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해양용어사전

목록내 검색
검색

1416건 (38/142)

밀도
단위부피당 물질의 질량으로서, 1㎤내에 포함된 질량을 g으로 나타낸 것을 밀도라 한다. 외양의 해수밀도는 일반적으로 1.02400~1.03000g/㎤ 범위 내에서 변화하며, 해류나 수괴에서는 0.0001g/㎤의 차이라도 영향이 나타나므로, 해양관측에서는 항상 소수점이하 5자리까지 밀도를 구한다. 수온·염분·수압은 해수밀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로서, 이들을 각각 s·t·p라 할 때 해수 밀도는 σs,t,p (=(밀도-1)×103)로 표시하는 간략한 형이 사용된다. 따라서 밀도가 1.02578g/㎤인 해수의 σs,t,p는 25.78이 된다. 그리고 σt라고 불리는 밀도 표기법은 수온과 염분의 변화만을 고려될 때 사용되며, σt는 현장온도·염분 35‰·대기압의 조건 하에서 정해진다. 해수의 밀도는 염분과 수압에 비례하고, 수온에는 반비례한다. 해수 밀도는 염분변화보다도 수온변화에 더 민감하며, 물은 약간의 압축성을 가지므로 압력증가에 따라 약간의 밀도증가를 나타내므로, 일반적으로 수심증가에 따라 밀도는 증가한다. 그리고 밀도의 역수를 비체적(비용적)이라 한다.
밀도류
수온과 염분에 의해 발생하는 해수의 수평적 밀도차에 의하여 생기는 흐름을 말하며, 대양의 중·심층수 해수이동은 주로 밀도류에 의한다.
밀도약층
해양에서 밀도의 연직분포가 급격히 변화하는 층으로서, 일반적으로 해양에서는 고온·저밀도의 상층과 저온·고밀도인 하층의 경계면을 말한다. 대부분의 해역에서는 밀도경사와 수온약층이 거의 같은 위치에 있으나, 염분분포의 영향이 있기 때문에 양자는 엄밀하게는 일치하지 않는다. 밀도약층은 수심 약 100m에서 나타나며, 그 아래에서는 밀도가 거의 일정하여 1.0278g/㎤~1.0279g/㎤사이에 있고, 시간에 따른 변화도 아주 작다.
밀물
썰물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간조에서 만조로 될 때 해면이 점차 올라가는 사이를 말하며, 창조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와 같이 반일주조가 나타나는 곳에서는 밀물 지속시간과 썰물지속시간이 각각 약 6시간 13분으로서, 보통 하루에 2번 썰물과 밀물이 나타나며 매일 역 50분씩 늦어진다. 이 시간은 비조류 흐름때문에 매우 불규칙적이고, 강에서는 보통 썰물지속시간이 밀물지속 시간보다 길다.
바(Bar)체크
음향측심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음속도 개정의 한 방법이며, 음파 반사가 양호한 판 또는 Bar를 눈금이 달린 줄의 끝에 매달아서 송수파기 바로 아래 수중의 일정 깊이로 내리면 음향측심기의 기록지상에 이 반사체의 반향 신호가 기록된다. 이 때 Bar를 내린 깊이와 기록된 반향신호가 일치하는지 또는 오차가 없는지를 검토하여 그 비율로 음속도를 개정하는 방법이다.
바다
지표면 중 육지 이외의 부분으로서 해양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해양보다는 좁은 개념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바다를 육지에서의 거리로 비교할 때에는 원양과 연근해로 구분하고, 육지로 둘러싸였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내해와 외양으로 구분한다. 바다의 생성연도는 현재까지도 의견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 있지만, 45~46억 년 전 지구가 탄생한 이후 원시지구가 서서히 식어감에 따라 지구내부에 함유되어 있던 물이 증기로 변해 지표로 방출되었고 초기의 대기와 합하여져 그 혼합된 최초의 대기가 냉각되고 응축되어 빗물로 지표에 쏟아짐으로써 약 40억 년 전에 최초의 바다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바다가재
단단하고 체절화된 외골격으로 되어 있으며 5쌍의 다리와 2쌍의 긴 더듬이가 있다. 육지와 가까운 바다 밑바닥에 서식하며 낮에는 굴속이나 바위 밑에 들어가 있다가 밤이 되면 나와 활동한다. 게, 고둥, 작은 물고기나 다른 바다가재를 잡아먹는다. 보통 2년에 한 번 알을 낳는데 한번에 5천~10만개 이상의 알을 낳는다. 암컷은 알을 11~12개월 동안 꼬리의 휘어진 부분에 품고 다니다가 알이 부화할 때가 되면 새끼들을 알껍데기 밖으로 흔들어 떨어뜨린다.
바다목장
(기르는 어업육성법 제2조) 바다목장이라함은 일정한 해역 등에 대하여 수산자원 조성을 위한 시설을 종합적으로 설치하여 인공적으로 수산자원을 번식하게 하고 이를 포획·채취하는 장소를 말한다.
바다안개
안개는 관측지점으로부터 1km 이내의 목표물이 보이지 않을 때를 말하며, 바다안개는 해상에서 볼 수 있는 안개를 가리키는데, 해무라고도 한다. 바다안개는 고온 다습한 해면의 공기가 찬 해면으로 이동할 때 해면부근의 공기가 냉각되어 새이며, 우리나라에서는 4~10월에 주로 나타나고, 7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그리고 해안지방에서 초여름에 다습한 육상의 공기가 비교적 한랭한 해면으로 불 때 발생하는 안개는 연안안개라 한다.
바닷가
(공유수면관리법 제2조) 바닷가라 함은 만조수위선으로부터 지적공부에 등록된 지역까지의 사이를 말한다. (수산업법 제2조) 바닷가라 함은 만조수위선과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의 바다 쪽 경계선 사이를 말한다.

자료관리 담당자

전시팀
남영웅 (0515508824)
최근 업데이트
2023-01-11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