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27/142)
- 대조승
- 대조평균고조면
- 대조차
- 대조 때의 조차 평균값으로서, 조화상수로부터 2(Hm+Hs)의 공식에 의하여 구해진다. 여기에서 Hm은 M2분조의 반조차, Hs는 S2분조의 반조차이다.
- 대조평균고조면
- 대조 때 고조의 평균 조위를 말하며, 대조승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대조 때 저조의 평균조위는 대조평균저조면이라 한다. 대조평균고조면은 조화상수로부터 Zo+Hm+Hs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Zo는 기본수준면으로부터 평균해면까지의 높이, Hm은 M2분조의 반조차, Hs는 S2분조의 반조차이다.
- 대증식
- 생물들의 생식과 밀도는 보통 공간·영양염·에너지·동물에 의한 포식·사망 등에 의하여 제한된다. 짧은 기간 이들 제한요소들이 없을 때, 수적으로 폭발적인 증가가 가능한데 이를 대증식이라 한다. 좋은 예는 온대해역의 특색인 식물플랑크톤의 춘계대번식이다. 겨울에는 적은 빛 때문에 매우 낮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만 있을 뿐으로, 용존 무기영양염인 N·P·Si의 농도가 증가한다. 봄에는 충분한 영양염과 더불어 빛이 증가함으로써 규조류·편모조류 등 식물플랑크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한다. 온대해역에서는 연간 일차생산량의 50~75%가 3~4월의 춘계 대번식동안 생산된다. 또 다른 대증식의 예는 여름에 연안에서 예외적인 수온과 부영양화가 나타난 후에 편모조류의 대증식이 나타나는 적조이다.
- 대한해협
- 대한해협은 한반도 남동해안과 일본 열도 연안을 사이에 두고 남해와 동해를 연결하는 폭 200km정도의 해협으로서, 대마도를 기준으로 서수도와 동수도로 구분한다. 서수도의 최대수심은 227m로서 경사가 상대적으로 급하며, 동수도의 수심은 100m내외로서 비교적 완만하다. 대한해협내 해수유동은 북동-남서방향의 왕복성조류와 약 30~80cm/sec 속도로 북동쪽으로 흐르는 쿠로시오해류의 지류인 대마난류이며, 이 해역에서 창조류는 남서쪽으로, 낙조류는 북동쪽으로 흐른다.
- 대합
- 껍데기 길이 10cm정도의 큰 조개로서, 수심 20m의 모랫바닥에 서식한다.
- 대형갈조류
- 다시마과에 속하는 대형 갈조류의 총칭이며, 넓은 의미로는 해조류를 통칭하는 말로도 쓰인다.
- 대형저서생물
- 크기 1mm이상의 해저에 살고 있는 저서생물을 말한다.
- 대형플랑크톤
- 크기가 2~20cm 사이의 플랑크톤이다.
- 데본기
- 지질시대 구분의 하나로서, 지금으로부터 3억 9500만년전부터 3억 4500만년전의 5천만년간에 해당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