

나) 지표설정

  ○ 목표년도 보통가구수는 1,382천 가구로서 1994년 대비 약 1.4배 증가 전망

  ○ 주택보급율 85.7%로 전망할 때 주택재고는 1,184천호로서 1994년 688천호 보다 1.7배 증가될 것으로 전망

주택관련 주요지표

구 분

단위

1994

1996

2001

2006

2011

인                   구

천인

3,912

3,935

4,070

4,240

4,500

일    반     가    구

천가구

1,121

1.157

1,272

1,413

1,607

보    통     가    구

천가구

 988

1,013

1,109

1,224

1,382

가   구   당   인  구

3.5

3.4

3.2

3.0

2.8

주   택   보   급   율

69.6

73.4

80.2

84.5

85.7

연 간 신 규 주 택 수

28,000

29,000

29,000

30,000

-

연 간 주 택 공 급 량

37,500

39,800

41,700

44,600

-

연평균   감실주택수

9,500

10,800

12,700

14,600

-

주         택         수

천호

688

744

889

1,034

1,184

 

다) 주택공급계획

  ○ 공공부문에 의한 서민주택의 보급확대를 유도하되 라이프싸이클을 고려하여 주택의 유형을 다양화함.

  ○ 주택 감실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기존 노후주택에 대한 개보수를 강화

  ○ 양호한 단독주거지내 다가구 및 다세대주택의 건설을 억제하고 재개발 혹은 재건축의 경우에는 저밀개발을       유도하여 주변지역과의 조화를 통한 주거환경의 증진을 도모

 

 2) 상수도

가) 기본방향

  ○ 제6차 상수도확장계획이 끝나는 시점인 2001년 이후의 취수원 확보를 위해 낙동강 상류지점에 새로운 취수       시설을 설치

  ○ 수원지의 오염방지를 위한 하수유입 금지 및 차집관거설치 등 상수원 구역에 대한 관리철저

  ○ 기존 시가지의 노후관 교체 계획을 지속적으로 추진

  ○ 신개발지, 새로 편입된 기장군의 상수도관 시설계획을 적극 추진

 

나) 용수수요 예측

  ○ 목표년도인 2011년에는 보급율 99.4%로 대부분 시민이 급수해택을 받음

  ○ 생활수준향상에 따라 1일1인 급수량 475ℓ로 상향계획(당초 448ℓ)


용수수요 예측

구 분

1994

2001

2006

2011

총   인   구 (천인)

3,912

4,070

4,240

4,500

급 수   인 구(천인)

3,803

4,029

4,206

4,473

상수도보급률((%)

97.2

99.0

99.2

99.4

1일 1인 급수량(ℓ)

420

445

460

475

수 요 량 (천톤/일)

1,599

1,793

1,935

2,125

 

다) 주요시설계획

○ 수원지 및 정수장 시설계획

  - 낙동강 상류지점에 새로운 취수시설의 건설(2001∼2005)

  - 광역상수도는 낙동강 합류 9㎞ 지점의 황강 하류지점으로서 1일당 1,000천톤을 생산하여 경남과 부산시에      500천톤씩 공급전망

  - 고도정수 공정처리시설의 확충을 지속적으로 추진

○ 배수지시설 및 송배수시설 계획

  - 제6차 상수도확장계획에서 용량 171천㎥의 16개소의 배수지를 건설

  - 고지대 주민들의 급수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양수시설을 확충하되, 대규모로 통합하는 방향으로 추진

  - 관로확장계획은 경제관경에 미달되는 관로를 대상으로 확장계획을 수립

○ 전용공업용수 공급계획

  - 사상지구와 공장이전 예정지인 신평?장림?다대?감천지구외 새로 조성되는 녹산지구, 지사, 가덕도,
    신호지구에 공업용수를 경제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염소소독을 생략한 정수과정을 거친 전용공업용수를
    공급함.

  - 낙동강하구 강서구 대저동에 하구호를 수원으로 하는 취수펌프장 및 정수장을 건설하고, 각 지구로 송수관로     를 신설함.

