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47/142)
- 부잔교
- 간만차가 큰 곳에서 조위에 관계없이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한쪽만을 고정시켜 수위에 따라 상·하로 오르내리게 한 잔교를 말한다.
- 부정기선
- 운송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수시로 어느 곳에나 항해하는 배를 말한다. 부정기선은 주로 원유나 석탄, 철광석, 양곡 등 벌크 운반에 이용된다.
- 부정합
- 정합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새로운 지층이 낡은 지층 위에 침식면을 경계로 하여 겹치는 현상이다. 어느 지층이 침식을 당한 후에 새로운 지층으로 퇴적될 때 생겨난 것으로, 밑에 있는 오랜 지층과 위에 쌓인 새로운 지층이 서로 정연하게 누적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부정합은 그곳에 지각 변동이 있었다는 증거가 되며, 상·하 지층과의 관계에 의해 경사부정합과 평행부정합으로 구분된다.
- 부족류
- 연체동물에 속하는 한 강으로서, 조개류 또는 이매패류라고도 하며, 바지락·대합·조개·굴 등이 대표적인 부족류이다. 부족류는 연약하고 납작한 근육질의 몸이 두 장의 패각으로 쌓여있으며, 몸통 아래쪽에는 도끼나 갈고리 모양의 발달된 근육질 발이 있다. 부족류는 먹이를 걸러먹기 때문에 치설이 없으며, 굴은 시간당 평균 3톤의 물을 거른다. 대부분의 부족류는 자웅이체로서, 수중에서 체외수정을 하며 어떤 조개류는 수컷이 방출한 정자가 암컷의 외투막에 있는 알과 수정을 하여 암컷의 외투강 안에 새끼를 품는다. 수정란은 부화하여 자유유영을 하는 담륜자·피피면자 유생을 거쳐 성체가 된다.
- 부진동
- 호수나 반폐쇄형 만에서 갑작스런 교란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정상파로서, 수 분 또는 수 시간을 주기로 수면이 갑자기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부진동의 주기는 파장과 분지의 크기에 좌우되며, 부진동이 생기는 원인은 폭풍이나 강한 바람이 갑자기 정지해서 해파가 낮아지고, 그 물이 다시 평형을 이루려고 할 때 어떤 분지에서 장소에 따라 상당한 대기압 차가 있을 때 형성된다.
- 부착방지도료
- 구조물에 부착생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료로서, 종래에는 부착방해제로서 TBT가 함유된 선박도료가 사용되어 왔으나, TBT독성이 부착생물뿐만 아니라 해양 생태계 내의 다른 무척추동물에게 악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TBT의 사용을 선별적으로 제한하고 있다.
- 부착생물
- 선박의 하부나, 해양구조물 등 해수와 접촉하는 표면에 부착하여, 여러 가지 악영향을 미치는 생물군을 말하는데, 박테리아나 곰팡이류에서부터 해조류, 멍게류 등에 이르기까지 수백 종류에 달한다. 부착생물은 선박하부에 요철을 만들게 되므로 선박의 연료소모를 크게 증가시키며, 구조물이나 장비, 양식장의 시설물 등을 파손하거나 하중을 높여 잠수시킬 뿐만 아니라, 양식물들의 성장을 방해하는 피해를 끼친다.
- 부체
- 유체의 가운데 또는 표면에 부력의 작용에 의해 떠 있는 물체를 말한다.
- 부표
- 해상에서 암초 등 장애물의 존재나 항로를 표시하기 위해 해저에 고정되어 해수면에 떠 있는 항로 표지시설을 말하며, 부이라고도 한다. 부표는 어구·닻·해양관측장비 등 물속에 있는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 부표생물
- 수표생물 중 대기와 수중을 다 이용하여 사는 생물을 말하며, 해파리·물새·날치 등이 이에 속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