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an Metropolitan City, �λ걤���� 2001�� �����鼭�����鼭 ����Ű�� ġ�ø� �����鼭 Ȩ���� �̵��մϴ�.
��1�� ����������2�� ���� �ι��� ���� �� ��ȹ��3�� �������η���ü��Ϻ���

 ��Ȳ/�λ�������¹׵���

 ����Ȱ��ȭ��å/��������å/��������������/
������������ȭ

 ������ġ�Ϲ���Ȳ/2001���ֿ������ȹ/
�������׼�������

 �������������/�跮��Ȯ��/ǰ���/
������ü��

 

 

1 외자유치 일반현황     2. 민간투자사업의 추진     3. 통상지원 및 수출진흥

3.  통상지원 및 수출진흥

가. 수출입 현황

부산지역 수출은 90년 68억불을 최고치로 한 이후 계속 감소하여 2000년은 54억불로서, 전국대비 부산 지역 비중은 3.1%에 불과한 실정이다. 한편 수입은 '96년 59억불이 가장 높았으며, 2000년 수입은 42억불로서 무역수지는 12억불 흑자를 기록하였다.

부산지역 수출입현황

(단위 : 백만불, %)    

연 도

수 출

수 입

수 지

금 액

증가율

금 액

증가율

1988

6,274

-

3,177

-

3,097

1989

6,294

0.3

3,504

10.3

2,790

1990

6,785

7.8

3,938

12.4

2,847

1991

6,499

-4.2

4,417

12.2

2,082

1992

6,323

-2.7

4,251

-3.8

2,072

1993

6,007

-5.0

4,372

2.9

1,634

1994

6,058

0.9

4,851

10.9

1,207

1995

6,463

6.7

5,738

18.3

725

1996

6,227

-3.7

5,900

2.8

326

1997

5,949

-4.5

5,261

-10.8

688

1998

5,084

-14.5

3,190

-39.4

1,894

1999

5,145

1.2%

3,864

21.1%

1,281

2000

5,400

5.0%

4,200

8.7%

1,200

 

나. 수출부진 원인

부산지역 수출부진의 근본적 원인은 부산기업의 취약한 산업구조와 수출기업의 영세성으로 품질 및 가격경쟁력과 마케팅능력이 부족하고 지역수출업체의 역외이전이 장기화된 데 기인한다. 이와 함께 외부환경적 요인은 IMF사태와 삼성자동차의 가동중단, 환율하락에 따른 채산성 악화 여파와 최근 대우자동차 문제도 크게 작용하였다 , 주요수출시장인 미국, 일본의 수출증가세가 둔화 소폭의 수출 증가율에 그쳤다.


다. 수출진흥대책 방향

부산지역의 수출진흥대책은 중·장기대책으로 구분하여 추진하고 있다. 단기대책은 중소기업체의 해외마케팅 지원, 수출유망제조업의 육성, 수출금융 및 보험의 지원, 부산상품의 해외홍보 강화 등이 있다.
중장기대책은 무역인프라 구축, 즉 산업용지 확충, 국제종합전시장·컨벤션센터 건립,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건립 등이 있고, 신발·섬유, 자동차부품, 조선기자재, 소프트웨어 등 10대 전략산업 육성을 통한 산업구조 고도화, 런던금속거래소 지정창고 유치 등 서비스무역 활성화, 부산항 관세자유지역 (Free trade Zone) 지정, 테크노파크 사업 추진 등이 있다.


