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an Metropolitan City, �λ걤���� 2001�� �����鼭�����鼭 ����Ű�� ġ�ø� �����鼭 Ȩ���� �̵��մϴ�.
��1�� ����������2�� ���� �ι��� ���� �� ��ȹ��3�� �������η���ü��Ϻ���

�η�

1.�ü���������

2.�����������濬��

3.���� ������

4.2000�� �����ֿ�����

5.�ñⱸǥ

 


행정구역 변경연혁

부산은 해운대 좌동·중동의 후기구석기 유적과 신석기시대의 조개무지가 시내 도처에 발견된 것으로 보아 아득한 옛날부터 사람이 살아온 고장이며, 삼한시대에는 거칠산국(居漆山國), 삼국시대에는 신라의 동래군(東萊郡), 고려시대에는 동래현(東萊縣), 조선시대에는 동래부(東萊府)에 소속되었다가 1876년 국제항으로 근대 개항된 이래 발전을 거듭, 1963년 정부 직할시로 승격하여 명실상부한 국제교역 및 해양관광도시로 발전하였으며, 21세기 환태평양 중심도시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B.C 13000∼8000

B.C 5000

B.C 300

B.C 100

AD 562. 1

   

685

          

 757

(경덕왕 16)

      

              

983. 2

995. 9

1018. 2

1367

1368 윤7

     

1397

1405

1407. 7

1413

      

1466

1469. 12

1547

1592. 9

1599

1655

1876

1895. 5

1910.10

1914.10

1936. 4

1942.10

1949. 8

1957. 1

1963. 1

     

1975.10

1978. 2

     

1980. 4

1983.12

1988. 1

1988. 5

1989. 1

     

1991. 4

1991. 7

1995. 1

1995. 3

   

후기구석기 - 해운대 좌동·중동·청사포 유적 형성

신석기 문화시작 - 영도 동삼동 조개무지 유적 형성

청동기 문화유적 형성

 초기철기 시작 - 부족국가 거칠산국·독로국·장산국 출현

가야지역 신라에 병합 - 동래 거칠산국(居漆山國), 장산국 귀속

거칠산국(居漆山國) → 거칠산군(居漆山郡)으로 개편

지방제도가 주군현제(州郡縣制)로 개편,

동평현, 거칠산군은 양주(梁州, 현 양산)에 편입

거칠산군을 동래군으로 개편, 영현으로 동평현(東平縣)과

기장현(機長縣)을 둠

※ 동평현은 본래 대증현(大甑縣)이었고, .

     기장현은 갑화량곡현(甲火良谷縣) 이었음

고려 성종 2년, 전국에 12목 설치 - 부산지역은 상주목(尙州牧)에 소속 추정

전국을 2경 4도호부 10도 128주 449현 7진으로 개편 - 부산은 영동도에 소속됨

지방제도 정비 - 동래군을 동래현(東萊縣)으로 격하, 울주(蔚州) 속현이 됨.

동래에 진(鎭)을 설치 - 병마사가 동래의 행정관인 판현사 겸임

공민왕 17년, 강구사 이하생(李夏生)이 대마도 파견 때 부산포(富山浦)에서

백미 천석을 반출했다는 기사에서 최초로 부산포(富山浦)의 기록이 보임

동래에 부산진(釜山鎭) 설치 - 병마사가 동래현의 판현사를 겸직

울주속현이던 동래현이 독립현으로, 동평현은 양주에서 동래 속현이 됨. 

부산포(富山浦)와 제포(薺浦(乃而浦), 현 진해 웅천) 개항 - 최초 개항

경상도를 좌도와 우도로 나눔 - 경상좌도수군도안무처치사본영 

(慶尙左道水軍都按撫處置使本營)을 부산포에 설치 

군제개편 慶尙左道水軍都按撫處置使本營을 慶尙左道水軍節度使營으로 개칭

부산포(富山浦)가 부산포(釜山浦)로 기록된 것이『조선왕조실록』에 보임

동래현이 동래도호부로 승격 

동래도호부 동래현으로 격하

동래현을 동래도호부로 승격

동래독진(東萊獨鎭) 설치

부산항 근대 개항

동래부(東萊府) 설치

부산부(釜山府)로 개칭

부산부제(釜山府制) 실시

제1차 행정구역 확장(동래군 서면, 사하면 암남리 편입)

제2차 행정구역 확장(동래군 동래읍, 사하면 편입)

부산부(釜山府)에서 부산시(釜山市)로 개칭

구제(區制)실시, 6구(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동래구)

정부 직할시(直轄市)로 승격(6구 7출장소)

제3차 행정구역 확장(동래군 구포읍, 사상면, 북면, 기장면, 송정리 편입)

행정구역 개편, 남구 설치(7구, 3직할출장소)

제4차 행정구역 확장(김해군 대저읍, 명지면, 가락면 일부 편입)

행정구역 개편, 북구 설치(8구, 2직할출장소)

행정구역 개편, 해운대구 설치(9구, 1직할출장소)

행정구역 개편, 사하구 설치(10구, 1직할출장소)

행정구역 개편, 금정구 설치(11구, 1직할 출장소)

자치구제(自治區制) 실시

행정구역 개편, 강서구 설치(12자치구)

제5차 행정구역 확장(김해군 녹산면, 가락면, 창원군 천가면 편입)

자치구 의회 개원(12구 303명)

시의회 개원(51명)

직할시를 광역시(廣域市)로 명칭 변경

행정구역 개편, 연제구, 수영구, 사상구, 기장군 설치(15구 1군)

제6차 행정구역 확장(경남 양산군 및 진해시 일부지역 편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