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52/142)
- 산란회유
- 성어가 산란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말하며, 연어·송어가 해양에서 강으로 이동하는 오름회유와 뱀장어가 강에서 바다로 이동하는 내림회유, 대구·청어가 해양에서 연안의 돌밭근처로 이동하는 근륙회유 등이 있다.
- 산성비
- 오염되지 않은 비에 비하여 산성이 강한 비를 말한다. 최근에는 산성이 강한 비가 전 세계적으로 관측되고 있는데, 산업화의 발달 및 인구증가로 인해 공장과 도시에서 배출된 이산화황과 질소화합물이 일부가 지면에 떨어지고 나머지는 대기 중으로 올라가 수증기와 화학결합을 하여 강산인 황산과 질산으로 되어, 이것이 구름에 섞여 내리는 pH 5 이하인 비가 내린다. 산성비가 내린 지역의 내수면이 산성화되면 알루미늄·카드늄·아연·납 등이 유독성을 띄어 동식물 등을 죽이고, 산성화된 토양중의 수분과 금속(주로 알루미늄)은 영양분을 흡수하는 뿌리털을 손상시키고, 나뭇잎들을 누렇게 변색시켜 말라죽게 한다.
- 산소극소층
- 유기질쇄설물의 침강과 동물플랑크톤의 주야수직이동 때문에 박테리아의 산소소비와 동물의 호흡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인 유광층 밑의 수층이 산소극소층이다. 표층수에서의 산소량은 표면수와 기포의 혼합과 광합성 생성물에 의해 높게 유지된다. 용존산소가 혼합되는 수심은 수 십m까지이며, 이 수심보다 깊은 곳에서는 수심에 따라 감소하여 7백~1천m에서 최소값을 갖는다. 산소극소층 아래에서는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산소량이 약간 증가하는데 이것은 저층수가 중층수보다 최근까지 표면에 있었기 때문에 용존산소를 더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 산업폐기물
- 산업 활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폐기물을 말한다.
- 산호초
- 산호초의 유해나 분비물 등으로 이루어진 석회질의 초로서, Hermatypic 산호와 Zooxanthellae 해조류가 공생하여 산호초를 형성한다. 산호초는 보통 열대 또는 아열대지방인 남·북위 20°해역에 분포하며, 수심 50m이내의 햇볕이 잘 쬐고 깨끗한 해수이면서 수온이 20℃ 이상인 수역에만 생성되고, 큰 염분 변화에는 적응할 수 없다. 산호초는 섬과 산호초의 위치관계에 따라 거초, 보초, 환초로 나누어진다. 다윈의 이론에 따르면, 산호초의 발달 순서는 처음에는 화산섬 주위에 고초로 발달하고, 화산섬이 침강하면서 거초는 상부로 성장하여 보초로 변환하며, 화산섬이 해수면 아래로 완전히 침강되어 환초가 된다.
- 산호충류
- 강장동물의 한 강으로서, 모두 바다에 살며 고착해 생활하는 폴립형이다.
- 산화
- 환원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어떤 물질과 산소가 결합하는 것 또는 그 물질에서 수소를 떼어내는 것을 말한다. 단체나 이온이 시약이나 전기적 에너지에 의한 반응에서 전자를 잃고, (+)의 원자가 늘거나 (-)의 원자가 줄 경우도 산화라고 한다.
- 산화환원전위
- 수소를 0으로 했을 떄 기질에 대한 전자의 친화성을 Volt로 나타낸 측정단위이다. 수소보다 강력한 전기음성도(산화력)를 가진 물질을 양성산화전위로 나타내고, 그 반대이면 음성 산화전위로 나타낸다.
- 살물선
- 곡물·석탄·광석 등의 대량화물을 포장하지 않고 그대로 적재·운송하는 화물선으로서, 벌크선이라고도 한다.
- 삼각주
- 유출량이 많고 배수분지가 큰 강이 바다와 접하면 강의 유속이 감소되어 퇴적물이 하구 부근에 막대하게 퇴적되는데, 이와 같이 강어귀에 형성되는 퇴적층을 삼각주라 한다. 삼각주는 해안에서 바다 쪽으로 더 연장되어 성장하므로 불쑥 나온 모양을 가지게 되며 거의 삼각형과 유사하게 된다. 삼각주는 주로 육성 퇴적물로 구성되며, 실트와 점토가 대부분이다. 세계적으로는 나일강과 미시시피강 하구의 삼각주가 유명하며, 우리나라는 낙동강 하구에 발달되어 있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