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56/142)
- 석유
- 지하에서 천연적으로 생산되는 액체 탄화수소 또는 이를 정제한 것으로서, 비중은 물보다 가벼운 0.8~0.9이다. 지질시대에 매몰된 동·식물이 땅속에서 지열 및 압력을 받아 분해되어 탄화수소가 만들어지고, 이 탄화수소가 다공질의 암석 중에 매장되어 있는 것이 석유이다. 석유는 대부분 신생대 제3기층의 배사구조에 많이 매장되어 있으며, 석유의 매장 조건은 석유를 저장하는 암층이 다공질의 암석(사암, 응회암, 석회암, 역암 등)석유광상의 상하층이 불투수층의 셰일이나 점판암 지질구조는 배사구조나 단층, 부정합, 돔구조 이어야 한다.
- 석탄기
- 고생대를 6기로 나누었을 때 5번째 기로서 데본기와 페름기 사이의 시대로서, 약 3억 4500만 년 전부터 2억 8천만년전까지 약 8천만년간 계속되었다.
- 석호
- 해류·조류·하천·바람 등의 작용으로 운반된 토사에 의해 바다와 격리된 해안 가까이의 호소를 말한다. 이들 호소는 수심이 얕고 바다와는 모래로 격리된 데 불과하므로, 지하를 통해서 해수가 섞여드는 일이 많아 염분이 높다. 바다와 수로로 연결된 것도 있으며, 담수호에 비해서 플랑크톤이 풍부하여 부영양호가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송지호, 화진포 등이 이에 속한다.
- 석회질연니
- 석회질이 주요성분인 유공층, 익족류 및 인편모조류의 껍데기나 골격이 30% 이상인 퇴적물을 말한다. 석회질연니가 모든 심해퇴적물중에 제일 많으며, 특히 남태평양·인도양·대서양에 우세하다. 유공충류중의 글로비게리나가 대부분의 석회질연니를 이룬다. 석회질연니는 플랑크톤의 유해가 주성분이기 때문에 플랑크톤이 번식하고, 그 동화작용으로 이산화탄소가 적어져서 탄산칼슘의 용해도가 감소하는 곳에서 생기기 쉽다. 석회질연니가 적도지역의 깊이 2,000~4,000m의 해저에 많은 것도 그 때문이다.
- 선거
- 선박을 건조·개조·수리·검사하기 위하여 조선소·항만 등에 설비된 설비로서, 입출거·상하가장치·주배수장치 및 작업기구 등이 장치되어 있다.
- 선구
- 선박에 설비되어 있는 닻, 체인, 구명보트, 선박의장품 등의 용구를 총칭하는 말이다.
- 선급
- 선박의 구조 및 인명구조 설비를 고려한 선박의 등급을 말한다. 선박은 대부분 국가에서 법규에 의해 선박구조를 규정하고 있으며, 건조기술 및 재료에 대해서도 규제하고 있다. 선급은 해상 보험료를 산정하는 근거로 삼고 있다.
- 선단
- 포경업, 연어·송어 자망어업, 기선저인망 및 선망 등 대규모의 조업을 할 때는 여러 척의 배가 무리를 이루어 계획적인 조업을 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이러한 배의 무리를 선단이라 한다.
- 선류장
- 어선 등 소형선박을 계류하기 위하여 방파제 등으로 둘러쌓은 수역을 말한다.
- 선망
- 표층이나 중층에 있는 어군을 커다란 수건 모양의 그물로 둘러싸서 우리에 가둔 후에, 그 범위를 차차 좁혀 떠올려서 잡는 그물어구이다. 주요대상어종은 고등어, 전갱이, 정어리, 다랑어, 쥐치 등이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