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해양용어사전

목록내 검색
검색

1416건 (99/142)

적도반류
동에서 서로 흐르는 남적도해류와 북적도해류 사이에서, 북위 3~10°부근을 500km정도의 폭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해류를 말한다. 이 적도반류는 적도중심에서 300m의 두께, 1~3knot의 속도로 흐른다. 이 해류는 두 무역풍 사이에서의 낮은 바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적도용승
적도 부근에서 남동무역풍에 의해 에크만수송이 일어나 표층수를 발산시키므로 아래로부터 찬물이 올라오게 되는데, 이를 족도용승이라 한다.
적도잠류
적도의 표층에는 동에서 서로 흐르는 표층류가 있지만, 적도의 해면아래 수심 50~100m에서 두께가 200m, 폭이 300m이면서 서에서 동으로 2~3knot의 속도로 흐르는 표면하 해류가 있는데 이 해류를 적도잠류라 한다. 이 해류는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크롬웰해류라고도 한다.
적도조
15일마다 달의 적위가 최소일 때 즉, 달이 적도 위에 있을 때 일어나는 조석을 말한다. 이 때 일조부등이 가장 적다. 봄과 가을은 삭과 망일 때 달이 적도 부근에 오며, 여름과 겨울은 상현과 하현일 때 달이 적도 부근에 온다.
적도해류
적도 부근에서 동에서 서로 흐르는 해류를 말한다. 북위 8~23°부근에서 볼 수 있는 북적도해류와, 남위 20°~북위 3°부근까지에 있는 남적도해류로 나누어진다. 각각 북동무역풍과 남동무역풍에 의해서 형성되는 해류이다. 이 해류는 0.5~2knot의 속도로 흐른다. 남적도해류와 북적도해류는 쌍을 이루고 있으나 양자는 적도를 사이에 두고 대칭적인 위치에 놓여 있는 것은 아니다. 이는 무역풍대의 비대칭성이 원인일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들 해류는 북위 약 5°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적도반류에 의하여 나누어진다. 또한 적도해류의 표층류 아래에는 동쪽으로 흐르는 큰 적도잠류가 존재한다. 남적도해류가 약할 때는 이 잠류는 2~3knot의 속도로 발리 움직이므로 표면까지 올라온다.
적위
천구 상에 있어서의 별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적도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한 좌표로서 적도로부터 북쪽 또는 남쪽으로 재어나간 각거리이다.
적조
식물성플랑크톤, 특히 와편모조류가 대량으로 번식하여 바닷물 색깔이 적색 혹은 황갈색을 띠는 현상을 말한다. 유기물질이 풍부한 상태에서 일조량과 수온이 적당할 경우 적조가 나타난다. 적조가 발생하면 대량 번식된 플랑크톤 시체가 한꺼번에 분해되어 산소가 많이 소비됨에 따라 산소부족으로 어류가 대량폐사하며, 도한 대량 번식 된 플랑크톤이 어류 아가미에 붙어 질식시키기도 하고, 편모조류인 코콜리디니움은 독을 내뿜어 어류를 죽여 양식장 및 주변 어장에 큰 피해를 주게 된다. 적조는 연안해역에서 대부분 발생되며, 표층수의 수온이 상승한 경우나 폭우·장마 등으로 인한 담수 유입으로 영양염이 크게 증가한 경우 또는 무풍상태가 계속되어 해수의 혼합이 잘 안되는 경우에 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의 경우 7~8월 장마기간 중 육지의 오염물질이 바다로 대량 유입되어 바닷물을 부영양화 시키면서 9월부터 적조가 집중 발생하고 있다.
전기영동
콜로이드 용액 속에 전극을 넣고 직류전압을 가하면 콜로이드입자가 어느 한쪽의 전극을 향해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전기영동은 입자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서 변한다. 따라서 콜로이드입자의 각종 성질이 같다고 해도 어느 하나가 다르면 전기영동에 의해서 입자를 분리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여러 가지 분석을 할 수가 있으며, 특히 단백질의 분석에 중요하다.
전리층
이온과 전자를 많이 포함한 대기 상층부를 말한다. 태양으로부터 온 자외선에 의해 원자 및 분자가 전리되어 자유전자가 많이 존재하므로 전파를 반사하는 층이다. 전리층에서 지상 100km 부근을 E층, 200~300km는 F1층, 300~500km는 F2층이라고 부른다. 또한 근래에는 보다 낮은 곳에서도 전파를 반사하는 층이 발견되었다. 이 층의 높이는 전자밀도·태양활동의 정도·계절·시각·장소가 달라짐에 따라 복잡한 변화를 이루고 있다.
전자해도
전자해도는 선박의 항해와 관련된 모든 정보 즉, 해도정보·위치정보·선박의 항로 및 속력·수심자료 등을 종합하여 항해용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해상지리정보자료시스템을 말한다. 전자해도는 선박의 좌초·충돌에 관한 위험상황을 항해자에게 미리 경고하여 해양사고 미연방지 최적 항로선정을 위한 정보제공으로 수송비용 절감과 해상교통처리 능력증대 자동 항적기록을 통해 사고 발생시 원인규명을 가능케 하는 등 선박의 항해에 중요한 수단이 된다.

자료관리 담당부서

전시팀
0515508824
최근 업데이트
2023-01-11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