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해양용어사전

목록내 검색
검색

1416건 (123/142)

트러스트단층
단층면의 경사가 45°내지 수평인 대규모의 단층을 말한다. 인은 지층에 가해진 큰 횡압력으로 처음에는 습곡이 생겼다가 이것이 횡와습곡으로 변하여 미끄러져 올라간 일종의 역단층으로 알프스 산지에 많고, 우리나라의 삼척에서도 그 예가 있다.
트롤어업
동력선으로 전개판이 딸린 지루 모양의 그물을 끌어서 대상물을 잡는 어업이다. 주요 대상어종은 도미, 쥐치, 갈치, 가오리, 새우 등이다. 저인망어업도 트롤어업의 일종이다.
특별관리해역
(해양오염방지법 제4조의 4)해역별 해양환경기준의 유지가 곤란하고, 해양환경의 보전에 현저한 장애가 있거나 장애를 미칠 우려가 있는 해역 중 해양수산부장관이 정하는 해역으로서, 해양오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육지를 포함한다. 2000년 현재 부산연안·울산연안·광양만·마산만·시화호 인천연안 등 5개 해역이 지정되어 있다. 환경보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특별관리해역에서 시설의 설치를 제한할 수 있으며, 그 해역안의 사업장에 대하여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총량으로 규제할 수 있다.
특수도로
항해참고, 학술, 생산 및 자원개발 등에 이용하기 위한 해도로서, 해저지형도·어업용해도·위치기입도·영해도·세계항로도 등이 이에 속한다.
파고
파의 골에서 마루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한다. 파고에는 상한이 있으며, 1/7파장을 넘으면 파도는 부서진다.
파군
파의 진행방향, 파장, 파고 등이 서로 비슷한 일련의 파랑 집단을 말한다.
파도
파랑이라고도 하며, 바람이 해면에 불 때 생기는 풍파와 어느 해역에서 발생한 풍파가 바람이 없는 다른 해역까지 진행, 감쇠하여 생긴 너울을 총칭하여 파도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풍랑은 마루가 뾰족하고 파도와 파도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짧지만, 너울은 마루가 둥글고 간격이 길다. 파랑의 성격을 나타내는 요소로서는 파고, 파장, 파주기, 파속, 파향 등이 있다. 풍파가 연안에 접근하여 수심이 파장의 반 이하인 얕은 곳으로 오면, 밑바닥의 영향을 받아 파고, 파장, 파주가 등에 변화가 일어나며 쇄파가 된다. 파도는 물입자의 운동이 표면 근처에만 미치므로 조석처럼 그 운동이 깊은 바다까지 미치는 천해파에 대해서 심해파로 구분된다.
파랑계
파도의 높이나 주기를 측정하는 관측 장비이다. 파고계라고도 한다. 연안의 파도는 표면파의 고저를 해저에 설치한 수압부에서 압력변화로 기록하는 수압식 파랑계나 해중이나 공중에서 초음파를 발신하여 그 반사해 오는 시간차로부터 파고를 구하는 초음파식 파랑계, 전극이 들어 있는 막대를 수면에 세워 파도의 오르내림이 전극을 적시는 것으로 전압변화가 파형으로 나타나는 계단저항식 파랑계 등이 있다. 파도가 가진 에너지나 파장·파속 등은 파랑의 연속기록으로부터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파력발전
파도의 상하운동 에너지를 이용해서 동력을 얻어 발전하는 방법이다. 에너지 변환장치를 통하여 기계적인 회전운동 또는 축방향 운동으로 변환시킨 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킨다. 파력발전에 관한 연구는 미국, 일본, 영국, 노르웨이 등 여러 나라에서 수행하였으며 현재 약 50여종의 파력발전장치가 고안되어 있다. 소형 파력발전 부이는 개발되어 이미 상용화되어 있다.
파령
파속/풍속을 파령이라 한다. 파령은 파의 성장과정을 나타내는 기준이 된다. 1/3이하인 파령은 파고가 파장보다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에 파형구배가 급속히 증가하고, 1/3~4/3의 파령은 파고의 증가는 그치지만 파장이 증가하기 때문에 파형구배는 감소하며, 4/3이상의 파령은 파형구배가 거의 일정한 너울을 의미한다.

자료관리 담당자

전시팀
남영웅 (0515508824)
최근 업데이트
2023-01-11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