 

 3) 하수도

가) 기본방향

  ○ 모든 오폐수는 차집관거를 통해 현재의 합류식 관거를 분류식화하여 처리하되, 대규모 공장의 폐수는 자체       시설로서 처리

  ○ 하수관거는 분류식으로 건설을 원칙으로 하고, 시간당 50㎜의 강우를 배수할 수 있도록 하수관거와 중소하       천을 정비

  ○ 기장군 편입에 따라 기장 및 정관 하수처리구역을 신설하고 각 처리구역별로 1개의 하수종말처리장을 건설

 

나) 하수처리계획

  ○ 목표년도의 하수발생량은 현재의 1.3배 정도 증가 전망

  ○ 하수보급률은 현재의 85.7%에서 93.0%의 수준으로 상향 조정

  ○ 15개 하수처리구역별로 1개의 하수처리장을 건설하고 시설용량을 결정할 때는 지하수 유입량도 고려한 후       계획의 실현성을 감안하여 1일 최대용량을 시설용량으로 채택

  ○ 전용공업용수 공급계획에 따라 용수량에 의해 발생하는 공업폐수량을 지구별로 추정하여 처리방안을 마련

장래 오수발생량 예측

구 분

1994

2001

2006

2011

총    인    구 (천인)

3,912

4,070

4,240

4,500

하  수  인  구(천인)

3,354

3,744

3,926

4,185

하 수   보 급 률(%)

85.7

92.0

92.6

93.0

평균하수량(천톤/일)

1,437

1,614

1,742

1,912

최대하수량(천톤/일)

1,916

2,152

2,323

2,549

지 하 수 량(천톤/일)

287

323

348

382

 

 4) 폐기물처리계획

가) 기본방향

  ○ 배출원으로부터 폐기물의 분리수거를 통해 중간처리(소각. 재생이용 등)함으로써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       도록 함.

  ○ 가연성물질 소각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여 지역난방에 이용하고 고철·공병 등의 재생물질을 회수하여 폐       기물의 자원화를 꾀함.

 

나) 폐기물처리계획

  ○ 단순 매립량의 비율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 폐열을 이용하기 위한 소각장 건설 추진과 함께 소각량의 비율과       재활용 쓰레기의 비율은 점차 증가하여 목표년도에는 재활용 및 소각량의 비중이 단순 매립량을 훨씬 초과       할 것으로 전망

  ○ 가연성쓰레기는 소각처리함을 원칙으로 함.

  ○ 분뇨의 처리계획은 변소개량사업을 통해 위생적인 수세식 변소로의 개량을 적극 유도하고, 점차 증가되어가       고 있는 정화조의 청소율을 100% 수준으로 제고시킴.

 

 5) 에너지 계획

가) 기본방향

  ○ 장기적인 에너지 수급구조에 있어서는 석유의존도가 계속 감소될 것이며 이의 대체방안으로 발전용은
      원자력·유연탄, 산업부분은 유연탄, 가정용으로는 LNG의 보급을 추진

  ○ 석탄전용부두를 이전하고 도시가스를 LNG로 공급하기 위한 시설계획을 추진

 

나) 에너지 공급계획

○ 석탄 :

장래 건설될 발전소와 산업체의 보일러를 유연탄용으로 대체

○ 석유 :

발전·산업부문에서의 석유비중이 감소, 수송부문에서는 증가가, 가정·산업분야에서는 지속적인 증가
예상

○ 전력 :

발전원의 다원화를 모색하고, 전력의 기본부하는 원자력 및 석탄 화력주도형으로 전환하며 전력공급
시설계획은 광역계획으로 검토

○ 가스 :

도시가스는 LNG로 대체하고, 기존 가스제조시설은 비상용으로 전용

  

에너지 종류별 수요예측

구 분

단 위

1994

2001

2006

2011

유         류

천배럴

22,515

48,529

92,036

174,545

전         력

천MWh

 9,327

11,722

14,713

 22,320

프로판가스

천 톤

    172

    330

    393

     445

도 시 가 스

천 톤

    159

    498

    800

  1,135

 

LNG 수요전망

구 분

단 위

1994

2001

2006

2011

공   급   량

천 톤

159

498

800

1,135

공 급 가 구

천가구

197

598

904

1,077

공   급   률

 24

 47

 64

    67

 

 6) 환경오염방지

가) 기본방향

  ○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공해 감시예측망을 구상하고, 주요 공해유발시설에 공해방지시설을 설치하       고 점배출원(點排出源)으로 지정관리함.

