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61/142)
- 속력환산표
- 항행할시 활용하기 위하여 속력·시간·거리를 가지고 그 어느 것이든 하나를 모를 때 비교값을 이용하여 손쉽게 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표를 말한다.
- 속성작용
- 퇴적물에서 고결된 퇴적암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여러 변화의 총칭이다. 해저에 퇴적된 물질이 오랫동안 물리적·화학적·생화학적·광물학적 변화를 받아 고화하여 퇴적암으로 변해가는 작용을 말한다. 변화가 더 진행되면 마지막에는 퇴적암의 여러 성질은 없어지고 변성암이 된다. 퇴적물의 주요한 물리적 변화는 퇴적물이 매몰되는 과정에서 상위에 누적하는 퇴적물의 하중을 받아 구성입자간의 간극(틈새)이 줄어들고, 전체 부피는 감소되며, 동시에 탈수가 일어나는 압밀현상이 일어난다. 압밀에 의해서 구성물질은 화학적으로 변화한다.
- 송어
- 연어과의 바닷물고기로서, 몸길이 60cm 안팎이며 몸빛은 등은 짙은 남빛이고, 배는 은백색이다. 바다에서 살다가 산란기에 강의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 알을 낳는다.
- 쇄빙선
- 동결된 해면의 얼음을 갈라 항로를 여는 배를 말한다.
- 쇄설암
- 퇴적암의 일종으로, 풍화·침식·화산작용 등에 의하여 기존의 암석이 파괴되어 생긴 쇄설물이 집적하여 이루어진 암석을 말한다. 쇄설물이 퇴적장소까지 운반된 매질의 차이에 따라, 수성암·풍성암·빙성암 등으로 나눈다.
- 쇄파
- 풍량이나 너울 형태의 파도가 연안 가까운 수심이 얕은 곳에 이르면 파장이 짧아지고 파고가 높아지면서 뾰족하게 되고 부서지는 데, 이것을 쇄파라 한다. 쇄파는 기파라고도 하며, 파편상쇄파 : 파도가 일정거리에 걸쳐 점차적으로 깨지면서 해안 쪽으로 물이 솟아오르는 쇄파, 돌진형쇄파 : 태평양의 전형적인 쇄파로서, 파도가 뾰족하게 말리다가 마지막에는 깨지면서 물이 밀려드는 쇄파, 벽상쇄파 : 파도가 날카롭고 세차게 해변에 돌진하는 쇄파로 나누어진다.
- 쇄파대
- 풍파나 너울이 얕은 물에서 부서져 쇄파로 변하는 구역을 말한다.
- 수관계
- 극피동물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기관으로서, 운동·호흡·배출 등의 작용을 한다. 내부에는 외계의 해수·액체 등이 통하고 백혈구가 떠다닌다.
- 수괴
- 수온과 염분이 거의 균일하여 주위 해수와 식별할 수 있는 해수 덩어리를 말하며, 대기 중의 기단에 대응된다. 수괴를 결정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T-S 다이어그램이다. 온도 T를 세로축, 염분 S를 가로축으로 한 도표를 생각할 때, 어느 한 관측점에서 채취한 해수의 T와 S의 관측값은 도표상의 한 점으로 표현된다. 이처럼 T-S다이어그램상의 한 점으로 대표되는 해수를 수형이라고 한다. 또 T와 S의 값을 몇 가지 심도로 구하고, T-S다이어그램상의 각 점을 연결한 곡선을 T-S곡선이라고 한다. 대양의 T-S곡선을 비교하여 보면, 상당히 넓은 구역에 걸쳐서 비슷하다. 그리하여 거의 같은 T-S곡선으로 표현되는 해수의 덩어리에 대하여 수괴라는 개념을 부여한다.
- 수권
- 지구표면에서 해양, 호소, 하천, 빙하, 지하수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 물 전체를 수권이라 한다. 수권은 기권, 암석권과 함께 지구 구성의 한 요소가 되며, 크게 해수와 육수로 구분되어 진다. 해수는 수권 체적의 98%, 지표면의 71%를 차지한다. 그리고 육수는 전 질량의 98%를 빙하가 차지하고 있으며, 만약 빙하가 녹는다면 평균 해수면이 약 60m 상승하게 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