라. 2000 추진실적

(1) 총력수출지원체제 구축
부산지역의 장기적인 수출감소 현상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당면 중소수출업체의 애로요인을 효율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2000년 12월 「부산광역시수출진흥대책」을 수립하고 「부산수출촉진전략회의 실무회의」를 개최하여 참석기관·단체(9개)의 2000수출지원시책 발표와 함께 전략회의 운영방안과 공동지원방안, 기업애로 해소방안을 논의하였다. 전략회의 운영방안으로는 본회의시 수요자인 수출업체를 많이 참석시켜 실질적인 성과를 거양하자는 방안이 제안되었고 공동지원방안으로는 각 기관 수출시책을 기관별로 모아서 각 기관 공동명의로 홍보책자를 발간 배포 및 수출업체 D/B의 공동운영 관리 방안이 제의되었다. 기업애로 해소방안으로는 KOTRA에서 「수출기업화사업」수혜업체 확대건의가 있었다. 이러한 실무회의의 개최를 통하여 수출지원기관 단체의 공조체제 구축의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또한 실무회의 개최결과 지역수출업계, 지원기관·단체 대표간의 정례적인 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지역단위의 수출총력 대응태세 구축 및 정부의 대통령주재 「무역·투자 진흥대책회의」, 산업자원부장관 주재「무역·투자 전략회의」와 연계한 지역단위의 민·관 합동 총력수출협의체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99. 4. 8 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장 주재하에 유관기관·단체, 상공인, 수출업계 등 관계자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지역수출진흥대책회의」가 개최되었다.
회의내용은 부산시에서 「부산지역수출진흥대책회의」 운영방안 및 부산광역시 수출진흥 전략을 발표하였고, 산자부는 최근 수출입동향 및 전망을, 무역협회에서는 부산지역 수출입동향 및 전망을 각각 발표하였으며 뒤이어 수출업계의 건의사항 및 지원기관간 협조사항에 대한 토의가 있었다. 토의결과 수출업계의 건의사항이 10개 업체 18건, 지원기관·단체 협조사항이 6개 기관 12건으로 나타났으며, 중소 기업청 수출지원센타와 연계하여 건의사항 해결을 위해 노력하기로 하였다. 회의의 성과로는 기업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효율적 지원방안을 공동 마련하고 지원기관 단체간 협조사항을 효율적으로 검토하는 계기가 되었다.

(2) 해외시장 개척지원
지역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세계주요 무역거점도시에 무역사무소를 설치, 운영하고 있는데 현재 마이애미, 시모노세키, 상해 등 3개 무역사무소가 있다. 이 무역사무소에서는 부산상품의 전시 및 소개와 현지 구매바이어를 발굴하여 상담을 알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업체의 임시 사무소로 이용되기도 하며 시정홍보, 관광·투자유치활동도 하고 있다. 총 327개사의 상품을 전시하고 마케팅을 위해 노력한 결과 2000년에는 수출 계약 2,069만불, 상담 4,667만불의 성과를 거두었다.
자매·행정협정도시 및 무역거점도시에 재외동포를 통상자문위원으로 위촉하여 수출입상담, 거래알선 등 수출상담창구로 활용하고 있다. 2000년 외국도시간 산업(기업)교류협력 조사사업으로 호주 빅토리아주, 뉴질랜드 오클랜드시, 일본 후쿠오카시의 산업(기업)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빅토리아주 IT, 자동차부품, 후쿠오카시를 거점으로한 큐슈지역과의 IT, 자동차부품, 환경산업, 오클랜드시와의 관광, 교육등의 경제교류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2001년 8월 빅토리아주 IT 해외시장개척단 파견과 B.B. 21 Project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지역 중소기업이 해외 주요 무역거점도시를 순회하며 현지 바이어와의 집중적인 수출상담을 할 수 있도록 지원키 위한 해외시장 개척단파견과 세계주요박람회에 지역업체 제품을 전시하여 방문바이어와 수출 상담을 할수 있도록 지역중소제조업체를 참가지원 하였다.
2000년에는 시장개척단을 동구, 중동, 아프리카, 중국등 7개국에 파견하였는데 35개사가 참여하여 수출계약 2,227만불, 상담 7,920만불에 이르는 성과를 거두었고 또한 미국, 독일, 중국 등 6개국에서 개최된 박람회에 56개사가 참여하여 수출계약 1,532만불, 상담 14,232만불의 성과를 거두었다.
2001년에도 지역중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일본, 중국, 싱가폴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5회 50개사를 시장개척단으로 파견할 예정이며, 세계 주요박람회에도 5회에 26개사를 지원할 예정이다.  