  ○ 자동차 배기가스의 규제를 위해 저유황 경유와 납성분을 제거한 무연휘발유 사용을 촉진

  ○ 무연탄 유류사용을 감소시키고 공해가 없는 도시가스를 대체연료로 공급함.

  ○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낙동강과 연안해역으로 유입되는 하천에 차집관로를 설치하여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되도록 관망을 건설.

 

나) 오염방지계획

  ○ 자동차 배기가스의 오염을 줄이기 위해 저유황 경유사용 권장과 함께 도시공간을 환경정화수로 식제하여
       대기정화 능력을 높임.

  ○ 낙동강의 오염방지를 위하여 낙동강 유역의 지자체, 환경청 등과 공동관리위원회를 운영하여 수질오염원의        유입방지와 수질정화를 위해 협력함.

  ○ 하수종말처리장 건설 및 차집관거 보강에 중점을 두고 환경오염의 현장 단속에서 탈피 환경온라인망인 종합        감시센터(TMS)를 구축함.

 

 (아) 공원·녹지계획

1) 공원·녹지체계 구상

  ○ 도시녹지축(몰운대-중앙공원-금강공원-불광산공원)

  ○ 수변녹지축(낙동강 수변축, 수영강 수변축)

  ○ 해양경관축(가덕도-몰운대-태종대-해운대-기장해안)

 

2) 공원 및 유원지 계획

○ 기본방향

  ·기존의 미시설 공원의 적극적인 조성방안 유도

  ·인구 및 주변환경을 고려한 생활권별 입지계획 수립

  ·낙동강 및 해안을 적극 활용한 공원의 개발

○ 용지확보방안

  ·어린이공원 및 근린공원 등은 자연녹지의 개발 및 주택개량 개발사업이나 도시재개발 사업의 시행을 통해
   확보

  ·낙동강의 고수부지 등을 적극 활용하고, 대규모 신개발지(가덕도, 북항매립지, 정관 신도시 등) 계획단계에서    충분한 공원부지를 확보

  ·공원은 27개소에서 24.11㎢, 유원지는 11개소에서 11.45㎢를 확보하여 총 35.56㎢ 추가 확보

 

 (자) 사회개발계획

 1) 보건·의료

가) 기본방향

  ○ 자치구간 의료시설 불균형 해소 및 진료기관간 기능분담 촉진

  ○ 1차 보건의료를 강화할 수 있는 인력양성체계 확립하고 공공의료기능의 강화를 통한 지역단위
      보건관리체계 구축

 

나) 주요시설 배치계획

  ○ 신규의료시설은 강서구, 기장군 등에 우선적으로 입지 유도

  ○ 생활권체계에 상응하여 의료시설의 체계적인 배치를 유도

 

 2) 사회복지

가) 기본방향

  ○ 기본적인 사회복지서비스를 보장하는 종합 사회복지체계 구축

  ○ 사회복지전달체계를 개선, 사회복지제도의 효율성을 제고

 

나) 부분별 계획

  ○ 종합사회복지관의 확충

      저소득층 밀집지역주민 자립능력 배양하여 복지시설을 체계화하고, 일원화 시킴

  ○ 아동복지시설

      주요공단별로 1개소 이상의 근로청소년회관을 설치·운영하고, 어린이회관, 청소년회관 등은 종합사회복지       관과 연계 중생활권별로 1개소씩 설치

  ○ 성인복지시설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을 위해 중생활권별로 1개소 복지시설 확충과 여성 사회참여 기회확대를 위해 중생활       권에 1개소씩 여성회관 (종합사회복지관내) 설치

  ○ 노인복지

      게이트볼장 등 각종 노인체육시설과 노인전용휴식시설 등 노인 이용공간 개발의 확충과 실버산업을 활성화       함으로써 민간부문이 노인복지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유도

  ○ 장애인 복지시설

      지역사회가 적극 참여하는 재가보호체계(Home-Care System)로 전환하고 재활에 필요한 시설은 지역별로       적정배치하여 소생활권당 장애자보호시설 1개소씩, 중생활권당에 중증 장애자를 위한 중증 의료시설 1개소       씩 배치

