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44/142)
- 보버트 풍력계급
- 풍속계가 고안되기 이전에 해상 파돈자 연기·나무 등의 바람에 의한 유동을 기준으로 하여 만든 풍속추정 계급이다.
- 보상수심
-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광도가 점차 감소하여 어느 수심에 이르면 광합성량(산소생산)과 호흡량(산소소비)이 일치하여 순일차생산량은 0이 되는데, 이 때의 수심을 보상수심이라 한다. 보상수심은 대개 유광층 밑에 존재하며, 이 때의 광도를 보상광도라 한다.
- 보우게보정
- 중력측정에 사용되는 용어로서, 측정지와 지오이드면 사이의 물질로 인한 인력이 중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제거하여 보정하는 것을 말한다.
- 보우게이상
- 보정중력에서 표준중력을 뺀 값을 말한다. 부우게이상이 생기는 이유는 중력을 보정하는 과정에서 중력이상 요인 중 관측지의 지하물질 밀도가 수평적으로 불균일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요인을 보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부우게이상은 지하물질의 밀도분포를 알고 지각의 구조를 연구하는 데 이용되며, 지오이드면 아래 물질의 밀도가 지구 평균값보다 작으면 (-), 크면 (+)의 값을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해양에서는 (+), 대륙에서는 (-)값을 나타낸다.
- 보정
- 실험 및 관측에서 외부적 원인에 의한 오차를 없애고 참된 값을 구하는 것을 말한다.
- 보정중력
- 측중력은 관측점간의 고도·지형·물질분포 등이 상이하여 그 값의 크기를 서로 비교할 수 없다. 비교값을 구하려면 동일한 물리적 조건으로 그 값을 보정해야 하는데, 고도보정·지형보정·부우게보정의 3가지 보정을 마친 중력값을 보정중력이라 한다.
- 보정측량
- 항만·항로·연안 등 해양의 일부 구역에서 항만확장·준설·매립 등의 공사를 한 경우에 이미 간행된 해도를 수정하여 최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변화부분만을 다시 측량하는 것을 말한다.
- 보초
- 해안에서 약간 떨어진 바다에 있는 산호초로서, 거초가 육지의 침강 또는 해면의 상승에 의하여 변화한 것이다. 해안선은 침강에 의하여 육지 쪽으로 이동하며, 산호는 위쪽으로만 성장하므로 둘 사이가 분리되어, 그 사이에 초호가 이루어진다. 육지가 작은 섬이면 보초는 섬을 둘러싸고 발달하며, 띠 모양의 보초 여기저기 끊어진 곳에는 수로가 있어 초호의 물이 외해와 이어진다. 서태평양의 팔라우섬이 대표적인 보초이다.
- 보호수면
- 수산동물의 산란·치어 및 수산식물의 종묘발생 등의 보호관리를 위하여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수면에 대해 정부에서 지정하는 구역이다.
- 복각
- 지구자기장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자석의 바늘을 무게중심에서 받쳤을 때, 자침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을 말한다. 복각은 I로 나타내며, 자력의 아래방향 복각을 (+)로 하고, 북반구에서는 반드시 N바늘(남반구에서는 S바늘)이 내려간다. 보통 사용하는 자석의 바늘은 S바늘을 무겁게 하여 복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