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117/142)
- 추파
- 배가 항해할 때 뒤에 따라오는 파도를 말한다.
- 축양
- 어떤 기간동안 어류 등을 살려두기 위하여 못이나 채롱 등에 수용하여 두는 것을 말한다. 이 기간 동안은 성장이 주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먹이를 충분히 주지 않거나 전혀 주지 않는다. 주로 가격차이에서 얻는 이익을 목적으로 축양을 한다.
- 축척
- 지표상의 실제 거리와 지도상에 나타낸 거리와의 비를 축척이라 하며, RF(축척)=GD(지상거리)/MD(도상거리)로 계산된다. 축척을 표시하는 방법은 문자식·분수식·도표척도식 등이 있으며, 해도에는 주로 1:25,000과 같이 문자식을 이용하고 있다.
- 춘계대번식
- 온대지방에서 식물플랑크톤이 봄에 대번식을 하는 것을 말한다.
- 춘분점
- 천구의 적도와 황도의 두 교점 중에서 태양이 적도의 남쪽에서 북쪽으로 통과할 때의 점이다. 태양이 추분점을 지나는 날은 대개 3월21일 경이며, 이 날은 밤과 낮의 길이가 같다. 춘분점을 기준으로 한 태양의 공전주기는 365.2422일이며, 이를 태양년이라고 한다.
- 충격파
- 극히 짧은 시간내에 급격히 충격을 파를 말하며, 흐름이 굴곡부에 오면 굴곡하는 점 부근에서 유속이 작아지고 수면이 상승함으로 이때 발생하는 파랑이 충격파이다.
- 충적토
- 흙·모래가 물이나 바람에 운반되어 저지에 쌓인 뒤 토양화 된 것을 말한다.
- 취송거리
- 일정한 방향과 속도로 바람이 부는 해상의 수평거리를 말한다. 취송거리가 길수록 큰 파도가 발달될 수 있으므로, 풍파를 예보할 때의 중요한 파라미터가 된다. 취송거리는 해안이나 바람 자체에 의하여 제한을 받는다.
- 취송류
- 바람이 해면에 일정한 방향으로 계속 불 때 바람과 해면과의 마찰로써 일어나는 해수의 흐름을 말한다. 취송류는 보통 에크만류의 형태로 나아난다. 이론적으로는 북반구에서의 경우, 바람의 진행방향에서 오른쪽으로 45°치우치며(남반구에서는 그 반대), 속도는 일반적으로 풍속의 2~4%이다. 해면 근처에서 가장 강하며, 밑으로 내려갈수록 약화되고, 200m 정도의 깊이에서는 거의 없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무역풍이나 편서풍과 같은 탁월풍이 특히 취송류의 주요 원인이 된다.
- 측심
- 해면에서 해저까지의 깊이를 측정하는 일을 말하며, 수심측량이라고도 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