해외시장개척단 파견 현황
 

년도

시개단명

기 간

방 문 도 시

참가

업체수

참가성과(천불)

주 관

지원예산

(천원)

상담액

계약또는

계약추진

누계

13회


39개도시

159

356,186

67,212


576,186

소계

3회


9개도시

35

79,200

22,268

KOTRA

150,000

2000

동유럽

3.26- 4. 7

바르샤바,프라하,
모스코바

11

28,522

6,841

55,000

중동아프리카

5. 1- 5.12

두바이,나이로비,
카이로

12

32,512

6,372

55,000


중국

6.18- 6.25

북경,청도,상해

12

18,166

9,055

무역

협회

40,000

소계

3회


9개도시

38

63,472

16,849

147,186

'99

유럽

3.14- 3.25

마드리드,리스본,
이스탄불

13

24,484

6,849

55,000

중동

5.17- 5.28

테헤란,암만,리야드

13

21,054

4,760

50,000

아시아

9. 2- 9.12

싱가포르,자카르타,

쿠알라룸푸르

12

17,934

5,240

42,186

소계

3회


9개도시

38

71,401

13,337

140,000

'98

동유럽

5.20- 5.31

모스코바,바르샤바,
프라하

11

18,447

4,583

50,000

아시아

9. 6- 9.16

방콕,호치민,싱가폴

13

21,432

3,957

40,000

중남미

10.28-11.10

보고타,리마,
부에노스아이레스

14

31,522

4,797

50,000

소계

4회


12개도시

48

142,113

14,758

139,000

'97

중동

5.19- 5.31

두바이,제다,카이로

14

29,032

3,843

30,000

중국

6. 2- 6.11

상해,광주,대련

10

11,647

70

32,000

중남미

10.10-10.24

마이애미,상파울로,
산티아고

12

22,580

4,664

42,000

동남아

11.12-11.22

자카르타,
쿠알라룸푸르,방콕

12

21,704

651

35,000


세계 주요박람회 참가 현황
 

년도

전시회 명

장 소

기 간

참가

업체수

참가성과(천불)

주 관

지원예산

(천원)

