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2�� �����鼭 �λ걤���� ����Ű�� ġ�ø� ������������ �̵��մϴ�

����Ű�� ġ�ø� ��1�� �������� �������� �̵��մϴ�.����Ű�� ġ�ø� ��2�� �����ι��� ���� �� ��ȹ �������� �̵��մϴ�.����Ű�� ġ�ø� ��3�� ������ �������� �̵��մϴ�.����Ű�� ġ�ø� �η� �������� �̵��մϴ�.����Ű�� ġ�ø� ��ü��Ϻ��� �������� �̵��մϴ�.

 

2�� �����ι��� ����� ��ȹ��12�� �����

1�� �Ϲ���Ȳ
2�� ���� �����
  
 

1.상수도 발전과정  2.상수도 시설확충  3.상수도 사용료 과징

 

제 12 장 상수도

제 1 절 일반현황

    1. 상수도 발전과정

  가. 개 요

(1) 지역 여건

우리 부산은 낙동강 최하류인 남해안에 위치한 좁은 장방형 도시로 고지대가 많고 취수거리가 멀어, 다른 도시에 비하여 수돗물 생산시설 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시민급수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시세의 급성장과 시민 생활수준 향상으로 물 수요는 급격히 증가되어 이의 원활한 해결을 위하여 '83년부터 '89년까지 제5차 상수도 확장사업을 추진, 1,055천㎥/일 생산시설을 확충하여 총 2,000천㎥/일 생산능력을 갖추었고, 급수수요 증가에 대비하여 800천㎥ 생산능력을 증대시키는 제6차 상수도확장사업(1단계 : 500천㎥/일, 2단계 : 300천㎥/일)을 추진하여 '95년 8월에 1단계(500천㎥/일)를 준공하였으며, '95. 3월 기장군 편입(18천㎥/일)과 '97. 7월 전용공업용수(200천㎥/일)준공으로 생산능력이 총 2,718천㎥/일으로 확대되었으나, 2000년 1월 기장군내에 소규모 정수장 노후정수시설 폐쇄로 2001년 12월 현재는 총 2,707천㎥/일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2001년말 현재 부산지역은 급수보급률 98.4%, 1인1일 급수량 343ℓ로 선진국 수준으로 한발 더 다가섰다.

 

(2) 연 혁

우리나라 상수도 역사는 고종23년(1886년) 부산 보수천 상류에 죽관을 이용하여 소규모 도수시설을 설치한 것이 효시이다. 고종31년(1894년) 대청동에 배수지를 설치하고 1900년 2,000㎥/일 생산규모의 구덕수원지를 축조한 것이 현대식 상수도 시설의 시발이며, 이는 국내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후 부산은 항만시설 축조로 상공무역항으로 발전하여 구덕에 이어 성지곡과 법기수원지를 축조하고 복병산과 수정동 배수지를 신축하는 등 도시규모 증가에 따라 급수시설도 그 규모를 확장하였다.

특히, 8·15해방과 6·25동란으로 해외귀환동포와 피난민으로 인하여 상수도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회동댐과 명장정수장을 축조하는 한편, 기존시설을 확장개량하여 '50년에는 45천㎥/일 생산규모로 발전하게 되었다.

'63년 시가 정부직할시로 승격되고 행정구역이 확장됨에 따라 3차례에 걸친 상수도 확장사업을 완료한 '76년에는 585천㎥/일을 생산하게 되어 250만 시민의 1인1일 급수량이 245ℓ에 이르게 되었으며, '78년에 제4차 행정구역확장과 인구팽창으로 상수도 수요량이 늘어남에 따라 제4차 상수도확장사업을 '82년에 완료하여 945천㎥/일 생산시설을 갖추고, 1인1일 급수량은 314ℓ(급수보급률 90%)로 증가하였다.

