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45/142)
- 복원력
- 평형상태에 있는 부체가 이동하거나 또는 기울어졌을 때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려고 하는 힘을 말한다.
- 복족류
- 연체동물에 속하는 한 강으로서, 복족류는 연체동물 중 수적으로 가장 번창한 무리로서 동물에서 곤충류 다음으로 큰 동물군이며, 고둥류라고도 한다. 달팽이·고둥·소라·우렁 등이 대표적인 복족류이다. 대부분의 복족류는 나선형으로 말린 1개의 패각을 갖고 있으나, 전복이나 삿갓조개는 납작한 원추형 패각을 가지고 있으며, 복족류는 담륜자·피면자 유생을 거쳐 성체가 된다.
- 복합운송
- 화물운송업자가 자기 책임하에 철도·트럭·선박·항공기 등 최소한 2종류 이상의 수송수단을 결합하여 수송의 합리화 및 효율화를 도모하는 운송형태이다.
- 본초자오선
- 경도를 측정하는 기준이 되는 자오선을 말한다. 1884년 국제자오선회의에서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통과하는 자오선을 본초자오선으로 결정하고 경도는 0°이다. 본초자오선으로부터 동쪽으로 180°, 서쪽으로 180°까지 측정하여 전자를 동경, 후자를 서경이라 한다.
- 부두
- 선박이 접안하여 화물을 하역하고 여객이 승강하는 장소를 말한다.
- 부레
- 골어류의 몸속에 있으면서, 안에 기체가 들어 있는 얇은 막 모양의 주머니를 말한다. 뜨고 가라앉는 것을 조절하는 구실을 한다.
- 부력
- 유체 속에 있는 물체가 유체로부터 받는 중력과 반대방향의 힘을 말한다. 크기는 유체 속에 있는 물체의 부피와 같은 부피의 유체무게이며, 이것은 아르키메데스가 발견했기 때문에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라 한다. 물체의 비중이 유체 비중보다 큰 경우 물체는 가라앉으며, 물체의 비중이 유체 비중보다 작을 때에는 유체 위에 뜨게 되고, 또 비중이 같을 때에는 그 물체는 유체내의 어떤 곳에도 머무를 수 있다.
- 부석
- 화산분출물 중에서 다공질의 지름 4mm 이상 암괴를 말하며, 경석이라고도 한다. 외관상 비중이 작아서, 물에 뜰만큼 가볍다. 마그마가 대기 중으로 방출될 때 압력이 갑자기 감소한 결과로 마그마 중의 휘발성 성분이 빠져나가서 수많은 기공이 생긴 것이다.
- 부선
- (선박법 제2조) 부선이란 자력 항행능력이 없어 다른 선박에 의하여 끌리거나 밀려서 항행되는 선박을 말한다.
- 부속해
- 대양에 비하여 작은 넓이를 가진 해양으로서, 해양 넓이의 약 14%를 차지하며, 지중해와 연해로 구별된다. 지중해는 주위가 대부분 육지로 둘러싸여 있는 바다로, 유럽의 지중해 외에 북극해·발트해·홍해 등이 그 좋은 예이며, 연해는 섬이나 반도로 불완전하게 둘러싸여 있으며, 베링해·오호츠크해·동중국해·동해 등이 그 전형이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