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126/142)
- 평균고조간격
- 장기간에 걸쳐서 고조간격을 평균한 것을 말한다.
- 평균저조간격
- 장기간에 걸쳐서 저조간격을 평균한 것을 말한다.
- 평균조차
- 장기간(1개월 또는 수개월 이상)에 걸쳐서 조차를 평균한 것을 말한다. 조화상수로부터 평균조차는 2Hm으로 계산되며, 여기에서 Hm은 태음반일주조의 반조차이다.
- 평균해면
- ①해면의 높이를 어느 일정기간의 높이로 평균한 때의 해면을 말한다. 평균해면은 1년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겨울·봄에는 기압이 높기 때문에 평균해면은 낮고, 여름·가을에는 기압이 낮기 때문에 평균해면은 높다. 연교차는 0.3~0.6m 정도이다. ②조석이 없다고 가정하였을 때의 해면을 말한다.
- 평정해산
- 일반적으로 1천m보다 깊은 심해저에 돌출한 해저산으로서 정상부근은 침식의 흔적과 함께 평탄하며, 기요라고도 한다. 성인에 관해서는 많은 의견이 제출되고 있으나, 기요 자체의 침강과 침수에 의한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표면의 평탄한 지형은 파식이나 화산분출물 등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평정해산은 북서태평양에 다수 분포하고 있다.
- 평판측량
- 평판을 현지에 가지고 나가 도판에 붙인 제도용지 위에 직접 측점의 위치를 기입하고 야외에서 지도를 그리는 측량이다. 높은 정밀도는 기대할 수 없지만, 전체적으로 작업이 빠르고 과오나 측량 누락이 거의 없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측량구역이 크지 않을 경우의 지형측량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 폐기물
- (해양오염방지법 제2조) 폐기물이라 함은 해양에 배출되었을 경우 해양환경의 보전을 저해하는 물질(기름 및 유해액체물질 등은 제외)로서 해양수산부령이 정하는 물질과 해양에 배출됨으로써 그 상태로는 쓸 수 없게 된 물질을 말한다.
- 포
- 만보다 작은 바다를 말한다. 만리포, 용암포 등이 그 예이다.
- 포락지
- (공유수면관리법 제22조) 포락지라 함은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되어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 포자
- 자식물의 무성적인 생식세포를 말한다. 다른 것과 합체하는 일 없이 단독으로 발아하여 새 개체가 된다. 1개에서 발아하는 것을 단생포자, 2개가 합하여 발아하는 것을 양성포자라 한다. 그리고 포자 형성 때에 감수분열이 일어나고 포자의 핵상이 단상이 되는 것을 진정포자라고 하며, 대다수의 포자는 이 형에 속한다. 이에 대하여 포자체의 일부가 그대로 분할하여 포자가 되는 것을 영양포자라고 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