제5차 상수도확장사업을 '83년에 6개년 계획으로 추진, '89년 3월에 준공하여 1,055천㎥/일 생산시설을 확충하여 총생산능력 2,000천㎥/일을 갖추게 되었으며, '89년말 현재 급수보급률 97.5%, 1인1일 급수량은 362ℓ로 증가하였다. 또한 서낙동강권 개발 및 시역확장, 시민생활 수준의 향상 등으로 인한 급수난 해소를 위해 '91년부터 제6차 상수도확장사업을 추진하여 '95년 8월 1단계사업 완료로 500천㎥/일 생산시설 확충과 '95. 3월 기장군지역 18천㎥/일 생산시설을 편입하여, 시설용량 2,518천㎥/일을 확보하게 되었으며, 또한 '97. 7월 전용공업 용수 200천㎥/일 시설을 완료하는 등 2001년말 현재 총 시설용량 2,707천㎥/일의 상수도 공급능력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2001년말 현재 급수보급률은 98.4%, 반면 1인1일 급수량은 2000년말 369ℓ보다 26ℓ감소된 343ℓ이다.


연 혁

연 도

생산량
(㎥/일)

총생산량
(㎥/일)

개 요

1886(고종23년)

미 상

미 상

보수천 죽관 도수시설 설치

1894(고종31년)

미 상

미 상

대청동 배수지 설치

1900∼1902

2,000

2,000

구덕수원지 축조

1908∼1910

5,000

7,000

성지곡수원지, 복병산배수지 신설

1920∼1922



성지곡·구덕 수원지 확장

1923∼1924



구덕수원지 증고

1926∼1932

8,000

15,000

범어사정수장, 법기수원지, 수정동배수지 신설

1940∼1946

15,000

30,000

회동댐, 명장정수장 건설

1946∼1950

15,000

45,000

명장정수장 확장(회동계통 1차 확장)

1957∼1958

35,000

80,000

명장정수장 확장(회동계통 2차 확장)

1961∼1965
 

15,000
 

95,000
 

오륜정수장 신설(제1차 상수도확장
제1차 요율개정(1965. 1. 1)

1966
 
 
 

38,000
 
 
 

133,000
 
 
 

명장정수장 확장 및 회동댐 증고
제2차 요율개정(1966. 1. 1)
상수도시설관리소, 중부?북부?동래수도사업소 개소
(구 건설과에서 분리, 1966. 9. 1)

1967

20,000

153,000

명장정수장 확장, 제3차 요율개정(1967. 12. 1)

1968∼1970
 
 
 
 

△2,000
110,000
 
 
 

151,000
261,000
 
 
 

구덕수원지 폐쇄(1968. 5. 2)
제2차 상수도확장사업 준공(낙동강수계 1970. 4. 15)
기업회계제도 채택(1970. 1. 1)
제4차 요율개정(1970. 3. 1)
제5차 요율개정(1970. 8. 1)

1971
 

25,000
△5,000

286,000
281,000

명장정수장 증산
성지곡수원지 폐쇄→전용공업용수(1971. 5. 27)

1972
 

 
 

 
 

제6차 요율개정(1972 6. 5)
제3차 상수도확장사업착공(240천㎥/일, 6.24)

1973
 

19,000
 

300,000
 

명장정수장 증산
오륜동정수장 증설공사 착공

1974
 

45,000
 

345,000
 

오륜동정수장 증산(1974. 7. 1)
제7차 요율개정(평균 22.8% 인상, 1974. 8. 1)

1975
 
 
 
 

120,000
 
 
 
 

465,000
 
 
 
 

화명정수장 조기 생산 통수, 화명정수관리소 개소
(1975. 8. 29)
급수과 기전계 신설
4개 수도사업소를 7개구 수도과와 2개 출장소
수도계로 직제 개편(1975. 9. 30)

1976
 
 

120,000
 
 

585,000
 
 

제3차 상수도확장사업 준공
해운대출장소 수도계 신설 → 본청3과, 3직할
사업소, 7구 수도과, 3출장소 수도계 (1976.6.1)

1977



사용료부과 전산처리 시행(남구, 북부출장소, 4. 1)

1978
 

 


북부출장소 수도계를 북구수도과로 직제개편 (1978. 2. 15)
제4차 상수도확장사업 착공(360천㎥/일, 4. 1)

1979
 
 
 

 
 
100,000
 

 
 
685,000
 

사하?해운대출장소 수도계를 과로 직제개편(5.1)
제9차 요율 개정(평균 35% 인상, 1979. 5. 1)
제4차 상수도확장사업 100천㎥ 조기 증산
(화명정수장, 1979. 12. 7)

1980
 
 
 

 
 
