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an Metropolitan City, �λ걤���� 2001�� �����鼭�����鼭 ����Ű�� ġ�ø� �����鼭 Ȩ���� �̵��մϴ�.
��1�� ����������2�� ���� �ι��� ���� �� ��ȹ��3�� �������η���ü��Ϻ���

 ��Ȳ/�λ�������¹׵���

 ����Ȱ��ȭ��å/��������å/��������������/
������������ȭ

 ������ġ�Ϲ���Ȳ/2001���ֿ������ȹ/
�������׼�������

 �������������/�跮��Ȯ��/ǰ���/
������ü��

 

 

1. 개 황     2. 부산경제 실태 및 동향

제 5 장  산업경제

제 1 절  지역경제현황

1.  개 황

환태평양과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천혜의 항만을 갖춘 대륙의 전초기지로서 중요한 지정학적인 위치를 가지고 있는 부산은 1876년 일본과의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 우리 나라 최초의 개항장으로서 우리 나라 제일의 무역항으로 발전해 왔다.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된 1∼3차에 이르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기간(1962∼1976) 동안 부산은 합판, 섬유, 신발 등 노동집약산업의 발전을 주도하여 1974년도의 부산수출은 7억9천만불로 전국 32억3천만불의 24.5%에 이르는 등 한국의 경제성장을 주도하는 활력이 넘치는 산업도시로서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그러나 그 이후 정부의 중화학공업 육성정책으로 울산, 창원, 거제 등 동남공업벨트를 중심으로 석유화학, 기계공업과 조선 등의 중화학공업이 발전하게 되어 부산은 상대적으로 공업지역으로서의 입지가 급격히 위축되었다. 1980년대 이후에는 부산, 서울 등 대도시가 성장관리도시로 지정되어 기존산업 중심의 생산체제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였고, 시설확충을 희망하는 업체는 타 지역으로 이전하게 되어 1990년 이후로는 연평균 140여 개의 업체가 이전하게 되었으며, 산업구조 개편에도 실패하는 등 부산경제는 침체일로에 있는 형편이다. 2000년말 현재 부산의 수출은 54억44백만불로 전국 1,722억68백만불의 3.2%에 불과하다.
그러나 부산은 1995. 8. 21 "공장 신·증설시 5배 중과 제도"가 폐지되고 1996. 7. 19 성장관리도시에서도 제외되어 기업활동의 숨통이 트이고, 녹산국가공단·신호지방공단·부산과학산업단지 조성 등으로 경제기반 인프라를 조성중에 있어 장차 자동차정밀기계산업 등 고부가 첨단산업으로의 산업구조 개편이 기대된다. 아울러 21세기 부산발전의 양대 개발 축인 가덕도 신항만개발과 수영비행장 이전적지의 센텀시티(부산정보단지) 개발이 완성되는 2011년에는 명실상부한 동남경제권의 중추도시이며 우리나라의 해양수도로서 국제적으로는 동북아 해상화물의 중심기지이며 환태평양 경제권의 관문도시로서 항만경쟁력을 갖춘 세계무역의 중심항으로 발돋움하게 될 것이다.

부산의 주요경제기반
 

구      분

단 위

규             모

기준

년도

비 고

부 산

전 국

전국비중

면      적

759.86

99,434

0.76

2000


인      구

경 제 활 동 인 구

천명

천명

3,812

1,758

47,977

21,950

7.9

8.0

2000

2000


지 역 총 생 산

1 인 당 지 역 총 생 산

억원

천원

291,975

7,650

4,654,397

9,933

6.3

77.0

1999

1999


공 업 용 지

44.06

698.27

6.3

1999


제 조 업 체 수

제 조 업 체 종 업 원 수

제 조 업 출 하 액

제 조 업 부 가 가 치

개체

8,652

185,612

181,343

79,995

91,156

2,507,726

4,779,869

2,009,350

9.5

7.4

3.8

4.0

1999

1999

1999

1999


수      출

수      입

백만달러

백만달러

5,444

4,422

172,268

160,481

3.2

2.8

2000

2000


해 상 물 동 량

수 출 물 동 량

컨 테 이 너 물 동 량

천톤

천톤

천TEU

117,229

47,155

7,540

775,029(99)

147,304(99)

9,116

15.1

32.0

82.7

2000

2000

2000


건 축 허 가 면 적

천㎡

4,692

81,059

5.8

2000


예 금 은 행 예 금

예 금 은 행 대 출 금

어 음 교 환 액

억원

억원

10억원

282,329

185,807

104,851

4,046,609

3,108,042

10,265,000

6.9

5.9

1.0

2000

2000

2000


외 국 관 광 객

1,539,525

5,322,000

28.9

2000


자 동 차 대 수

812,369

12,059,320

6.7

2000


전 력 사 용 량

천MWH

12,404

239,535

5.2

2000


실   업   률

%

6,4

4.1

-

2000


도   로   율

%

17.2

19.7

-

2000


주 택 보 급 률

%

82.2

89.9

-

2000


하 수 도 처 리 율

%

72.5

68.4(99)

-

2000


상 수 도 보 급 률

%

98.36

86.1(99)

-

2000



    2000년말 현재 부산은 인구 3,812천명, 면적 759.86㎢로 총량지표상 전국의 약 8% 내외의 경제력을
    보유하고 있고, 세계 제3위의 컨테이너 물동량을 처리하는 세계적인 항만도시이다.

부산경제의 주요지표 추이
 

          년 도
구 분          

단위

'70

'75

'80

'85

'90

'95

'98

'99

2000

지역총생산

억원

2,231

7,832

34,601

63,930

137,765

235,639

272,253

291,975



전국비중

%

8.3

8.0

9.4

8.2

7.8

6.7

6.4

6.3


제조업출하액

10억원

216

1,062

4,037

7,587

13,472

17,488

17,363

18,134



전국비중

%

16.5

9.2

11.2

9.9

7.6

4.8

4.1

3.8


제조업부가가치

10억원

82

320

1,318

2,474

5,442

7,798

7,545

8,000



전국비중

%

14.9

11.2

10.7

9.2

7.6

4.9

4.2

4.0


수 출 액

백만불

220

1,223

3,183

4,087

6,785

6,463

5,084

5,145

5,444


전국비중

%

26.3

24.1

18.2

13.5

10.4

5.2

3.8

3.6

3.2

예금은행예금

억원

824

2,861

10,855

27,387

70,631

118,426

193,906

228,663

282,329


전국비중

%

10.4

10.3

8.8

8.8

8.4

7.7

7.8

7.2

6.9

예금은행대출

억원

622

2,646

10,548

27,272

62,368

115,225

163,027

155,581

185,807


전국비중

%

8.6

9.1

8.6

8.1

8.4

7.6

8.2

6.2

5.9

어음부도율

%

0.63

0.25

0.54

0.25

0.15

0.47

1.98

0.48

0.46


전국평균

%

0.53

0.14

0.16

0.07

0.04

0.17

0.52

0.43

0.39

해상물동량

천톤

-

-

25,700

37,409

63,382

93,438

96,432

107,755

117,229


전국비중

%

-

-

19.5

22.4

22.4

17.5

-

18.3

15.1

컨테이너물동량

천TEU

-

-

633

1,115

2,274

3,643

4,539

4,678

7,540


전국비중

%

-

-

91.4

91.8

95.0

81.2

88.0

90.7

82.7

 

1. 개 황     2. 부산경제 실태 및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