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74/142)
- 양력
- 유체 속의 물체가 흐름에 수직인 방향으로 받는 힘을 말한다. 가령 비행기 날개와 같은 형상의 물체를 유체의 흐름에 비스듬히 놓으면 그 물체에는 흐름의 방향에 수직으로 물체를 들어올리려고 하는 힘 즉 양력이 작용한다. 날개가 비행기를 공중에 지탱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 양식
-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수산생물을 인위적 수단으로 기르고 수확하는 것을 양식이라 한다. 양식은 수산종묘를 만든 다음, 만들어진 종묘를 사육하거나 성장시켜 식용이나 기타 목적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 ㄹ이며, 양식생물 관리에 필요한 기본요소로는 알맞은 환경과 필요한 영양공급, 그리고 질병과 해적으로부터 보호를 받게 해 주어야 한다. 어떤 기간동안 단순히 살려두는 것인 목적인 축양과는 구별된다. (수산업법 제2조) 양식이라 함은 수산동식물을 인공적인 방법으로 길러서 거두어들이는 행위와 이를 목적으로 어선·어구를 사용하거나 시설물을 설치하는 행위를 말한다.
- 어구
- 물 속에 넣어서 직접 대상을 포획·채취하는 데 쓰이는 도구를 말한다. 주된 재료가 무엇인가에 따라 그물어구·낚시어구·잡어구로 나눈다.
- 어군
- 일반적으로 어군이라 하면, 동일 어종으로 거의 같은 체장을 가진 고기가 같은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집어등 밑에 모인 여러 어종의 고기나 동일 어종이라도 다른 체장인 고기들도 어군이라 할 때가 있다. 어류는 일반적으로 밀집하여 행동하는 성질이 있으며, 특히 색이와 산란의 시기에 이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어군탐지기
- 음파를 이용하여 물 속에 있는 어군의 위치 및 군집 상태를 탐지하는 음향 장비이다. 수면하에서 발사된 초음파가 해저나 어군 등에 부딪혀서 반사해 오는 것을 포착하여 어군의 존재를 확인한다.
- 어로
- 수산동식물을 포획하거나 채취하는 일을 말한다.
- 어로장
- 어로 작업에서 총지휘자를 말하며, 여러 척의 배로 작업하는 경우 각 배마다 선장이 있더라도 주선과 종선의 선장은 물론 기타 보조선의 선원들은 모두 어로장의 지휘를 받는다.
- 어류
- 척추동물 중의 한 강으로서, 일생을 통해서 수중생활을 하고, 지느러미로 몸의 평형을 유지함과 동시에 전후좌우로 운동을 하며, 아가미로 물 속에서 호흡하는 동물이다. 따라서 수중생활을 하는 것이라도 폐로 호흡하는 포유류인 돌고래와 양서류인 개구리, 도룡뇽, 무척추동물인 오징어·조개·새우·게·해삼·해파리 등은 어류가 아니다. 전 세계에 약 1만 3000종이 서식하며, 우리나라 주변에는 약 2천 종이 알려져 있다.
- 어법
- 수산동식물의 포획이나 채취에 쓰이는 수단 방법을 말한다. 자망어법·초망어법·선망어법·예망어법 등이 있다.
- 어업
- 수산동식물을 잡는 일을 어로라 하고,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어로를 유어라 한다. 어로는 보통 어군의 탐색(어장 찾기, 어군 찾기), 집어(유집, 구집, 차단유도), 어획의 3단계 과정으로 구분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