 
80,000

 
 
 
765,000

제10차 요율 개정(평균 25% 인상, 1980. 3. 1)
해운대출장소 수도과를 해운대구 수도과로 개칭
제11차 요율개정(평균 19.2% 인상, 1980. 12. 31)
제4차 상수도확장사업 조기 증산(1980. 12. 31)

1981



제12차 요율개정(평균 25% 인상, 1981. 12. 26)

1982
 
 
 

180,000
 
 
 

945,000
 
 
 

제4차 상수도확장사업 준공 (1982. 11. 27)
안동댐 원수공급 및 구매계약 체결
(1982. 6. 28 ㎥당 2.64원)
한발대책 비상수원개발공사 착공(1982. 12. 31)

1983
 
 
 
 



한발대책 비상수원개발공사 준공 → 취수량 500천㎥/일
(1983. 5. 3)
제13차 요율개정(평균 10% 인상, 1983. 5. 2)
제5차 상수도확장사업 착공(1,055천㎥/일, 5. 3)
제14차 요율개정(평균 8% 인상, 1983. 11. 29)

1985
 
 
 



성지곡 공업용수 생산 중지(1985. 1. 10)
덕포가압장 154KV GIS 준공(1985. 4. 29)
낙동강 수관교 준공(1985. 7. 31)
제15차 요율개정 (가구분할시행 평균 5% 인상, 1985. 9. 30)

1986
 

300,000
 

1,245,000
 

덕산정수관리소 개소
제5차 상수도확장사업 일 300천㎥ 증산 (덕산, 1986. 7. 23)

1987
 
 
 

 
255,000
 
 

 
1,500,000
 
 

화명정수장 오존처리시설 착공 → 600천㎥/일(1987. 8. 17)
제5차 상수도확장사업 1단계 준공 → 555천㎥ 증산
(1987. 8. 27)
제16차 요율개정(평균 9.5% 인상, 1987. 7. 1)

1988



상수도사용료 통합공과금에 위탁처리(10. 1)

1989
 
 
 
 
 

 
500,000
 
 
 
 

 
2,000,000
 
 
 
 

화명정수장 오존처리시설 준공(1989. 2. 18)
제5차 상수도확장사업 준공 → 1,055천㎥/일 (1989. 3. 22)
덕산정수장 슬러지처리시설 1단계 착공 → 1,055천㎥/일
(1989. 5. 9)
부산직할시 상수도사업본부 발족
(2담당관, 4과, 11계, 16사업소, 1989. 9. 1)

1990
 



덕산정수장 슬러지처리시설 1단계 준공 → 1,055천㎥/일 (1990. 8. 1)

1991
 
 
 
 
 



제17차 요율 개정(평균 16.8% 인상, 1991. 2. 1)
부산직할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검사소 발족
(2국, 4부, 11계, 17사업소, 1991. 4. 25)
제6차 상수도확장사업(1단계) 착공 → 생산량 500천㎥/일 (1991. 9. 4)
덕산정수장 오존처리시설 1차 착공 → 1,055천㎥/일
(1991. 12. 9)

1992
 
 

   

화명정수장 입상활성탄처리시설 착공 → 600천㎥/일
(1992. 4. 7)
제18차 요율개정(평균 5.0% 인상, 1992. 11. 3)

1993
 
 
 
 
 
 
 
 
 



조직개편 : 관리국 폐지 (1993. 7. 16)
→ 기술국장→기술담당관(1담당관, 4부 11계, 17사업소)
덕산정수장 슬러지처리시설 2단계 착공 → 500천㎥/일 증설 (1993. 12. 3)
전용공업용수도사업(1단계) 착공 → 생산량 200천㎥/일 (1993. 12. 30)
급수공사비 정액제 변경 시행
〔일반건물(15∼50㎜) : 구경별, 거리별 → 구경별 건당〕
〔공동주택 : 실공사비 산정적용→세대별적용〕
상수원보호구역 축소(1.72㎢) (95.0㎢ → 93.28㎢)

1994
 
 
 
 
 
 
 
 
 
   



