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해양용어사전

목록내 검색
검색

1416건 (67/142)

순톤수
(선박법 제3조) 협약 및 협약의 부속서의 규정에 따라 여객이나 화물의 운송용으로 제공되는 선박안의 장소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지표를 말한다. 선박의 총용적에서 선박운항에 이용되는 부분(선원실, 기관실, 밸러스트탱크 등)을 공제한 나머지 부분을 톤수로 환산(100입방피트=1톤)한 것이다. 보통 총톤수의 약 65%정도에 해당한다.
스왈로부표
심해류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부표로서,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수 피트의 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하는 깊이에서 중립부력을 이루도록 안정추가 있다. 송신신호를 받아서 추적함으로서 해류의 유향과 유속을 추정할 수 있다.
스칼라
방향을 가지지 않고 하나의 수치만으로 크기만을 표시하는 양으로서 방향의 구별이 없는 물리적 수량이다. 질량, 에너지, 밀도, 전기량 등이 이에 해당한다.
스콜
갑자기 불기 시작하여 몇 분 동안 계속된 후 갑자기 멈추는 바람을 말한다. 돌풍과 다른 점은 계속시간이 돌풍보다 긴 점이다. 풍향도 급변할 때가 많다. 흔히 강수와 뇌우 등의 변화도 가리키는데, 이 경우에도 바람의 돌연한 변화를 동반하는 경우에 한한다. 스콜의 기상학적 정의는 풍속의 증가가 매초 8m 이상, 풍속이 매초 11m 이상에 달하고 적어도 1분 이상 그 상태가 계속되는 경우이다.
슬래그
광석으로부터 금속을 빼내고 남은 찌꺼기를 말한다.
슬러지
하수처리 또는 정수 과정에서 생긴 침전물을 말한다.
습곡
수평으로 퇴적된 지층이 옆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물결처럼 굴곡된 단면을 갖는 구조가 생기는데, 이런 구조를 습곡이라고 한다. 습곡이 위로 구부러진 것을 배사, 이와 반대로 아래로 구부러진 것을 향사라고 한다. 습곡은 지층에 작용하는 횡압력 크기·미치는 형식·지층의 물리적 성질 등에 따라 대칭습곡, 경사습곡, 등사습곡, 횡와습곡 등으로 구분된다. 습곡에서 지층의 두께는 거의 변하지 않지만 배사 및 향사의 모양은 자주 변한다. 습곡은 지층이 퇴적된 후 얼마 되지 않고 수분을 포함한 지층에서 잘 생기며, 또한 조산대의 중심부와 같이 정수압이 높은 상태에서 변형이 일어날 때 생기기 쉽다.
습도
대기 중의 수증기 상태를 수량적으로 표시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습도라 하면 절대습도를 말한다.
습윤단열감율
단열변화에 의해 수증기가 포함된 공기가 100m 상승함에 따라 약 0.5℃의 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말한다. 습윤단열감율이 건조단열감율보다 적은 이유는 응결할 때 잠열을 방출하기 때문이다.
습지
(습지보전법 제2조) 습지라 함은 담수·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서 내륙습지와 연안습지를 말한다. 내륙습지는 육지 또는 섬 안에 있는 호 또는 소와 하구 등의 지역을 말하며, 연안습지는 만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으로부터 간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자료관리 담당부서

전시팀
0515508824
최근 업데이트
2023-01-11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