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54/142)
- 새각류
- 갑각류의 한 아강으로서, 몸길이가 최대 2cm를 넘지 않는 가장 원시적인 소형 갑각류이다. 새각류는 어류의 먹이로서 중요하며, 풍년새우·물벼룩 등이 대표적이다.
- 색성판
- 천문항법시 선박의 천측위치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기구로서, 천측력에 실려 있는 57개의 항성과 기타 천체들의 고도와 방위의 근사치를 구하기 위해 9장의 고도 방위판·1장의 자오선각 적위판·장의 항성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간행하고 있다.
- 색소체
- 식물세포의 세포질 안에 있으면서 색소를 만들거나 색소를 함유한 세포 소기관을 말한다. 버섯·박테리아·곰팡이 등의 비녹색식물이나 남조류를 제외한 거의 모든 식물에 색소체는 존재하며, 색소를 포함하지 않은 색소체는 백색체라 하며, 엽록소를 포함하면 엽록체라 하고, 다른 빛깔로 된 것은 유색체라 한다.
- 색이회유
- 어류가 적온 범위 내에서 먹이를 찾아 이동하는 것을 말하며, 봄에 난류를 따라 북상하는 정어리·꽁치·고등어가 그 예이다.
- 생명공학
- (생명공학육성법 제2조) 생명공학이라 함은 산업적으로 유용한 생산물을 만들거나 생산 공정을 개선할 목적으로 생물학적 시스템, 생체, 유전체 또는 그들로부터 유래되는 물질을 연구·활용하는 기술을 말한다.
- 생물교란
- 유기쇄설물이 해저의 퇴적물에 도착하면 대형저서동물을 비롯한 여러 동물들에 의한 섭식 및 분해활동으로 퇴적물의 표층 수 cm는 뒤죽박죽이 되는데, 이런 과정을 생물교란이라 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유기물이 퇴적물 속으로 전달되어 퇴적물 속에 서식하는 중·소형 저서동물의 먹이가 된다.
- 생물군집
- 생물권에서 살고 있는 생물은 제각기 알맞은 환경에서 무리를 이루고 살아가는데, 이것을 생물군집이라 하며, 단일종 또는 2종 이상의 생물로 구성되어 있다.
- 생물권
- 지구상에서 생물이 존재하고 또 상호 물질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소 전체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여기에는 암석권 일부와 수권 및 대기권 상당부분이 포함된다.
- 생물기원퇴적물
- 해양생물의 생리학적 활동에 의해 직접 만들어진 해양퇴적물로서, 일반적으로 연니라고도 하며, 대부분 생물의 골격이나 껍데기로 구성되어 있다. 생물기원 퇴적물은 유공충·익족류·코콜리소포아로 구성된 석회질연니와 방산충·규조류·규질편모류로 구성된 규산질연니가 대부분이며, 그 외에 산호초가 있다. 심해퇴적물은 풍성퇴적물이 대부분인 불태평양 해저를 제외하고는 생물기원퇴적물이 대부분이다.
- 생물량
- 어느 지역 내에 생활하고 있는 생물의 현존량을 말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