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70/142)
- 심해산란층
- 음향측심기로부터 나온 음파가 해양생물의 밀집에 의해 산란되는 층을 말하며, 산란층이라고도 한다.
- 심해선상지
- 해저협곡과 대륙사면을 따라 내려온 퇴적물이 대양저에 도착하면, 입자가 작은 물질들은 그 주위에 뜨게 되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차차 가라앉아 부채꼴 모양의 제2차 퇴적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것을 심해선상지라 한다.
- 심해어
- 일반적으로 대륙붕보다 깊은 수심 200m 이상의 바다에 사는 어류를 말하며, 심해어의 특징으로는 부레가 퇴화되어 있고, 눈이 현저하게 크거나 퇴화되어 있으며, 입이나 위가 크며, 발광기가 있다는 것 등이다.
- 심해원양대
- 해양생물의 서식환경에 따라 수심대별로 구분 시 사용되는 용어로서, 수심 6천m 이상의 수층해역을 심해원양대라 한다.
- 심해저
- 대양저와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대륙주변부가 끝나는 부분부터 보통 수심 2천~6천m의 비교적 평탄하고 광대한 해저지형이다. 심해저는 심해저평원과 심해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심해구릉으로 구성된다. 이 밖에 뚜렷한 기복의 지형으로 해저산맥·해저산·기요 등이 있다. (유엔해양법협약 제1조) 심해저라 함은 국가관할권 한계 밖의 해저, 해상 및 그 하층토를 말한다. 심해저는 유엔해양법협약에 따라 인류의 공동유산으로 규정되어 국제해저기구가 관리하고 있다.
- 심해저카메라
- 해저면의 상황을 선상에서 실시간으로 직접 확인·분석하는 데 이용되는 해저면 동영상 촬영 장비이다. 조사선의 케이블로 카메라시스템을 해저면 2~7m위에서 견인하면서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저면을 촬영하며, 동시에 내장되어 있는 비디오카메라로 해저면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 심해저평원
- 심해저에서 바닥이 평평한 대양분지 지형으로, 지구에서 가장 평평한 부분 중의 하나이며, 수심 3천~6천m사이에서 대륙사면이나 대륙대가 끝나는 부분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발달한다. 심해저평원의 수평 길이는 2백km에서 2천km이상까지 이른다. 심해저평원은 인도양과 대서양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 심해퇴적물
- 수심 2천m 이상의 심해저에서 발견되는 퇴적물이다. 터어비다이트를 제외하고는 이들 퇴적물들은 대부분이 육지기원물질의 공급을 그다지 받지 않는 퇴적물인 원양퇴적물이다. 심해퇴적물은 그 기원에 따라, 생물의 골격·껍데기로 구성된 생물기원퇴적과 화산으로부터 기원된 화산기원퇴적물, 바람에 의해 운반된 풍성퇴적물, 외계로부터 기원된 우주기원퇴적물, 해수로부터 직접 침전되는 화학적 퇴적물로 구분된다. 생물기원퇴적물이 심해퇴적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 싸이클론
- 인도양에서 발생한 열대성저기압을 말한다.
- 쌍조
- 고조가 2개의 마루로 나누어지거나 저조가 2개의 곡으로 나누어지는 조석을 말하며, 1/6일 주조 및 그 외의 배조가 지형적으로 발달하여 일어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