화명정수장 입상활성탄처리시설 완공 → 600천㎥일
(1994. 4. 6)
상수도사업본부 조직개편 (1994. 4. 30)
(1담당관, 4부 13계, 17사업소)
 - 본부 : 급수장치계, 누수방지계 신설
           수원계 → 수질계로 명칭변경
 - 시설관리사업소 : 관리담당관, 누수방지계신설
 - 지역사업소
·누수방지계 신설(강서제외) → 부산진, 동래,
남부사업소는 공무2계를 누수방지계로 개칭
제19차요율개정(평균 10.7% 인상, 1994. 8. 1)

1994
 
 
 
 
   
 
 



상수도사용료 자체 부과고지(하수도사용료 병기) → 요금2계 신설(5개 사업소) : 부산진, 동래, 남부, 북부, 사하사업소 (1994. 10. 1)
상수도사업본부 조직개편
 - 급수부 급수장치계 폐지
 - 시설부 고도정수계 신설 (1994. 12. 31)
덕산정수장 오존처리시설 1차 준공 → 1,055천㎥/일
(1994. 12. 31)

1995
 
 
 
 
 
 
 
 
 

8,500
 
 
 
 
500,000
 
 
 
 

2,008,500
 
 
 
 
2,508,500
 
 
 
 

기장군 편입에 따른 조직개편
 - 해운대사업소 : 기장수도계신설(1995. 3. 1)
덕산정수장 슬러지처리시설 2단계 완공 → 500천㎥/일
(1995. 3. 31)
본부 간부 직위 명칭 변경 - 기술담당관 → 차장 (1995. 6. 5) 제6차 상수도 확장사업(1단계) 준공 → 생산량 500천㎥/일
(1995. 8. 11)
제20차 요율개정(평균 14.0% 인상, 1995. 11. 24)
명장정수장 오존처리시설 착공 → 277천㎥/일
(1995. 12. 30)

1996
 
 
 
 
 
 
 
 
 
 
 
 
 
 
 
 
 





































상수도사업본부 조직개편 (1996. 7. 1)
(1사업소 6계 신설, 4계 폐지, 10계 명칭변경)
 - 신 설
    ·기장사업소(해운대사업소 기장수도계 폐지)
    ·명장·화명·덕산 정수사업소 기전관리계, 기장사업소
     업무·공무·생산계
 - 폐 지
   ·중부·서부·영도사업소 누수방지계
 - 명칭변경
   ·총무부 인 사 계 → 조직운영계
   ·관리부 회 계 계 → 경영관리계
   ·관리부 관 재 계 → 재 무 계
   ·부산진, 동래, 남부, 북부, 해운대, 사하, 금정사업소
   누수방지계 → 공무2계
명장정수장 입상활성탄시설 착공 → 277천톤/일
(1996. 12월)
덕산정수장 1차 입상활성탄시설 착공 → 1,055천톤/일
(1996. 12월)

1997
 
 
 
 
 
 
 
 
 
   
 
 
 

 
 
 
 
 
 
 
 
 
 
 
200,000
9,500
 

 
 
 
 
 
 
 
 
 
 
 
 2,708,500
2,718,000
 

공업용수도사업소 신설(1997. 1. 1) → 1소장 2계
(정수계, 기전관리계)
제21차 요율개정(평균 21% 인상, 1997. 1. 10)
공업용수도 취·정수시설 1단계 준공(1997. 3. 20)
상수도사업본부 조직개편(1997. 7. 18)
(1차장, 4부, 13계 → 1차장, 3부,1 0계)
 - 총무부 : 총무계,기획감사계,경영관리계,재무계,
전산계(조직운영계?요금계 폐지,전산계 신설)
 - 관리부 : 폐지
 - 급수부 : 급수계,수질계,기전계(누수방지계 폐지)
 - 시설부 : 시설계,공무계(고도정수계 폐지)
 - 덕산정수사업소 : 전산계 폐지
공업용수 1단계통수(1997. 7. 30) → 200천톤/일
기장군내 정수장 시설 증설 - 생산량 18천㎥/일

1998
 
 
 
 
 



명장정수장 오존처리시설 준공('98. 7) - 277천㎥/일
상수도사업본부 직제 개편 ('98. 9. 15)
 - 사업소 통합 (중부·동부 → 중동부사업소)
 - 1차장 3부 18사업소
제22차요율개정(평균 21.6% 인상, 1998. 9. 15)
입상활성탄 재생시설 착공 ('98. 11)

