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29/142)
- 돌진형 쇄파
- 해파가 뾰족하게 말리다가 마지막에는 깨지면서 물이 밀려드는 쇄파이며, 태평양의 전형적인 쇄파이다.
- 돌풍
- 평균 풍속에 비해서 풍속이 일시적으로 갑자기 커지는 바람으로서, 풍속의 변동이 클 경우 갑자기 10~30㎧를 넘는 강풍이 불기 시작하여, 수분 혹은 수십분 내에 급히 약해지는 현상을 돌풍이라 한다. 돌풍의 원인은 한랭한 하강기류가 온난한 공기와 마주치는 곳, 즉 한랭한 기단이 따뜻한 아래로 급하게 침입하여 따뜻한 공기를 급상승시켜 일어난다.
- 돌핀
- 육지와 상당한 거리에 있는 해상에서 일정 수심이 확보되는 위치에 선박이 계류하여 하역할 수 있도록 시설한 구조물을 말한다.
- 동물플랑크톤
- 플랑크톤 중에서 광합성을 못하고 식물플랑크톤 등을 먹이로 하여 생활하는 플랑크톤을 말한다. 요각류·난마다곤쟁이류·화살벌레류·유공충류·방산충류 등이 동물플랑크톤의 주종을 이루며, 많은 어류의 알이나 치어·유영동물·저서생물도 유생기를 동물플랑크톤으로 지내는 경우가 많다. 동물플랑크톤은 전 해양에 분포하며, 생태적 특성으로 주야수직이동을 한다. 야간에는 수면 가까이 부상하며 주간에는 보다 심층으로 이동하는 종이 많은데 수백 m 이상 이동하는 것도 드물지 않다. 동물플랑크톤은 부유습성 때문에 해수가 운반해 주는 대로 아무 곳에나 옮겨질 수 있다는 점과 빛에 대한 독립성 때문에 해양 전체에서의 서식이 가능하다. 동물플랑크톤의 분포를 제한하는 주된 요인은 수온이다. 그 이유는 차가운 해역에서는 생식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 동안경계류
- 대양의 동해안 가까이에서 남으로 흐르는 흐름을 동안경계류라 하며, 캘리포니아해류가 대표적이다.
- 동위원소
- 원자번호는 같지만 질량수가 다른 원소를 말하며, 화학적 성질은 같으나 원자량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어떤 원소의 화학적 성질은 그 원소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의 원자핵 내에 있는 양성자의 수, 즉 원자번호에 의해 결정되며, 원자의 질량은 양성자와 중성자의 수의 합, 즉 질량수에 거의 비례하므로, 동위원소란 같은 수의 양성자를 가지고 중성자의 수만이 다른 원자핵으로 이루어지는 원소들이라고 할 수 있다. 160/180와 12C/13C 같은 동위원소 농도비는 해양에서 여러 기작을 규명하는 도구로서 이용된다.
- 동지
- 황도 위에서 태양의 적위가 최소(23°27′)로 되는 점으로, 태양이 가장 남쪽에 왔을 때이다. 동지는 12월 22일경이며, 북반구에서는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고, 남반구에서는 반대다.
- 동한난류
- 동해로 유입된 대마난류의 지류가 우리나라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는 해류를 말하며, 동한해류라고도 한다. 동한난류는 10℃ 이상의 고온과 34.4‰ 이상의 고염분 특성이 있으며, 수심 약 50~150m까지 영향을 미친다.
- 동해
- 동해는 한반도·일본열도·시베리아 동부지역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남으로는 대한해협, 북으로는 Tsugaru·Soya·Tartar해협을 통해 북태평양에 연결되는 연해이다. 총면적은 1,008×103㎦, 평균 수심은 1,360m로서, 황해나 남해에 비하면 면적이 넓고 수심이 깊은 것이 특색이다. 동해에서는 동한난류와 북한한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해류이며, 동해 남부의 표면수온은 여름에는 26~27℃, 겨울에는 10℃내외이다. 그리고 동해의 조석은 매우 적어 조차는 0.3m내외이며, 일조부등이 매우 현저하여 일주조가 되는 수가 있다.
- 동해고유수
- 수심 약 300m 이하에서 동해 전 해역에 걸쳐 존재하며, 수온과 염분이 균질하고 높은 용존산소를 갖는 수괴로서, 우리나라 주변 해양의 수괴 중 가장 수온이 낮은 수괴이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