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128/142)
- 표재동물
- 내생동물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게·새우·불가사리와 같이 해저의 표면에서 살고 있는 해저동물을 말한다.
- 표준시
- 한나라 또는 한 지방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그 지방만의 평균태양시를 말한다. 대부분의 나라가 그 나라 고유의 표준시를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동서로 길이가 긴 나라에서는 여러 개의 표준시를 쓰는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동경 135°의 지방평균시를 표준시로 채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표준시는 세계시보다 9시간 앞서있다.
- 표준자오선
- 표준시를 정하는 기준이 되는 자오선을 말한다. 대개 15°로 나누어떨어지는 경도가 채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동경 135°선을 표준자오선으로 하고 있다.
- 표준항
- 조석이나 조류를 관측한 결과를 기초로 조화상수를 구해 조위 및 조류를 예보하는 항으로서 주변지점의 조석이나 조류예보의 표준이 되는 항을 말한다.
- 표준해수
- 염분측정에서 일반 해수시료와의 비교를 위한 표준용액이다.
- 표층 순환
- 해양의 표층에서는 무역풍·편서풍 등 탁월풍에 의해 많은 에너지를 공급받아 풍성순환이 일어나는데, 이를 표층 순환이라 한다.
- 표층수
- 표층에서 같은 물리적 특성을 갖는 수괴로서 고온의 특성을 갖지만 항상 고염분 특성을 갖는 것은 아니다. 상층수라고도 한다.
- 풍랑
- 바람이 부는 해상에서 직접 그 바람에 의하여 일어나는 파도를 말하며, 풍파라고도 한다.
- 풍력계급
- 바람의 강도를 표시하기 위하여 정한 계급을 말한다. 계급번호가 커질수록 풍속이 강하며,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보퍼트의 풍력계급이다.
- 풍성순환
- 남·북 양 반구의 편서풍과 무역풍에 의해서 생기는 환류 모양의 큰 타원형인 수평방향 해양순환을 말한다. 풍성순환은 대기 순환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으며 표면과 표면해수에서만 발견되며, 수심 약 100m가 풍성순환의 하한경계이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