1999
 
 
 
 

 

 

상수도사업본부 직제 개편('99. 7. 29)
 - 차장제 폐지, 과제 시행 → 3부 10과 18사업소
명장정수장 입상활성탄처리시설 준공('99.12.15)
 - 277천㎥/일
제23차요율개정(평균 10.12% 인상, 1999. 12. 31)

  2000
 
 
 

 
 
△9,500
  

 
 
2,708,500
  

덕산정수장 2단계 오존 및 입상활성탄 처리시설 착공
(2000.2월) - 500천㎥/일
기장군 정수장 3개소(서부, 동부, 이천정수장) 폐쇄
(2000.6.29)

 2001

 
 
 
 
 
 
 
 
 
 
△1,500 

 
 
 
 
 
 
 
 
 
 
2,707,000 

덕산정수장 1단계 입상활성탄시설 준공 → 1,055천톤/일
(2001.4.19)
입상활성탄 재생설비 준공 → 12톤/일 (2001.5.14)
명장정수장 정수시설 개량공사 착공
 → 170천톤/일 규모의 정수시설 개량 (2001.2.9)
제24차 요율개정(평균 12.43%인상) (2001.7.1)
물금취수구 정비공사 착공
 → 480천톤/일 규모의 취수구 정비 (2001.8.1)
화명정수장 기설여과지 개량공사 착공
 → 240천톤/일 규모의 기설여과지 개량 (2001.11.14)
기장군 정수장 노후여과시설 폐쇄 (2001.12.31)

 

(3) 재정규모

부산시 상수도사업은 지방공기업으로 기업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으며, 지출을 상수도사업 수입으로 충당하는 독립채산제로 운영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수도행정은 일찍부터 일반회계와 분리하여 특별회계로 운영하고 있으며, 주민은 생활용수 공급의 반대급부로써 수혜자 부담원칙에 따라 정당한 사용료를 납부해야 할 의무가 있고, 시는 주민의 부담금을 재원으로 시민에게 값싼 양질의 물을 풍부하게 공급해야 할 의무가 있다.

따라서 상수도사업에 소요되는 모든 비용은 정부지원이 없는 한 그 지역 수혜주민이 부담해야 함이 원칙이나, 상수도특별회계는 경제성외에 공공복리 증진을 중시하여 독자적인 재원조달에 제한을 받고 있어 시설확장, 노후관개량 등 투자재원의 기채차입에 따른 원금과 이자까지 주민이 부담하고 있다.


부산시 상수도특별회계의 시설 및 예산규모는 '63년 직할시 승격당시 생산시설 80천㎥/일, 예산 262백만원이던 것이 '70년 2차 확장사업 완료시에는 261천㎥/일, 2,650백만원으로 신장되었고, 그 후 제4차 확장사업을 완료한 '82년에는 945천㎥/일, 56,506백만원, 제5차 확장사업을 완료한 '89년에는 2,000천㎥/일 생산능력을 갖추었고, 예산액 132,310백만원, 제6차 상수도확장 1단계 사업을 완료한 '95년에는 2,508.5천㎥/일 생산능력에 예산액 220,408백만원, 전용공업용수 시설을 완료한 97년에는 2,718천㎥/일 생산능력에 예산액 248,696백만원, 2001년에는 생산능력 2,707천㎥/일, 예산액은 295,435백만원이며, 자산총액은 '70년 1월 1일 지방공기업 체제를 갖출 당시 13,368백만원에서 2001년말 1,505,479백만원으로 크게 늘어나게 되었다.


상수도특별회계 연도별 예산현황

(단 위 : 백만원)

63

70

80

90

95

96

97

98

99

2000

2001

262

2,650

28,576

127,900

220,408

270,045

248,696

233,324

255,943

307,621

295,435

 

  나. 시설현황

(1) 수원시설

부산시 상수도 수원시설은 회동, 법기 2개 수원지와 매리, 물금, 오륜 및 공업용수 4개 취수장이 있다.

