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60/142)
- 소비자
-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 중 스스로 유기물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생물을 말하며, 대부분의 동물이 여기에 속하고, 다른 생물을 먹고사는 모든 종속영양생물이다. 한편, 균류·박테리아·원생동물 같은 분해자는 식물이나 동물의 사체, 분비물 등을 분해하여 필요한 에너지나 물질을 얻으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소비자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 소석률
- 주로 컨테이너 선박을 대상으로 수송능력에 대비하여 실제화물을 수송한 비율이다. 예를 들어, 200TEU급 컨테이너 선박이 150TEU를 수송하였다면 당해 항차의 소석률은 75%이다.
- 소오나
- 연속파 또는 펄스파를 수중에 발사하고 목적물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음을 수신하여, 음파의 왕복시간과 수신방향에 의해 목표물의 거리 및 방향을 탐지하는 방식이다.
- 소용돌이
- 물 입자들의 크고 작은 회전운동을 소용돌이 또는 와동이라 한다. 소용돌이는 비이류 수송에서 중요한 혼합작용의 역할을 하며, 크기는 수 cm 크기에서부터 수 백 km까지이다. 난류작용에 의한 용존 물질이나 열의 운반은 와동확산이라 하며, 난류작용에 의한 운동량의 운반은 와동점성이라 한다.
- 소조
- 대조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약 15일마다 달이 상현 또는 하현일 때 일어나는 조석의 간만차가 가장 작은 조석을 말한다. 조금이라고도 한다. 조차는 항상 일정하지 않고, 음력 한 달을 주기로 달의 위치에 따라 매일 조금씩 달라진다. 조차는 초승달과 보름달일 때 최대가 되고, 달이 하현 또는 상현일 때 최소가 되는데, 조차가 가장 작을 때가 소조이며, 가장 클 때가 대조이다. 조석은 주로 달에 의해 일어나지만, 태양으로부터도 영향을 받는다. 달과 태양이 지구를 중심으로 서로 직각이 될 때 양쪽의 작용이 서로 상쇄되어 조차가 작아진다.
- 소조승
- 소조평균고조면
- 소조차
- 조금 때의 조차를 다년간 평균한 것을 소조차라 한다. 소조차는 소조 때의 조차의 평균값으로서, 조화상수로부터 다음 공식 2(Hm-Hs)에 의하여 구해진다. 여기에서 Hm은 M2분조의 반조차, Hs는 S2분조의 반조차이다.
- 소하성어류
- 산란을 위해 바다로부터 하천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어류로서, 연어·송어는 산란기에 하천으로 올라가고, 은어는 어릴 때 올라간다. (유엔해양법협약 제66조) 소하성어류가 기원하는 하천의 국가는 이 어류에 대한 일차적 이익과 책임을 가진다. 소하성어류 기원국은 그 어류의 보존을 위하여 총허용어획량을 결정할 수 있다.
- 소형저서생물
- 중형저서생물보다 작은 약 100㎛ 이하의 저서생물로서, 원생동물과 같은 가장 작은 단세포생물로 구성되어 있다.
- 소형플랑크톤
- 20~200㎛사이의 플랑크톤이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