상담액

계약또는

계약추진

누계

26회



187

362,933

55,926


710,600

소계

7회



54

142,317

15,317


180,000

2000

베트남하노이
종합박람회

하노이

4. 6∼ 4.10

6

2,388

514

KOTRA

23,000


서울국제식품
기술전

서울코엑스

4.15∼ 4.18

8

893

397

10,100


쿠알라룸푸르
기계박람회

쿠알라룸푸르

6. 7∼ 6.11

6

7,259

805

27,320


꽝조우 종합

꽝조우

7.26∼ 7.30

6

399

15

무역협회

19,580


프랑크푸르트
소비재

프랑크푸르트

8.25∼ 8.29

6

537

220

KOTRA

22,410


함부르크
조선기자재

함부르크

9.26∼ 9.30

10

9,960

1,036

무역협회

43,000


라스베가스
자동차부품

라스베가스

10.31∼11. 3

6

20,000

-

KOTRA

23,710


서울자동차 부품

서울코엑스

11.23∼11.26

6

2,657

890

KOTRA

10,100

소계

8회



59

112,645

19,591


179,000

1999

인도산업박람회

뉴델리

2.12∼2.17

9

28,020

4,210

KOTRA

29,000


꽝조우박람회

꽝조우

7. 8∼7.13

8

17,697

4,728

32,000


자그레브
추계종합박람회

자그레브

9.13∼9.19

7

4,630

2,775

24,000


독일프랑크푸르트
박람회

프랑크푸르트

8.27∼8.31

5

6,990

3,580

19,000


미국시카고
하드웨어박람회

시카고

8.15∼8.18

6

4,390

2,190

23,000


후쿠오카
국제견본시

후쿠오카

9. 8∼9.12

9

28,700

-

16,000


ASPAT

서울

10.13∼10.17

7

1,658

18

13,000


두바이
추계종합박람회

두바이

11.21∼11.25

8

20,560

2,090

23,000

소계

6회



41

47,244

12,815


150,000

1998

L/A한국박람회

L/A

5. 2∼5. 3

4

705

235

L/A한인회



뉴욕문구박람회

뉴욕

5.16∼5.19

4

888

388

KOTRA

11,500


말레이시아
산업기계박람회

쿠알라룸푸르

6. 3∼6. 7

7

12,055

2,550

36,500


중국꽝조우
종합박람회

꽝조우

7.15∼7.20

8

15,626

5,902

KOTRA

39,400


동경산업부품전

동경

10.27∼10.29

10

10,680

140

24,500


두바이춘계
종합박람회

두바이

11. 8∼11.12

8

7,290

3,600

38,100

소계

9회



67

60,737

8,653


201,600

1997

북경국제박람회

북경

4. 3∼4. 8

3

2,833

694

KOTRA

7,800


쿠알라룸푸르
산업기계박람회

쿠알라룸푸르

6. 4∼6. 8

6

6,659

1,086

24,800


연태APEC박람회

연태

6. 6∼6.10

10

5,705

767

23,000


미국시카고
하드웨어박람회

시카고

8. 8∼8.15

4

8,611

426

8,000


독일프랑크푸르트
소비재박람회

프랑크푸르트

8.23∼8.27

3

2,779

277

12,000


멕시코한국상품전

멕시코

9. 1∼9. 5

10

4,688

451

33,500


일본후쿠오카
박람회

후쿠오카

9.11∼9.15

11

1,388

384

30,000


남아공국제박람회

요하네스버그

10.4∼10.7

10

15,899

4,568

36,900


일본동경
산업기계부품전

동경

10.4∼10.7

10

12,175

-

25,600


아울러 고환율 시대에 지역 영세중소기업이 해외출장을 하지 않고도 수출상담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외 유력바이어 초청 무역상담회도 개최하였다. 2000년에는 일본, 베트남, 미국에서 바이어를 초청하여 상담회를 가졌으며 지역기업 280개사가 이 상담회에 참여하여 수출계약 1,585만불, 상담 2,363만불에 이르는 성과를 거두었다.

해외바이어 초청상담회 개최 현황
 

년도

상담회명

개최장소

개최기간

참가결과(만불)

참 가
바이어

상담액

계약또는
계약추진

누계

10회



512

20,210

5,744

소계

2회


  

46

2,363

1,585

2000

일본바이어무역상담회

조선비치호텔

6. 29

15

335

268

"

베트남바이어무역상담회

조선비치호텔

7. 19

26

435

99

"

미국바이어무역상담회

그랜드호텔

8. 28

5

1,593

1,218

소계

3회


  

216

6,477

1,211

'99

춘계무역상담회

파라다이스호텔

5. 7

105

2,204

430

"

추계무역상담회

그랜드호텔

10. 18

101

3,661

731

쟈그레브무역상담회

파라다이스호텔

11. 26

10

612

50

소계

5회



250

11,370

2,948

'98

요르단구매단

부산시청

3. 17

7

180

145

무역상담회

그랜드호텔

5. 22

82

3,990

1,050

"

기계 및 산업설비상담회

호텔롯데

9. 25

33

1,833

240

"

레바논상담회

그랜드호텔

10. 27

18

1,027

353

"

상해무역상담회

양자강호텔

11. 2

110

4,340

1,160


(3) 수출유망 제조업 육성
수출가능성은 있으나, 자력수출능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선정하여 수출마케팅 기초단계부터 지원하여 해외진출능력을 제고하고 수출에 대한 자신감을 확보토록 하여 유망수출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수출기업화사업} 을 1994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2000년에는 25개업체를 선정하여 기초마케팅 능력배양사업과 해외시장개척 활동 등 10개 사업에 시비 및 국비로 업체당 500만원내외의 사업비를 지원하였다.

수출기업화사업 추진 현황
 

        연도별
구분         

'94

'95

'96

'97

'98

'99

'00

대상
업체

1차

9

13

14

12

12

12

25

2차

-

9

13

14

12

12

9

22

27

26

24

24

25

지원액(백만원)

-

50

40

40

40

40

110(국비55, 시비55)


중소수출업체의 필요자금을 지원해 주기 위해 수출촉진자금을 정책금리로 융자하고 있다. 이는 신기술 개발이나 해외홍보에 필요한 자금, 또는 해외시장 개척, 국제박람회 참가비용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서 2000년에는 12개사에 567백만원을 지원하였으며 원활한 중소기업금융지원을 위해 2000. 12월부터는 재단법인 중소기업지원센터에 이를 위탁 운영하고 있다.
지역수출기업이 신규로 수출을 하거나 신규 바이어와의 거래가 성사되었을 경우 또는 해외시장 개척사업이나 국제박람회 참가시 성사된 거래로 인해 수출할 경우 수출대금 미회수 위험부담을 해소시키기 위해 수출신용 보증보험료 지원을 하고 있으며 2000년에는 35개사에 대해 22백만원을 지원하였다.
무역업체 임직원 및 공무원 5회 155명을 대상으로 무역실무, 인터넷무역, 관세법, 무역운송에 관한 통상교육을 실시 사이버무역 확산과 물류비 증감에 대비하였다.
급변하는 무역환경에 지역업체들의 능동적인 수출 대응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지역기업에게 해외거래선 알선 D/B 5개, 주요국 수입통관제도, 지역무역통계, 지역수출입체 정보 D/B 등 총 10개의 D/B가 포함된 무역정보를 99년부터 제공하고 있다.


