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129/142)
- 풍파
- 바람이 부는 해상에서 직접 그 바람에 의하여 일어나는 파도를 말하며, 풍랑이라고도 한다. 이에 비해서 그 장소에 바람이 없어도 멀리서 전해오는 것은 너울이라 한다. 이 둘을 비교하면 풍파는 파의 마루가 뾰족하고 파장과 주기는 비교적 짧지만, 너울은 파의 마루가 완만하게 보이고 파장은 수십m, 길 때는 100m에 달한다. 주기도 풍파의 짧은 것은 2초 정도인 데 비해서 너울은 가장 짧은 것이 5~6초이다. 풍파의 크기는 풍속, 연취시간, 취송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풍속이 23.2cm/s이하일 때는 고기비늘 모양 등의 세파가 나타나는데 이것이 표면장력파이다. 풍속이 이 이상이 되면 풍파가 점차로 발달하기 시작해서, 1m/s 정도의 풍속이 되면 파장 5~6cm의 비교적 규칙적인 세파가 나타난다. 풍속이 1~2m/s이상이 되면 세파는 보통 풍파라고 하는 중력파로 변하고, 파의 마루가 점차로 뾰족해진다. 풍속이 3~5m/s가 되면 마루가 깨져서 백파가 된다. 풍속이 10m/s이상이 되면 비교적 큰 파는 깨지고 해면에 거품조각이 나타난다. 또한 풍속이 20m/s이상이 되면 조그만 산과 같은 파의 마루로부터 찢겨진 물안개가 일면에 펼쳐진다. 풍속 W(m/s)와 풍랑의 파고H(m) 사이에는 H=0.174W의 실험식이 성립된다.
- 풍향풍속계
- 바람의 방향과 속력을 측정하는 관측 장비이다. 풍속은 보통 바람개비를 이용해서 회전수를 계산함으로서 측정하며, 풍향은 깃의 끝에 추를 달아서 수평으로 자유로이 회전시켜 그 축의 회전을 기록장치로 연결하여 측정한다.
- 플랑크톤
- 유영력이 미약하거나 전혀 없이 물 속에서 해류 및 파도 등의 움직임에 수동적으로 밀려다니는 작은 크기 생물을 플랑크톤이라 한다. 부유생물이라고도 한다. 유영능력이 없는 플랑크톤은 밑으로 침강하려는 속도를 최대한 느리게 하여 장시간 부유하기 위해서 단위부피당 표면적은 넓혀야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플랑크톤은 몸의 크기가 매우 작고 몸에 편모 등을 갖거나 군체를 이루어 생활한다. 그리고 몸의 세포 속에 지지로가 같은 밀도가 낮은 물질을 저장시키거나 무게가 가벼운 큰 액포를 가지고 적응하며 생활한다.
- 피스톤코아
- 해저퇴적물의 수직적인 분포를 파악할 수 있는 시료채취기로서, 최고 10m까지의 퇴적층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피스톤코아는 조사선과 케이블로 연결된 파이프 모양의 코아를 해저퇴적층에 삽입함으로써 그 속에 들어온 퇴적물을 채취한다.
- 피오르드해안
- 빙식곡이 침수하여 생긴 좁고 깊은 만입을 말한다. 빙식곡은 횡단면이 U자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양쪽 벽면은 급한 절벽을 이루며, 후미는 너비보다 길이가 매우 길고 수심도 깊다. 제4기의 빙기에 해안에서 발달한 빙하가 깊은 빙식곡을 만들었고, 간빙기에 빙하가 소멸한 다음, 그곳에 바닷물이 침입하였다가 해면이 다시 상승하여 형성되었다. 노르웨이·그린란드·알래스카·칠레 등의 해안에 널리 발달되어 있다.
- 하구
- 외해와 연결되어 해류의 순환이 있으면서 하천의 담수가 유입되는 곳을 말한다. 조류가 큰 영향을 끼치는 하구는 사층리 구조를 가진다. 하구에는 육성기원, 생물기원, 자생적광물의 침전 등에 의한 퇴적물이 혼재되어 있다. 모래, 실트, 점토 등 육성퇴적물이 대부분인데, 대서양의 하구는 실트와 점토가 우세하나 태평양의 하구는 모래가 우세하다. 생물기원퇴적물에는 굴초, 개형류, 반담수성 유공충 및 연체동물의 유해, 식물파편의 유기쇄편이 있고, 화학적 퇴적물에는 점토광물이 있다.
- 하층토
- 해저면 아래의 흙으로서 기반암 위의 퇴적층을 말한다. (유엔해양법협약 제2조) 연안국의 주권은 영해의 상공·해저 및 하층토에까지 미친다.
- 한계수심
- 수심이 계속 깊어지면 광합성량(산소생산)이 호흡량(산소소비)보다 적고 어느 수심에 이르면 해수면에서 이곳 수심까지의 총 일차생산량과 총 호흡량이 같아지는데, 이 때의 수심을 한계수심이라 한다. 임계수심이라고도 한다.
- 한계요인
- 생물이 최대로 성장하거나 생식을 하기에 너무 낮은 농도의 먹이나 영양염 필요원소를 제한요인 또는 한계요인이라 한다.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지구과학 연구와 육지 및 해저에서의 지질조사, 광물 및 에너지자원탐사·개발과 환경지질 및 지하공간에 관한 연구수행을 목적으로 1918년 설립된 정부 출연 연구기관이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