 

 3) 교 육

가) 기본방향

  ○ 조기교육의 보급 및 의무교육의 확대를 위하여 교육수요에 대비한 교육시설의 확충

  ○ 각종 교육시설을 생활권별 유치거리에 따라 적정배치로 용지난 극복방안 모색

  ○ 사회교육시설을 대폭적으로 확충함으로써 평생교육기회를 확대

 

 (차) 도시방재계획

1) 기본방향

  ○ 재해방지조직, 역할분담, 교육, 방재센터 설치 등 방재체재 구축

  ○ 상습침수지 및 주변에 대한 유역특성을 고려한 종합치수대책 수립

  ○ 시가지내 대규모 화재방지를 위한 방화지구지정 확대

  ○ 다양한 도시형 재해 및 생활안전사고 대비 도시재해대책 수립

 

2) 계획 및 정책방향

○ 종합적인 방재체계 구축

  ·재해대책 재정비, 긴급구명·구조, 재해대책활동계획 등 재해응급대책 프로그램 수립

  ·응급활동체제의 역할분담 및 조직체계를 강화

  ·자치구별 방재조직 확보, 교육을 통한 응급시 대책수립

  ·방재정보시스템 구축, 기존 재해원인 및 피해상황 분석, 재해대책 업무 효율성 제고

 

3) 치수대책 수립

  ○ 상습침수지 등 침수관리구역으로 지정, 토지이용 및 건물구조, 자재의 사용 등을 철저히 관리토록 함.

  ○ 낙동강 본류와 합류하는 하천을 호안 우선정비

  ○ 하수도 관거증설·확대 및 펌프시설 대량설치로 배수능력 제고

 

4) 화재에 대비한 지역 안정성 확보

  ○ 건축물의 내연구조화를 유도하고, 소방기준에 따른 건축물의 철저한 시공을 유도

 

 (카) 항만계획

1) 기본방향

  ○ 국제운송환경 여건변화로 해상운송체계와 내륙운송체계가 결합되는 복합운송체계 확립

  ○ 건설중인 양산내륙컨테이너기지(ICD)조성, 화물집?배송기지로 역할담당

  ○ 기존 부두의 컨테이너적치장 부족 및 물동량처리부족 해소를 위해 부산신항만건설 조속 추진

  ○ 감천항, 다대포항, 부산신항만 등 입지별 항만기능의 재편과 북항의 항만기능정비 등으로 친수공간 기능을       강화

 

2) 항만기능의 정립

  ○ 동북아지역의 핵심 물류기지화 (Hub Center) 유도

  ○ 연안수송용 부두를 확충하여 연안수송기능을 강화

  ○ 항만기능 및 도시기능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항만과 도시의 조화구 추구

    ·공해성 화물의 도심외곽 이전

    ·화물별 전용 부두화 유도

    ·주변도시 여건에 따라 적정위치에 부두 배치

  ○ 부산신항만 건설에 따른 항만기능 정립

    ·21세기를 대비한 동북아 국제물류중심 항만으로 육성

    ·부산항의 만성적인 화물적체해소로 국가경쟁력을 제고

    ·항만과 도시기능이 조화된 종합물류·정보 거점항으로 육성

 

3) 주요 항별 정비방향

○ 북 항

  ·제2부두∼중앙부두, 제3부두∼4부두 연결매립 : 다목적 부두화

  ·컨테이너 전용부두별 (BCTOC, PECT 4단계 부두) 피더선 전용부두 건설

  ·1부두에서 5,6부두 (자성대)까지 항만내 연결도로를 확충하고, 7,8부두, 4단계 및 신선대부두까지 전용도로망    구축

  ·제4부두를 정비하여 국제여객부두 배치

○ 감천항

  ·민자개발 취지를 살려 매립지와 부두시설이 연계된 전용부두 운영

  ·대상화물 : 고철, 시멘트, 연안화물, 원목, 컨테이너

○ 다대포항 : 수산물 및 운수장비제조업 부두로 활용


부산신항만 개발계획

사 업 명

사업기간

사 업 내 용

비 고

부산신항만건설

'95∼2011

·컨테이너부두 24선식

·일 반 부 두 9선석

·방 파 제 1.6㎞

·안 벽 10.8㎞


 

