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해양용어사전

목록내 검색
검색

1416건 (125/142)

판구조론
지각은 여러 개의 판으로 구성되어 지구 표면을 덮고 있는 것으로 보는 이론이다. 지구의 표층인 지각은 대륙지각에서는 35km, 해양지각에서는 5~10km의 평균 두께를 갖는다. 지구의 표층인 지각은 6개의 큰 판(유라시아판·아프리카판·오스트레일리아판·태평양판·아메리카판·남극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지구 내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연간 수 cm 정도의 속도로 서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화산작용·지진현상·마그마 형성·습곡산맥 형성 등 각종 지각변동을 일으킨다는 이론이다.
패덤
바다의 깊이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1패덤은 1.8288m이다.
패충류
개형류라고도 하며, 몸의 좌우에 1장씩 2장의 껍데기가 있어 마치 이매패 모양을 하고 있다. 껍데기에는 석회질이 침착되어 있다. 민물과 바닷물에 살며 세계적으로 약 2,000종이 알려져 있는데 약 3분의 2는 해산이다. 바다반디류, 조개물벼룩류 등이 이에 속한다.
편각
자석이 나타내는 방향과 자오선이 이루는 각으로서, 동쪽 방향의 편각량을 (+)로 한다. 지자기의 극은 정확하게 지구의 북극과 남극에는 없고, 각각 북위 78.30°, 서경 69°(자북극)와 남위 78.30°, 동경 111°(자남극)에 있고, 이 둘을 잇는 축은 지구의 회전축에서 약 11.30°기울어져 있다. 그 때문에 자석의 바늘은 정확하게 남북의 방향을 가리키지 않는다. 수평자력·복각·편각을 보토오 지자기 3요소라 한다.
편광현미경
얇게 연마한 시료조각에 편광을 통과시켜 광물의 광학적 성질을 조사하기 위한 특수한 현미경이다. 광물종의 결정이나 결정형의 판별, 또는 공존하는 다른 광물이나 결정과의 관계를 조사할 수 있다. 모든 진동방향의 광파가 섞여 있는 자연광을 전기석이나 편광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특정한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편광을 얻을 수 있다. 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 편광현미경이다. 2개의 Nicol prism이 있고 재물대가 회전하게 되어 있는 점이 보통 현미경과 다르다.
편리공생
생물 상호간에 한쪽은 이익이 되나 다른 한쪽은 이익이 분명하지 않은 관계이다. 영양분·서식처·이동·도피처 등을 찾기 위해 둘 이상의 개체가 서로 힘을 합하여 사는 방식이다. 황새치나 상어의 몸에 달라붙는 빨판상어, 고래의 피부에 붙어사는 따개비, 조개와 그 속에 사는 속살이게가 그 예이다.
편모충류
원생동물의 한 강으로서, 1개 또는 수개의 편모를 가지고 있으며 동물과 식물의 성질을 공유하는 가장 원시적인 동물이다. 해수에서 담수까지 다량의 플랑크톤으로 출현하며, 수중동물의 중요한 영양원이다. 또한, 이들은 적조의 주요 원인생물이 된다.
편서풍
아열대 고압대에서 일년 내내 아한대 저압대를 향하여 부는 바람이다. 지구자전의 영향을 받아 북반구에서는 남서풍, 남반구에서는 북서풍으로 분다. 편서풍의 풍속은 약 3~4m/sec 정도이다. 해면상의 편서풍은 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30~65°의 위도대에 있고, 북반구에는 대륙이 많이 있기 때문에 편서풍은 평균적으로 발달하지 않으나 남반구에는 해양이 대륙에 비하여 많기 때문에 편서풍이 잘 발달한다.
편평률
타원의 편평한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타원의 중심을 좌표점으로 하고 장반경(지구타원체에서는 적도반경)을 a, 단반경(지구타원체에서는 극반경)을 b라 하면, 편평률 f는 (a-b)/a 식으로 구해진다.
편향력
회전하고 있는 물체 위에서 운동하는 물체를 생각할 때 상정되는 겉보기 힘이다. 전향력이라고도 한다.

자료관리 담당부서

전시팀
0515508824
최근 업데이트
2023-01-11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