(4) 부산상품의 해외홍보

부산지역 무역업체의 해외홍보를 강화하고 해외거래선에게 접근 편이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99년 3,000개 업체가 수록된 부산무역업체 디렉토리를 2000부 제작하여 전세계 무역기관, 주한 외국상사 등에 배포하였고,.
2000년에는 4000개업체가 수록된 CD를 제작하여 배포하였고 2001년에는 무역업계 종합 D/B를 구축하여 부산시홈페이지 무역정보란을 통하여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2000년에는 부산우수 수출상품을 해외에 홍보하고, 신제품 개발의지를 고취하기 위하여 99년 제1회 부산 {수출상품대상} 제도를 제정 운영하였으며, 2000년에는 4개 업체를 발굴 시상금 지원 및 해외홍보 전문지인 MART KOREA에 수상업체의 기사광고 및 상품광고를 동시 게재 부산지역 우수 수출상품을 홍보하였으며, 2001년 시장개척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인터넷을 통한 지역상품 정보의 신속한 세계전파를 위해 부산상품 인터넷홈페이(pusan.products.co.kr)를 영어 및 한글로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정보와 상품정보를 소개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현재 363사 1,080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고 보다 적극적인 업체 지원을 위해 2000. 12월에 중소기업지원센터에 이관하였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서 발행하는 KOREA TRADE지에 부산상품을 게재하여 79개국 115개 KORTA무역관을 통해 해외바이어에게 배포하여 부산상품을 해외에 홍보하고 있다.
2000년에는 4회에 걸쳐 50개사의 상품을 홍보하였으며, 2001년에도 5회 40여 개사에 지원할 계획이다.

KOREA TRADE지 게재 현황
 

년도별

'93

'94

'95

'96

'97

'97

'99

'00

지원업체수

20

25

84

92

84

50

50

50


(5) 부산인터넷무역센터 운영
부산지역의 중소 수출업체 상품의 해외홍보와 인터넷무역거래 알선, 사이버몰 등 전자상거래시스템 구축, 기타 인터넷을 통한 제반 경제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부산시와 민간이 운영협약을 체결하여 「부산인터넷무역센터(Internet Trade Center : ITC)」를 '98. 3. 4 설립하였다.
이 센터 설립에 따른 역할 분담은 우리 시에서 사무실과 부대시설의 사용환경 제공, 사무실운영에 필요한 컴퓨터와 주변기기제공, 인터넷 사용환경 등을 제공하고 민간은 소요인력에 대한 인건비와 국내외 인터넷무역 바이어, 오퍼 등에 관한 정보제공 등으로 하였다. 당초 정보통신담당관실에서 설립, 주관하여 운영하였으나 '99. 3. 17 부산인터넷무역센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국제통상과로 이관되었고, '99. 7. 29 부 산시 조직개편에 따라 기업지원과로 업무가 이관되었다.
부산인터넷무역센터는 2년 동안 75개 업체를 관리하면서 무역사이트 자동등록 프로그램(tradewiz)을 자체 개발하여 해외유명 무역사이트(150개)에 부산상품 4,513건을 홍보하였고, 바이어 인콰이어리 처리 3,050건, 무역상담 1억 2,540만불, 수출계약 2건 321만불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또한 인터넷무역을 위한 업무용도메인 6종과 인터넷무역용 S/W 및 시스템 6종을 개발하여 부산지역 중소수출기업체의 인터넷무역 증진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1999년 들어 국내외적으로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인터넷무역의 중요성이 증가되었으나 전자상거래시대 공공기관의 역할에 대한 대책회의 결과 사이버몰 구축 운영 등 인터넷무역사업은 공공투자보다 민간투자가 바람직하며 공공기관은 기업내부 정보화와 인터넷무역을 위한 기반조성에 우선 지원되어야한다는 결론에 따라 부산인터넷무역센터는 2000. 3월 민간업체로 독립시켰다.


