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해양용어사전

목록내 검색
검색

1416건 (97/142)

잠수
수중활동을 위해 물 속으로 들어가는 일을 말한다. 장비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1회 잠수시간이 1~3분, 깊이 10~20m 정도이며, 인간이 장비를 착용한 채 잠수할 수 있는 깊이는 약 50m까지이다. 실험적인 잠수에서는 특별한 호흡용 혼합기체를 써서, 깊이 200m까지의 잠수에 성공하였다.
잠수기어업
총톤수 8톤 미만의 동력어선에 잠수기를 설치하여 패류 등의 정착성 수산동물을 포획하는 어업이다.
잠열
물질이 온도·압력의 변화를 보이지 않고 평형을 유지하면서 상태변화에만 사용되는 열을 잠열이라 한다. 융해열·증발열(기화열)·승화열 등이 잠열이다.
잠재밀도
어떤 해수의 염분과 포텐샬온도에 의해 결정되는 밀도를 말한다.
잠재온도
현장에서 측정한 온도인 현장온도에 대비되어, 그 해수를 1기압에서 단열팽창 시켰을 때 나타나는 온도를 말한다.
잡식동물
동물만 먹는 육식동물이나 식물만 먹는 초식동물에 대비되어 모든 종류의 먹이를 먹는 잡식성 동물을 칭한다.
장파
①주파수 30~300kHz(파장 10~1km)까지의 전자파를 말한다. ②해면에서 파의 파장과 수심의 비가 1/20 이상인 중력파를 천해파 또는 장파라 한다.
재화중량톤수
(선박법 제3조) 항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선박의 여객 및 화물 등의 최대적재량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지표를 마한다. 선박의 크기를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중량으로 나타낸 톤수이다. 비중 1.025의 수면에서 선박이 사람이나 화물을 기준흘수선에 달할 때까지 적재한 때의 배수량인 만재배수량과 사람이나 화물을 적재하지 아니한 배수량인 경하배수량의 차이를 환산하여 톤수를 산정한다. 선박항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선박의 여객 및 화물 등의 최대 적재량을 표시하는 기준 역할을 한다.
저기압
고기압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높이가 같은 면에서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기압이 낮은 곳을 말한다. 온도 또는 수증기의 증강에 따라 생기는 현상으로 중심을 향하여 북반구에서는 반시계방향, 남반구에서는 시계방향으로 소용돌이치면서 등압선을 그린다. 저기압의 중심부근에서는 대기가 상승하며, 단열냉각 되어 구름을 만들고 비를 내린다. 저기압은 발생지에 따라 그 성질이 다르다. 열대에서 발생하는 것을 열대성 저기압, 온대에서 발생하는 것을 온대성저기압이라 한다.
저서생물
물속에서 떠다니는 플랑크톤, 물속을 헤엄치는 유영동물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수저에 서식하는 생물을 말한다. 저서생물은 해저면에 구멍을 뚫어 그 속에서 서식하거나 해저면에 부착 또는 해저면을 기어다니면서 살고 있다. 말미잘·따개비·새우·불가사리·갯지렁이 등이 있다.

자료관리 담당부서

전시팀
0515508824
최근 업데이트
2023-01-11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