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51/142)
- 사암
- 쇄설성 퇴적암의 일종으로 사립이 모여 굳어진 암석이다. 일반적으로 석영·장석·운모·각섬석 등의 광물 및 암석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입자는 풍화되고 운반되는 과정에서 마멸·도태되어,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게 된다.
- 사주
- 해안이나 하구 부근에 발달하는 모래나 자갈로 이루어진 퇴적지형을 말한다. 파도나 연안류가 운반한 해저의 모래가 힘이 적어진 곳에서 퇴적하여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높이는 10m 이하로 가늘고 길쭉하다. 그리고 만구에서 발달한 사주를 만구사주라고 하며, 해안선과 평행하여 해안 가까이에 발달한 사주를 연안사주라고 한다. 연안사주의 방향은 연안류의 방향과 평행하며, 사주가 발달하여 성장하여 가는 방향은 연안류의 흐름 방향과 같다. 우리나라는 속초의 청초호 입구에 발달된 사주가 대표적이다.
- 사추파
- 선박의 끝 좌·우현측의 45°이내 각도에서 비스듬히 따라오는 파도를 말한다.
- 사취
- 육지에서 바다로 뻗어나간 모래나 자갈질의 퇴적지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만의 입구에 생기며, 연안류가 운반한 모래가 만구에서 차례로 퇴적하여 해면상에 나타나서 사취가 된다. 사취의 끝은 보통 내만 쪽으로 꺾어지며, 사취가 뻗어나가 만구를 막으면 그 안쪽에 석호를 만들게 된다.
- 삭망월
- 달이 삭에서 다음 삭까지 또는 망에서 다음 망까지 이르는 시간의 평균인 29.530588일을 삭망월이라 한다. 달은 지구의 주위를 공전하고 지구는 달과 함께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데, 지구를 중심으로 달과 태양이 같은 방향에서 일직선에 있을 때를 삭이라 하며, 달과 태양이 반대 방향에서 일직선에 있을 때를 망이라 한다. 태음력에서는 삭 일을 매월 초하루로 정하고, 1태음월을 29일 또는 30일로 하고 있으며, 달은 삭망월을 주기로 하여 위치와 모양을 달리한다. 삭망월이 항성월보다 약 2.2일 더 긴 것은 달이 1항성월 걸려서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사이에 지구도 태양의 주위를 공전하므로 달은 지구를 2.2일 더 돌아야 일직선상에 있게 되기 때문이다.
- 산
- 분자 내에 금속이나 염기로 치환할 수 있는 수소를 가지고, 물에 용해되면 수소이온을 생성하는 화합물을 말한다. 염산이·황산은 대표적인 강산이며, 산은 신맛이 있고 푸른 리트머스종이를 적색으로 바꾼다.
- 산도
- 염기 1분자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산기(OH)의 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가성소다°가성칼리 등은 산도가 1이고, 수산화칼슘은 산도가 2이다. 산도1의 염기를 산염기, 산도2의 염기를 2산염기라 한다.
- 산란
- 난생의 동물이 알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것을 말한다.
- 산란
- 파동이나 입자선이 분자·원자·미립자 등 물체에 충돌하여 운동방향을 바꾸고 각 방향으로 흩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하늘이 푸르게 보이는 것은 태양광선이 공기분자에 의해서 산란되어 생기는 산란광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이다. 대기 중에는 파장이 짧은 푸른색 산란광이 우세하여 하늘이 푸르게 보인다. 한편, 대기 중에 세진이 많으면 하늘의 푸른색은 엷어지고 흰색으로 보이게 된다. 이것은 공기분자에 비해서 어느 정도 큰 세진이 많이 있는 경우에는 태양광선을 거의 모두 한꺼번에 산란하기 때문에 하늘은 흰빛을 띠게 된다.
- 산란층
- 음향측심기로부터 나온 음파가 해양생물의 밀집에 의해 산란되는 층을 말하며, 심해산란층이라고도 한다. 음의 산란은 주로 중층원양성어류 특히, 샛비늘치과어류의 부레에 의하여 발생된다. 보통 수심 1천m까지 다섯 개의 산란층이 발견되는데 이들 층들은 안정적이지만 어떤 것들은 매일 수직운동을 하며, 생물의 수직회유때문에 낮보다는 밤에 더 표면에 가까워진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