(6) 부산무역전시관 운영

부산무역전시관은 연면적 6,723.65㎡(지하 1층, 지상 2층)의 건물로 1993년 9월에 공사 착공하여 1994년 6월에 완공 개관 운영해오고 있으며 주요시설로는 전문전시장 (3,253.67㎡), 상설전시직매장(746.40㎡), 회의실(505.01㎡), 기타 부대시설 등이 있다. 부산무역전시관은 국내 전시문화의 열악한 환경에서도 서울의 COEX, 서울종합전시장, 대구종합전시장과 더불어 기업의 수출진흥을 위한 상품전시공간 및 상담기 회를 제공하는 등 무역전시장으로서의 명맥을 이어왔을 뿐 아니라, 특히 부산지역 중소기업의 수출을 증대하고 지역생산제품의 홍보기회 확대 및 기술·정보교류 촉진의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해 오고 있다. 시설운영의 내실을 기하고 경쟁력 확보를 위해 1994년 7월부터 민간에 위탁하여 관리 운영하고 있으며 지금은 (주)부산전시·컨벤션센터에 위탁하여 관리 운영하고 있다. 1994년 6월 개관에서부터 2000년도까지 643백만원의 당기순이익을 내었고, 2000년도에는 총매출액 603백만원, 총지출 552백만원으로 51백만원의 당기순이익을 남겼다. 또한 전문전시장 및 상설전시 직매장 등 시설물 가동률 제고를 위해 전문전시회 19회 개최(유치), 지역유망기업 26개사의 33개 수출유망상품을 상설전시판매하고 있다.

부산무역전시관 수지 현황

(단위:천원)   

구    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수    입

369,844

856,665

812,453

1,092,854

939,044

752,381

603,233

지    출

324,060

835,882

688,753

930,510

787,218

613,123

551,580

당기순이익

45,784

20,783

123,700

162,344

151,826

139,258

51,653


(7) 부산전시·컨벤션센터 건립
부산전시·컨벤션센터는 1993년 7월 우리시가 부산국제종합전시장 건립부지를 무상으로 제공하는 조건으로 부산시에 건립하도록 재정경제원에서 1994년도 예산에 100억원을 편성하면서, 1994년 2월에 상공자원부가 사업비를 1,000억원(국비 500억원, 시비 250억원, 기타 250억원)으로 하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국비 및 시비를 연차적으로 보조받아 건립을 전담토록 하는 부산국제종합전시장건립기본계획 을 수립하였으며, 1994년 4월 KOTRA 조직내에 건립추진전담반을 설치 추진해오다가 건립 및 운영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건립전담법인의 설립 필요성이 절실하여 1995년 12월 우리 시와 KOTRA 그리고 현대건설컨소시엄이 참여하는 주식회사 부산국제종합전시장(1998년 2월에 "주식회사 부산전시·컨벤션센터-BEXCO"로 변경)을 설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법인설립과 함께 사업의 주도력을 확보한 우리시는 국제전시회 유치 및 전시장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있어야 할 국제회의시설을 전시장과 동시에 건립하도록 하는 우리 시 부산컨벤션터건립기본방침(사업비 600억원)을 확정하여 두 시설을 동시에 건립 추진하게 되었다. 건립공사는 설계시공일괄입찰(Turn-Key)방식으로 실시설계를 한 결과 전시장 부분이 1,135억원, 컨벤션센터는 600억원에서 465억원으로 모두 1,600억원의 사업비가 확정 추진되고 있다.
부산전시·컨벤션센터는 해운대구 우동 센텀시티(구 수영비행장 부지) 내에 부지 134,607.34㎡, 건물연면적 92,761.44㎡의 규모로 1998년 10월에 공사를 착공하여 2001년 3월 완공을 목표로 BEXCO가 현대건설을 시공자로, 일신설계를 감리자로 정하여 건립 중에 있으며 2000년말 현재 건축, 설비, 전기공사가 진행되고 있고 공정율은 87% 정도를 보이고 있다. 주요시설로는 전문전시장(26,445.79㎡), 옥외전시장(13,223.14㎡), 국제 회의실(4,962㎡), 글래스 홀(4,843㎡) 등이 있다. 사업비는 국비 530억원, 시비 640억원, 민자 430억 등 총 1,600억원(전시장 1,381억원, 컨벤션센터 465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2000년도까지 국비 430억원, 시비 548억원, 민자 403억원 등 총 1,387억원이 투자되었으며, 2001년 3월 완공과 함께 우리 시에 기부 채납된다. BEXCO는 우리나라의 심각한 전시공간 부족현상 해소는 물론 국제회의·전시문화 여건의 획기적 개선과 글로벌시대 환태평양 경제권 및 동북아 경제권의 거점도시로서의 중추관리 기능을 강화하게 하는 등 국제회의·전시산업도시로의 육성 발전 및 경쟁력 있는 비즈니스환경 조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연도별 재원 및 투자계획

