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50/142)
- 빈모류
- 환형동물의 한 강으로서, 지렁이류라고도 한다. 몸은 원통형이고 암수한몸이며, 극히 소수의 짧은 강모가 나 있다. 지렁이는 흙속·늪·호수·지하수·동굴·해안 등에 널리 분포하며, 약 2,700종이(한국에는 약 60종)이 알려져 있다.
- 빈영양
- 용존하는 영양염류가 적고 생산력도 낮은 상태를 말한다. 빈영양일 때는 산소가 유기물의 산화에 소비되는 일이 적으므로 해저까지 산소가 거의 포화되어 있다.
- 빌지
- 선박의 운항과 관련하여 선내에서 발생하는 폐수나 기름찌꺼기를 말한다.
- 빙산
- 빙하를 기원으로 하여 이것이 깨짐으로서 해상으로 흘러내려 바람과 해류에 의해 떠다니는 얼음 덩어리를 빙산이라 한다. 빙산의 밀도는 바닷물의 밀도보다 작으며, 해면상에 나와 있는 부분(11%)보다는 바다 속에 있는 부분(89%)이 훨씬 크며, 빙산의 표류한계는 보통 남북위 약 40부근이다. 좁은 뜻으로는 수면상 높이가 5m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빙산이라 부르고, 5m 이하로 직경 10m 이내인 것은 빙산편이라 한다. 빙산에는 주로 북극에서 발견되는 정상이 돌출된 형태와 주로 남극에서 발견되는 정상이 탁상처럼 평탄한 형태의 2가지 형태가 있다.
- 빙하
- 높은 산이나 고위도의 저온지대에서 응고한 만년설이 상층의 적설 압력에 따라 얼음이 되어 육지상에 생성된 빙체를 말한다. 빙하가 차지하는 면적은 현재 약 1억 5천만㎢로 전 육지의 약 10%에 해당한다. 그 중 98%는 남극대륙과 그린란드에 존재한다. 현존하는 빙하를 수량으로 환산하면 약 17백만㎦에 이르며, 해양을 포함한 지구상의 물의 1.1%에 해당하고, 육지의 물중에서는 75%를 차지한다. 현존하는 빙하가 전부 녹는다고 가정하면, 해면은 현재보다 60m 정도 상승할 것으로 계산된다. 참고로 북극해에서 생성된 얼음은 극빙 또는 해빙이라고 한다.
- 빙하성 해양퇴적물
- 빙하에 의하여 운반되어 퇴적한 해양퇴적물을 말하며, 빙하 주변해저 특히, 남극대륙 주변해저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빙하성 해양퇴적물은 분급이 매우 불량하고 퇴적층리를 나타내지 않으며, 여러 가지 광물과 암석의 혼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 사구
- 바람에 의해서 운반되어 퇴적된 모래로 구성된 언덕을 사구라 한다. 해양에서는 해안사구라고도 하며, 해류에 의하여 운반된 모래가 파랑에 밀려 올려지고 그 곳에서 탁월풍의 작용을 받아 낮은 구릉 모양으로 쌓여서 형성되는 언덕지형으로서, 높이는 대체로 수m~수십m이다. 해안사구의 상당수는 해안선에 평행하거나 다소 비스듬하게 좁고 길게 뻗어 있으며, 가끔 표면에 물결 모양의 무늬가 생긴다. 한국의 서해안은 북서계절풍이 겨울철에 탁월하므로 서해안 곳곳에 비교적 규모가 큰 해안하구가 발달하여 있다.
- 사리
- 조금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약 15일마다 달이 삭 또는 망 일 때 달과 태양이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어 조석의 간만차가 가장 큰 조석을 말하며, 대조라고도 한다.
- 사망률
- 한 계군에 있어 1년 동안의 총 사망수를 총 개체수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것을 사망률이라 한다. 사망률의 변동은 출생률의 변동과 마찬가지로 자원량 변동에 직접 영향을 끼친다. 사망률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는 부적당한 환경·해적생물에 의한 먹힘·질병·어획·노쇠 등이 있으며, 어획을 제외한 요인들에 의한 사망률을 자연사망률이라 한다.
- 사분포자
- 갈조류의 일부와 홍조류에서 볼 수 있는 무성포자(무성적인 생식세포)를 말한다. 편모가 없으므로 운동성이 없으며, 포자낭 속에서 1개의 모세포로부터 갈수분열에 의하여 항상 4개의 포자가 생성되므로 사분포자라 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