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해양용어사전

목록내 검색
검색

1416건 (122/142)

퇴적물
암석의 파편이나 생물의 유해 따위가 강물·바닷물·빙하·바람 등의 작용으로 운반되어 지표에 쌓인 것을 말한다.
퇴적물운반
퇴적물 입자들의 이동과 퇴적을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입자의 크기와 유속이다. 연안지역에서 중요한 이동요인으로 연안류나 조류, 파랑 등이 있으며, 조석과 파랑의 상대적인 지배 형태에 따라 퇴적물 이동 양상이 달라지며 해저면에 따라서도 크게 변한다.
퇴적분지
퇴적물에 의해 형성된 평평한 지역을 말한다.
퇴적암
지구표면의 암석이 상온·상압 하에서 풍화작용으로 분해·이동되어 지구 표면에 침적하는 퇴적작용으로 생긴 암석을 말한다.
퇴적작용
중력·유수·파도·연안류·조류·빙하·바람 등에 의하여 운반된 자갈·모래·점토·화학성분·생물유해 등이 운반력이 약화된 곳에 침전하는 과정을 말한다.
투광층
광합성에 충분한 빛을 받는 수층을 말한다.
투기
(유엔해양법협약 제1조) 투기라 함은 선박·항공기·플랫폼 또는 그 밖의 인공해양구조물로부터 폐기물이나 그 밖의 물질을 고의로 버리는 행위를 말한다.
투명도
물의 투명한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투명도는 색돈 탁도와 관계가 있다. 통상 투명도판이라 불리는 직경 30cm의 백색 원판을 해수 중에 내려 위에서 보아 보이지 않을 때의 깊이로 투명도를 표시한다. 투명도 측정시에는 그늘진 곳이나 태양의 반사가 없는 표면을 통하여 투명도판을 보아야 한다. 연안은 외양보다 투명도가 낮다. 유광층은 대략 투명도의 3배이다. 우리나라는 대략 동해에서 10~20m, 남해에서 15~30m, 서해에서 5~15m이다.
투묘지
선박의 정박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면을 말한다.
투수성
퇴적층에서 물이 잘 통과되는 정도를 말한다. 투수성은 공극의 크기에 좌우되며 분급이 잘 안되고 세립질인 퇴적층은 낮은 투수성을 가진다.

자료관리 담당자

전시팀
남영웅 (0515508824)
최근 업데이트
2023-01-11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