(단위:억원)    

구       분

총사업비

기 투 자

2001 투자계획

소 계

1999이전

2000

1,600

1,381

631

750

219

국 비

530

430

310

120

100

시 비

640

548

298

250

92

민 자

430

403

23

380

27

전 시 장

1,135

958

450

508

177

국 비

500

400

300

100

100

시 비

250

200

150

50

50

민 자

385

358


358

27

컨벤션센터

465

423

181

242

42

국 비

30

30

10

20


시 비

390

348

148

200

42

민 자

45

45

23

22



(8) 부산광역시 통상자문위원 운영
자매도시, 수출거점도시, 해외무역사무소가 있는 나라들의 주요도시에 살면서 무역에 경험이 있는 인사들을 「부산시 통상자문위원」으로 위촉하여 부산 해외시장 개척을 도와주고 있으며 1998. 9. 1. 6개국6개도시(뉴질랜드 오클랜드, 남아공화국 요하네스버거, 일본 후쿠오카, 베트남 호치민, 미국 LA,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2000. 9. 1. 9개국 13개 도시(미국 뉴욕, 캐나다 몬트리올, 일본 오사카, 남아공화국 케이프타운, 중국 광동성, 산동성, 호주 빅토리아주)로 확대 위촉하였다. 이들은 부산시정 홍보 및 부산알리기 추진으로 민간외교 창구역할, 부산상품 수출증대에 필요한 거주지역 통상정보 자료수집·제공, 부산기업 수출상품 홍보·상담 및 거래알선, 무역박람회, 시장개척단, 전시회 안내 및 통역지원 등의 활동을 하고 있으며, 2000년 활동사항으로는 현지 통상정보 모니터(29회), 상담·거래지원(17회), 구매상담회(1회), 부산알리기 활동(24회), 수출계약(4회), 기타(13회)등이 있다. 통상자문위원 제도는 부산 기업이 직접 해외에 나가지 않고도 해당 지역에 부산을 알리고, 무역·통상정보 수집가능 등 민간외교의 창구역할, 해외무역사무소 개설의 대체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해외진출을 해야하는 기업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시책으로서 활동내용에 근거 차등의 활동비를 지급하고 있다. 2000. 11. 14 ∼ 11. 17 나흘동안 통상자문위원 13명 모두를 부산에 초청하여 격려하고, 중소기업지원센터 등의 시정시찰과 7개 기업의 생산 현장을 방문하여, 부산기업·상품에 대한 정보의 습득과 시정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앞으로 더욱 적극적인 통상자문 활동을 할수 있도록 하였다.