수 원 지 현 황

수 원 지 명

집수면적(천㎡)

만수면적(천㎡)

총저수량(천㎥)

유효저수량(천㎥)

100,130

2,362

20,014

16,595

회 동

93,280

2,171

18,507

15,153

법 기

6,850

191

1,507

1,442

 

취 수 장 현 황

취 수 장 명

송 수 처

취 수 능 력

펌 프 모 터


2,946천㎥

42대 (58,546HP)

오 륜 취 수 장

오 륜 정수장

66

3대 ( 1,450HP)

물 금 취 수 장

회 동 수원지

180

4대 ( 6,000HP)

물 금 취 수 장

화 명 정수장

660

11대 (14,700HP)

매 리 취 수 장

덕 산 정수장

1,725

19대 (35,796HP)

공업용수취수장

공업용수 정수장

315

5대 ( 600HP)

1902년에 축조하여 하루 2천㎥씩 생활용수를 공급하던 구덕수원지는 그 역할이 미미하여 1968년에 폐쇄하였고, 성지곡수원지도 주변일대를 시민에게 유원지로 개방함에 따라 '71년부터 전용공업용수로 이용하다가 '85년 1월 10일 전면폐쇄하였다. 회동, 법기수원지는 20,014천㎥을 저수할 수 있으며, 유효저수량은 16,595천㎥이다.

부산시는 낙동강(물금, 매리, 공업용수 취수장)에서 전체 취수량의 97.7%인 2,880천㎥, 그리고 회동수원지(오륜취수장)에서 66천㎥, 총 2,946천㎥을 취수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

 

(2) 정수시설

부산시에는 덕산, 화명, 명장, 오륜동, 범어사, 공업용수 및 기장군내 3개 정수장이 있다.

시설용량은 2001년말 현재 총 2,707천㎥으로 그 중 덕산정수장이 1,555천㎥으로 57.4%, 화명정수장이 600천㎥으로 22.2%, 명장정수장이 277천㎥으로 10.2%, 오륜정수장이 60천㎥ 으로 2.2%, 범어사정수장이 8천㎥으로 0.3%, 공업용수정수장 200천㎥으로 7.4%, 기장군 3개 정수장이 7천㎥으로 0.3%를 차지하고 있으며, 정수시설은 침전지, 여과지, 오존 접촉지, 생물활성탄 접촉지 및 약품소독실로 구성되어 있고, 침전지는 원수에 함유된 여러가지 불순물을 약품으로 침전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여기에 쓰이는 약품은 응집제로 알루미늄계통 응집제(PAC, PSO-M 등)사용하며 응집보조제로 소석회 및 분말활성탄을 사용하고 있다.

여과지는 침전지에서 미처 제거되지 않은 미세입자(콜로이드 물질)를 다시 제거하기 위해 모래층과 자갈층을 거치도록 하는 시설로서 급속여과지와 완속여과지 2가지가 있다. 한편 고도정수처리시설인 생물활성탄 접촉지는 기존 정수공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이취미 물질, 트리할로메탄 전구물질, 미량유기화합물, 음이온계면활성제 등을 제거하기 위한 시설이며, 약품소독실은 정수처리공정을 거친 물을 살균처리하는 곳으로 여기에 쓰이는 약품은 액체염소 등이 있다.


정 수 장 현 황

정수장명

일생산량

여 과 지

침 전 지

2,707천㎥

158지 (20,296㎡)

60지 (312,381㎥)

명             장

277

44 (2,022)

9 (42,803)

화             명

600

50 (6,226)

18 (77,440)

오      륜    동

60

8 (504)

4 (12,840)

범    어     사

8

4 (4,264)

3 (14,784)

덕            산

1,555

52 (7,280)

18 (127,074)

기장군(3개소)

7

-

-

공   업  용  수

200

-

8 (37,440)

 

(3) 송·배수설비

배관은 도수관, 송수관, 배수관 등 총연장이 8,477㎞에 달하며, 전체 배관의 2.3%에 해당하는 197㎞가 노후되어 배수관 부설과 아울러 노후관 통합개량에도 역점을 두어 연차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


배 관 현 황

구 분

연 장

구 경 및 연 장

8,477㎞


도 수 관

82㎞

350 ∼ 1,000㎜ → 22㎞
1,100 ∼ 1,500㎜ → 39㎞
1,650 ∼ 2,400㎜ → 21㎞

송·배수관

3,099㎞

80 ∼ 500㎜ → 2,766㎞ 700∼1,000㎜ → 157㎞
525 ∼ 630㎜ → 47㎞ 1,100∼2,500㎜ → 129㎞

급 수 관

5,296㎞

15 ∼ 65㎜

부산시는 다른 도시에 비해 수원이 멀고 지형상 고지대가 많아 생산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가압장과 배수지를 설치해야 하는 등 많은 어려움이 있다.

