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98/142)
- 저어류
- 부어류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대륙붕 및 그 연변의 해저 부근에서 서식하는 어류를 총칭하여 저어류라 한다. 저어류는 크게 대구과(대구, 명태)와 가자미과(넙치, 가자미, 도다리, 참서대)로 구분된다. 주로 저인망어업의 대상이 되는 어류이다.
- 저온동물
- 변온동물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외계의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고 있는 동물이다. 포유류와 조류가 이에 속하며, 그 체온은 36℃에서 43℃사이가 보통이다.
- 저조
- 고조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조석현상에 의해 해수면이 하루 중에서 가장 낮아진 상태를 말한다. 간조라고도 한다.
- 저조간격
- 한 관측지에서 달이 그 지점의 자오선을 통과한 후 저조가 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지구가 동일한 수심의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해수에 점성도 타성도 없으며 해저도 해수의 운동에 대하여 마찰을 미치지 않는다면 달이 자오선 통과시 고·저조가 나타나지만, 실제의 지구는 이러한 이상적인 상태에 있지 않기 때문에 고·저조간격이 생긴다.
- 저질조사
- 해저 구성물질의 채취와 저질분류표에 의한 이들 시료의 판별을 통해 지질의 종별을 조사하는 작업을 말한다.
- 저층류
- 해저에 가라앉아 있는 고밀도의 수괴를 말한다. 대양에서는 보통 수심 4천m 이상의 물을 지칭하는데, 심층수와 저층수의 명확한 구별은 불분명하다. 남극해와 북극해에서는 수온이 0~2℃, 염분은 34.75‰ 내외이다. 극지방이 저층수의 기원이며, 그곳에서 찬물이 대류에 의해 가라앉는다.
- 저탁류
- 해저의 퇴적물이 한꺼번에 사면을 따라 미끄러질 때 생기는 흐름을 말한다. 퇴적물을 많이 함유한 물은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가지게 되어 사면을 따라 하부로 흐른다. 퇴적물은 지진이나 폭풍해파 또는 퇴적물의 겹침과 같은 이유로 부유작용이 생기고, 퇴적물을 많이 함유한 물은 중력에 의하여 아주 빠르고 짧은 시간에 사면을 따라 하부로 흐른다. 저탁류는 대륙사면에서 중요한 운반 및 퇴적요인이다. 저탁류에 의해서 퇴적된 퇴적층은 터어비다이트라 하고, 이 흐름이 끝나는 대륙대에서 주요 퇴적층이 된다.
- 저탁류퇴적층
- 고밀도와 빠른 속도를 가진 저탁류에 의해 운반 퇴적된 퇴적층을 말한다.
- 적니
- 수심 5천m 이상의 해저에 존재하는 매우 작은 적갈색의 점토성 원양퇴적물을 말한다. 이 점토가 붉은색을 띠고 있는 것은 산화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적니에는 많은 생물기원 탄산염과 규산염이 녹아 있고, 그 외 대부분의 성분들은 육지로부터 바람에 날려 온 점토입자들이다. 적은 양은 화산과 우주의 먼지에 의해서도 해양에 침전된다. 이 입자들은 1~2mm/1천년 정도의 매우 느린 속도로 침강한다. 북태평양의 대부분은 적니로 덮여 있다.
- 적도무풍대
- 북동무역풍대와 남동무역풍대 사이에 낀 열적도 부근의 지대로서 풍속이 약하고 풍향의 변화가 심한 적도부근의 지역을 말한다. 무역풍으로 유입되는 열대기단은 적도 부근에서 불안정한 적도기단으로 변하므로 광범한 상승기류역이 형성된다. 수평기류보다 상승기류가 활발한 지역이기 때문에 많은 구름이 생기므로 호우나 뇌우 또는 스콜 현상이 자주 나타난다. 이곳은 기압이 거의 일정하여 기압경도가 작으므로 적도저압대라고도 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