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86/142)
- 원심력
- 원운동을 하는 물체에서는 중심방향으로 향하는 힘에 반대방향인 같은 크기의 힘이 존재하는데 이를 원심력이라 한다. 원심력 F는 F=maω2으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m운 물체질량, a는 원운동 반경, ω는 지구자전 각속도이다. 원심력은 구심력의 크기인 mv2/r과 같고, 방향은 반대이다. 지구상의 물체는 지구가 자전을 하고 있으므로 원심력이 작용한다. 이 힘은 지구 자전축에 지각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양극에서는 없으며 적도에서는 최대가 된다.
- 원심분리기
- 원심력을 이용하여 비중이 다른 두 가지의 액체나 액체 중 에 잘 침전되지 않는 미립자상 고체를 분리하는 장비이다.
- 원양어업
- 근거지를 멀리 떠나 원양에 출어하여 수 일 또는 수 개월간에 걸쳐 어장에 체류하는 대규모 어업으로서, 원양채낚기어업·원양연승어업·원양트롤어업 등이 있다.
- 원양퇴적물
- 육지기원 물질의 공급을 그다지 받지 않는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의 퇴적물을 말한다. 원양퇴적물은 외양에서 플랑크톤의 골격이나 껍데기의 축적과 함께 용존 물질이나 부유물질의 침전우로부터 생성된 것이다.
- 원일점
- 태양의 둘레를 도는 천체가 궤도상에서 태양에 가장 멀어지는 점을 말한다.
- 원점측량
- 해양측량에서 이용되는 측점이나 물체표적의 위치·높이를 결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 원지점
- 지구 둘레를 도는 달과 인공위성이 궤도상에서 지구에 가장 멀어지는 점을 말한다.
- 원지점조
- 매월 달이 원지점에 있을 때에 일어나는 조차가 적은 조석을 말한다. 원지점조차는 원지점조에서의 평균조차이며, 반일주조나 혼합조에서는 평균조차보다 작지만 일주조에서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 월령
- 주로 조석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1일을 단위로 하여 그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월령이라 한다. 조차는 월령에 따라 변화하는데 최대의 조차는 우리나라의 경우 삭(월령0일)및 망(월령14일경)후 1~3일에 발생한다. 그리고 최소의 조차는 상현(월령 7일경) 및 하현(월령 22일경)후 1~3일에 발생한다.
- 월식
-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하여 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져 지구에서 본 달의 밝은 뿐이 일부 또는 전부가 어둡게 보이는 현상으로, 만월일 때에만 일어난다. 그러나 만월일 때 반드시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달의 궤도면의 백도면이 지구의 궤도면인 황도면과 약 5°기울어져 있으므로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상에 놓일 기회가 적기 때문이다. 백도와 황도가 교차하는 교점은 두 개 있는데 그러한 교점 근처에 태양이 있을 때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는데, 1년에 2회가 된다. 일식이 월식보다는 자주 일어나지만 일식은 지구상의 극히 한정된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반면, 월식은 지구의 밤인 곳 어디에서나 볼 수 있기 때문에 훨씬 자주 관측된다. 월식에서 달이 완전히 지구의 본 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은 개기월식이라 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