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23/142)
- 농도
- 혼합물, 특히 액체에 혼합되어 있는 구성 성분의 양의 비율을 말한다.
- 높새바람
- 지방풍의 일종으로 원래는 알프스 골짜기를 향하여 부는 따뜻하고 건조한 바람을 말한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산기슭으로 불어 내려오는 고온 건조한 바람을 일반적으로 높새바람이라고 하며, 푄이라고도 한다. 습윤한 공기가 산맥을 넘을 때 산허리를 따라 상승하게 되면, 점점 냉각 응결되어 비를 내리게 되며, 이 바람이 다시 반대측의 산기슭을 내려 불 때에는 단열압축을 하게 되므로 기온이 상승하고 습도는 저하되어 건조한 바람으로 변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동해안에서도 볼 수 있다.
- 높은고조
- 1일 2회 있는 고조 중에서 더 높은 고조를 말하며, 고고조라고도 한다.
- 높은저조
- 1일 2회 있는 저조 중에서 더 높은 저조를 말하며, 고저조라고도 한다.
- 늪
- 땅이 우묵하게 파여서 늘 물이 고여 있으며, 진흙이 많고 침수식물이 많이 나는 곳을 말한다. 늪은 보통 호수보다 작고 못보다 크며, 수심은 5m이하이다.
- 다각측량
- 여러 개의 측점을 연결하여 생긴 다각형의 측변 길이와 사이각을 순차로 측정하고, 그 결과에서 각 변의 위도거리와 경도거리를 계산한 후, 이 점들의 좌표를 결정해서 도상 기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먼 거리를 내다보지 않고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시가지 내에서의 측량이나 도로의 중심선 측량 등에 많이 이용된다.
- 다금속광상
- 해저 화산이나 대양저산맥 정산 부근에서 활발한 해저 화산활동에 의해 분출되는 금속들이 침전 퇴적된 광상으로서, 해저열수광상이 대표적이다.
- 다랑어
- 고등어류에 속하며, 최대 몸길이는 약 3m에 몸무게 560kg 정도이고, 등쪽은 짙은 청색·중앙과 배쪽은 은회색으로서, 열대·온대·아한대 해역에 서식한다.
- 다모류
- 환형동물의 한 강으로서, 갯지렁이가 이에 속한다. 다모류의 몸은 많은 체절로 이루어지며, 대부분은 바다에 살며 돌 밑·해조류의 뿌리 근처·모래나 진흙 속에 구멍을 만들고 그 속에 살거나 일생을 플랑크톤으로 바다를 표류하는 등 생태가 다양하다. 세계에 약 6천종이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의 종류는 몸길이 2~20cm이고, 작은 것이 약 5mm, 큰 것은 약 3m에 달하는 것도 있다.
- 다이나모설
- 지구 내부의 핵이 회전하면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유도전류가 지자기를 만든다는 이론이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