가압장과 배수지는 최대 급수지역과 최소 급수지역의 불균등을 조절하여 모든 시민들이 골고루 상수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설로서, 현재 배수지 46개소 268천㎥, 양수장 94개소, 송수시설 2개소 등 총 96,999HP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나, 시역내 급수난을 완전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시설을 확장해야 하는 실정이다.

 

양 수 및 송 수 시 설

구 분

개 수

설 비

펌 프 모 터 (대)

마 력 (HP)

96

296

96,999

가   압   장

94

275

82,319

송 수 시 설

2

21

14,680

 

배 수 지

개 수

지 수

용 량 (㎥)

46

92

268,179

 

(4) 관 개량

부산은 해안도시로 염분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종전에 사용하던 아연도백강관은 관내부 부식이 잘되어 누수 및 불출수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녹물로 인하여 수질을 저하시키고 있어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984년 9월 15일부터 상수도 공사에 사용하는 관은 각종 실험을 거쳐 경제성, 내식성 및 시공이 용이한 시멘트라이닝주철관, 강관 및 스테인레스강관 등으로 시공하여 관수명 연장과 함께 누수 및 불출수를 줄여 나가며, 녹물 방지로 수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다. 급수 현황

부산시 상수도 생산량은 평균 1,279,953㎥/일로 부산시 전체인구 3,786천명중 3,726천명에게 공급하며, 급수보급률은 98.4%이고, 1인당 1일 급수량은 343ℓ로서 1970년 190ℓ에 비하여 153ℓ가 증가한 량으로 선진국 수준에 달하고 있으며, 용수별 이용현황과 연도별 상수도 급수추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용 수 별 이 용 현 황

구 분

인 구(천명)

생산 능력(㎥)

보 급 률(%)

1일1인 급수량(ℓ)

3,786

2,723천

100


상   수   도

3,726

2,707

98.4

343

간이상수도

40

12

1.1


정   호   수

20

4

0.5


 

연 도 별 급 수 추 이

              연도별
 구 분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2000

2001

급수 인구(천명)

3,706

3,803

3,803

3,793

3,777

3,791

3,789

3,779

3,763

3,758

3,750

3,726

보   급   률 (%)

97.6

97.7

97.8

98.1

98.2

97.4

97.7

97.8

97.9

98.1

98.4

98.4

일 생산량(천㎥)

1,518

1,579

1,628

1,622

1,594

1,483

1,537

1,506

1,435

1,442

1,384

1,280

1일1인급수량(ℓ)

409

415

428

428

422

391

406

399

381

384

369

343

 

  라. 시영온천

부산시는 동래와 해운대 두곳에 온천수가 있으며, 현황과 연혁은 다음과 같다.

시영 온천탕원 현황

구    분

수원수(개소)

생산능력(㎥/일)

수 온(℃)

사용업소

13

2,800

30∼67

86

동     래

6

1,100

64∼67

39

해 운 대

7

1,700

30∼61

47

 

(1) 동래 온천

개발 연도는 확실치 않으나 신라시대부터 온천으로 활용하기 시작하여 조선 고종때 공유(公有)로 운영했으며, 1893년 일본 거류민단이 경영권을 임대하여 운영하였다.

1942년에는 한국인과 일본인이 합자하여 동래온천주식회사를 설립 운영하였으나, 1945년 해방과 더불어 부산시와 한국인 주주간에 이견이 있어 1946년 동래온천주식회사를 해산하고 부산시가 완전 인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해운대온천

해운대 온천은 1887년 일본인이 온천원을 개발하여 1932년 일본인 합자회사를 설립, 독점사업으로 운영하다가 해방과 더불어 방치된 채 인수권 문제를 둘러싸고 우여곡절을 겪다가 1945년 부산의 각 기관과 시민들의 여망에 따라 부산시 소유로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상수도 발전과정  2.상수도 시설확충  3.상수도 사용료 과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