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18/142)
- 기선
- 삼각측량에서 쓰이는 기준선을 말한다. 한 삼각형의 한 변 길이와 내각의 크기를 재서 그 삼각형을 결정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여기에 이어지는 삼각망을 정하게 되는데, 이 때에 최초의 삼각형 한 변을 기선이라 한다. 기선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은 기선측량이라 한다.
- 기수
-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어 있는 곳의 염분이 적은 물을 말하며, 염분은 0.5~30‰ 정도이다. 주로 강과 바다가 만나는 하구가 이에 속하며, 해안 부근의 호소들도 기수인 경우가 많다.
- 기압
-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가 그것과 접촉하고 있는 면에 대해 작용하는 단위면적당의 힘을 말한다. 약 1013.25헥토파스칼을 1기압으로 하며, 수은주 760mm의 높이의 압력과 거의 같다. 기압은 대기의 온도에 의해 시시각각으로 변한다. 가령 지금까지 밀도가 작은 공기가 있던 곳에 밀도가 큰 공기가 이동해오면 공기의 무게에 해당하는 만큼 지상기압은 높아진다.
- 기온
- 대기의 온도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지표로부터 1.5m의 높이를 기준으로 측정한다.
- 기요
- 수심 1천m 이상의 심해저에서 1km 이상의 높이로 돌출한 것을 해저산이라 하고, 정상부근이 침식의 흔적과 함께 평탄한 지형을 이루는 것을 기요 또는 평정해산이라 한다.
- 기조력
- 조석이나 조류를 일으키는 힘을 말하며, 지구와 천체(주로 달, 태양)간의 인력에서 지구 자체의 원심력을 뺀 차이 값이다. 기조력은 지구와 천체가 어떻게 평형되어 있는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며, 지구 표면의 각 점에서 다르다. 기조력은 조석을 일으키는 천체의 질량에 비례하고, 지구와 천체간 거리의 3제곱에 반비례한다. 태양의 기조력은 지구로부터 거리가 멀어 달에 의한 기조력의 약 0.46배이다.
- 기준관측소
- 조석이나 조류를 관측한 결과를 기초로 조화상수를 구해 조위 및 조류를 예보하는 관측소로서 주변지점의 조석이나 조류예보의 표준이 되는 관측소를 말한다.
- 기준해수면
- 해도서 수심을 표시하는 기준면으로서, 수심기준면이라고도 한다.
- 기파
- 풍랑이나 너울 형태의 파도가 연안 가까운 수심이 얕은 곳에 이르면 파장이 짧아지고 파고가 높아지면서 뾰족하게 되어 파도 상부가 부서지는 파가 생기는데, 이것을 기파라 하며 쇄파라고도 한다.
- 기항지
- 선박이 항해하면서 들르게 되는 항구를 말한다. 정기선 항로에서는 스케줄에 의해 기항지가 미리 정해지지만 부정기 항로에서는 필요할 때마다 어느 항구라도 들를 수 있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