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해양용어사전

목록내 검색
검색

1416건 (46/142)

부식
각종 재료가 화학적 작용에 의하여 썩고 녹슬어 원래의 형태를 잃는 것을 말한다.
부어류
저어류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해저와 연관성이 없고 바다의 표층 또는 중층에 서식하는 어류를 총칭하여 부어류라 하며, 크게 청어과(청어·연어·정어리·멸치·은어 등)와 고등어과(고등어·다랑어·삼치·청새치·갈치 등)로 구분할 수 있다.
부영양화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암모니아·질산염·인산염·규산염 등의 영양물질이 많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부영양화는 처음에는 당해 해역에서 생산력을 증가시키지만, 나중에는 생물순환체계를 악화시킨다는데 문제가 있다. 부영양화는 생물량과 분해를 증가시켜 산소고갈과 생물의 대량폐사를 일으키는데, 적조가 그 예이다. 부영양화에 의한 손실이 정상화하기까지는 수년이 걸리며, 그 이유는 썩은 유기물질들이 영양물질을 물 속에 다시 방출시켜 영양물질이 풍부한 부영양화를 지속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에는 공장폐수·생활하수·농지로부터 흘러드는 비료성분 등 때문에 부영양화의 진행이 점점 빨라지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부영양화는 식물플랑크톤의 종구성을 변화시켜, 공급된 영양염을 가장 빨리 흡수할 수 있는 종이 우점종이 된다. 인산염과 질산염의 부영양화는 규조류에서 편모충류로 종구조를 변화시킨다. 먹이사슬이 변화함에 따라 부영양화된 지역은 전에 그곳에서 살던 많은 종들에게는 부적당한 지역이 된다.
부원
선원수첩은 있으나 해기사 면허가 없는 해원을 말하며, 갑판원, 기관원 등이 부원에 속한다.
부유물식자
부유된 유기물질을 호흡기관 또는 촉수를 이용해서 걸러 먹고사는 해양생물로서, 현탁물식자라고도 하며, 저서생물 중에 현탁물식자가 많다.
부유사
하천 또는 해안에서 물의 흐름이나 파랑에 의하여 저면으로부터 부상하여 이동되는 토사를 말한다.
부유생물
유영력이 미약하거나 전혀 없이 물 속에서 해류 및 파도 등의 움직임에 수동적으로 밀려다니는 작은 크기의 생물을 말하며, 플랑크톤이라고도 한다.
부유성저서생물
해저에서 생활하다가 떠 올라오는 생물을 말하며, 곤쟁이가 그 예이다.
부유식
수면에 떠있는 형식의 해양구조물로서, 정착식·계류식·자항식·예항식 등이 있다.
부이
부표

자료관리 담당부서

전시팀
0515508824
최근 업데이트
2023-01-11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