(타) 관광계획

1) 기본방향

  ○ 2002년 아시안게임 및 월드컵 대비, 관광계획의 체계화 추진

  ○ 관광참여에 있어서 계층간 갈등해소를 위해 근로자, 저소득층, 노인, 청소년 등의 이용시설 개발

  ○ 관광특성화를 위한 관광권역을 설정하고 5대 관광체계를 구축

 

2) 관광체계별 개발계획

  ○ 도심형 관광체계

    ·서면∼광복동∼남포동∼송도∼영도 (국제회의장, 상징시설, 쇼핑·위락시설, 해상공원, 해양박물관 등 관람시      설 배치)

  ○ 산악형 관광체계

    ·중앙공원∼가야유원지∼성지곡∼금정산성∼동래읍성∼복천고분군∼장산∼달음산∼불광산 (민속촌,향토역      사관,청소년수련장,고분공원,문화유적지 및 스포츠형 여가공간 도입)

  ○ 해양형 관광체계

    ·신선대∼이기대∼광안리∼수영만∼해운대∼송정∼대변∼일광 (해변문화센터,해상스포츠,해상호텔 등 국제      관광객과 내국인을 위한 관광휴양지 조성)

  ○ 수변형 관광체계

    ·물금∼구포∼삼락동∼둔치도∼맥도강∼을숙도∼가덕도 (수변스포츠센터,관광어촌 등 내국인과 주민을 위한      위락스포츠 공간 배치)

  ○ 유람형 관광체계

    ·가덕도∼다대포∼암남∼태종대∼오륙도∼이기대∼해운대∼시랑대∼임랑 (해상유람선,선상식당,선상공연      장,선상예식장 등 해상관광시설의 도입)

 

관광체계별 개발방향

유형

권 역

대상지구

자 원 성 및 잠 재 력

개 발 방 향

도심형

광 복 권

광복, 남포동

쇼핑, 관람

관광쇼핑, 문화의 거리

역 세 권

중앙, 초량동

쇼핑, 관람, 유흥

관광쇼핑, 업무단지

서 면 권

서 면

쇼핑, 관람, 유흥

관광쇼핑

관 람 일 주

대신공원

산악스포츠,레크레이션,도시경관

시민행락지

산악형

동 래 온 천

온 천 장

온천, 쇼핑, 유흥, 문화재

온천휴양지

금 정 산 성

금 정 산

산악경관

민속촌

복 천 오 륜

복 천 동

고분군

역사유적지

해양형

기 장 권

일 광

해수욕장, 해변휴양, 해양스포츠

해변휴양단지

기 장

해수욕장, 해변휴양, 해양스포츠

해변휴양단지,골프장

임 랑

해수욕장, 해변휴양

해변휴양단지

해 운 대 권

수영비행장

국제업무, 공원스포츠, 회의, 관광

국제업무,교류,행락지

수영매립지

해수욕장, 해양레크레이션, 관람

해양스포츠 위락단지

송 정

해변휴양, 해양레크레이션

해변휴양단지

청 사 포

해변휴양, 공원스포츠

해변휴양단지

해 운 대

해양경관, 해수욕장, 온천

해변온천센터

광안·민락권

오 륙 도

해양경관, 바다낚시

해안공원

민락매립지

해양레크레이션

해상위락단지

신 선 대

이 기 대 권

신 선 대

해변휴양, 공원스포츠

해변휴양단지

이 기 대

해양경관, 관람, 관광, 시민휴식시설

해안공원

태 종 대

영 도 권

동 삼 동

해양경관, 패총

관광단지

수변형

낙 동 강 권

가 덕 도

낙동강, 고수부지, 스포츠

수변스포츠단지

을 숙 도

낙동강, 연안, 철새도래, 도시행락

행락,조류공원

삼 락 동

해양경관, 휴양, 낚시

국제관광단지
(오락 및 휴양)

 

1.도시계획구역  2.도시기본계획
3.도시계획 현황  4.센텀시티개발  5.동ㆍ서부산권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