(9) 부산-후쿠오카 경제교류 촉진사업
부산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의 동남권과 후쿠오카를 중심으로 한 큐슈지역 사이에는 오래 전부터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져 문화적인 동질성이 높고, 지리적으로도 바다를 사이에 둔 200㎞ 정도의 거리로 비행기로 1시간이면 갈 수 있는 아주 가까운 곳이다.
21세기 시장경제원리는 국경의 개념이 약화되고, 지방의 도시들이 무한경쟁시대의 주체로 떠오르는 시점에서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인접지역들과의 교류와 협력은 더욱 체계화·내실화 되어야 할 상황을 맞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필요성에 부응하여 추진중인 부산-후쿠오카 비즈니스벨트(Business Belt) 21사업은 한국의 동남부지역의 중심인 우리 부산과 일본 九州지역 중심인 福岡지역의 인적, 물적 교류 를 더욱 활성화시키고 물류·정보 등의 흐름을 원활히 하면서 상호보완성 있는 산업의 협력을 통해 세계시장으로 공동 진출함으로써 두 도시가 함께 발전하자는 것이 근본 취지이다.
이러한 부산-후쿠오카 비즈니스벨트(Business Belt) 21사업은 시공적 인위적 제약에서 벗어나 국가의 보호막도 약화되어질 수밖에 없는 21세기 지구촌 도시들의 무한경쟁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다양하고도 폭넓은 경제교류·협력사업을 적극 추진하여 우리의 국제화 세계화를 앞당길 수 있는 추진력을 마련하는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데, 그 주요사업으로는 ①경제인, 경제단체 교류지원 ②경제, 생활공동권 조성 (관광, 쇼핑, 전시 등) ③비즈니스(Business) 정보흐름 촉진(Business News Letter발간) ④공동사업 개발 추진(공동연구, 해외시장개척, 전자상거래 환경구축) ⑤교통 물류 채널 확대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우리시는 이 사업의 추진을 위하여 '98.10.14. 각 분야별 담당사무관들로 구성된 테스크포스(Task Force)를 구성하여 제1차 회의를 열고 전략개발에 들어갔으며, 그 동안 7차례에 걸친 전략회의를 통해 우리시의 전략(안)을 마련하였고 2차례에 걸친 전문가그룹이 참여하는 자문회의를 통해 '99. 7. 31 우리 시 전략(안)을 확정지었다. 이를 바탕으로 '99. 8. 21부터 3일간 한·일 실무협의회를 열어 '99. 9. 9. 「부산-후 쿠오카 경제교류 촉진에 관한 합의서」에 부산광역시장과 후쿠오카 시장이 서명하였다.
이 합의서에 따라 사업의 명칭을「부산-후쿠오카 Business Belt 21.Project」라 하고 이 사업의 추진을 이끌어 나갈 조직을 두 도시가 각각 만들기로 하였으며 우리 부산시는 「Business Belt 21. 위원회」를 구성키로 하였다.
합의에 따른 구체적 실천사업으로 '99. 9. 9. 부산 전시·컨벤션센터와 재단법인 후쿠오카 종합전시장은 자매제휴 합의서를 두 도시의 시장 앞에서 양 법인대표가 서명하였고, '99. 9. 8 ∼ 99. 9. 12까지 후쿠오카 마린 멧세에서 후쿠오카 국제 견본시 조직위원회가 주최하는 전시회에 부산의 중소기업 9개 기업을 참가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주)부산 전시·컨벤션센터의 지원 속에 시모노세키 부산무역사무소 주관 으로 (주)부산테즈락 등 9개 기업이 '99후쿠오카 국제견본시에 참가하여 재첩국, 신발, 건강지압 메트 등 $2,672의 상담계약을 추진하였고. 2000년 2월과 6월에는 부산에서 후쿠오카지역의 한인상공회의소 회원 15명, 시모노세키 부산무역사무소의 주관으로 바이어 13명을 각각 초청 투자설명회를 개최하였다.
동년 10월 10일부터 4일간 Business Belt 21 Project추진에 관한 실무협의를 후쿠오카시에서 개최하였는데, 이날 실무협의회에서는 항만분야의 양도시간 물류관련 세미나와 워크샵의 정기적 개최, 항만세일즈에 대한 상호 협력, IT분야의 기업간 기술제휴·OEM생산, 기업의 상호진출, 관광분야의 상호 관광교류활성화와 수산물류 등 가공분야의 합작사설립 운영에 관한 사항 등 8개 분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협의 하였다. 이날 실무단의 협의사항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하여 부산시에서는 각계의 전문가로 구성된 「비즈니스 벨트 21 위원회」를 구성키로 하였는데, 2000. 9. 21 제 1차 회의시 각계전문가 13명을 위촉하였고 2000. 11. 25일 제2차 회의시 추가로 6명을 위촉하여 총19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발족시켰다. 특히 2차위원회 회의시에는 5개 전문위원회(관광, 음식문화, 기계산업, IT, 자동차부품)를 추가로 구성 각 전문위원회별로 각계전문가 위촉과 사업에 대한 계획수립 및 비즈니스벨트21. 프로젝트 장·단기 추진가능성을 분석하는 등 구체적인 실행에 차질 없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1 외자유치 일반현황
    2. 민간투자사업의 추진     3. 통상지원 및 수출진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