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해양용어사전

목록내 검색
검색

1416건 (107/142)

중금속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잘못된 표현으로서, 사람에 의하여 연안이나 해양으로 전해지는 카드뮴, 구리, 아연, 납 등과 같은 전이금속을 말한다.
중력
지표 부근에 있는 물체를 지구의 중심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을 말하며, 이 힘은 물체와 지구의 사이에 작용하는 만유인력과 지구의 자전에 의한 원심력의 합력이다. 원심력은 중력의 크기에 감소효과를 나타내므로, 중력은 적도에서 가장 작고 극쪽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중력보정
실측중력은 관측지들간의 고도·지형·물질분포 등이 상이하여 그 값의 크기를 서로 비교할 수 없다. 비교값을 구하려면 동일한 물리적 조건으로 그 값을 보정해야 하는데, 이를 중력보정이라 한다. 중력보정에는 고도보정, 지형보정, 부우게보정 등이 있다.
중력이상
관측된 중력에서 표준중력을 뺀 값을 말한다. 중력이상이 생기는 이유는 관측점이 지오이드상에 위치하지 않고 관측점의 지형이 고저기복이 있고 관측점의 수준면과 지오이드면 사이에 물질이 놓여있고 관측점의 지하물질 밀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중력이상의 값이 (+)일 경우 지하에 밀도가 큰 철광상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일 경우 밀도가 작은 암염광상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석유가 매장되어 있는 지역도 중력이상이 (-)값을 나타낸다.
중력장
지구상에서 중력이 미치는 공간을 중력장이라 한다.
중력파
해면에서 지구의 중력이 주요 복원력인 파를 말한다. 파장이 1.73cm이상이고 주지가 1초에서 5분 사이인 파도에는 주로 중력이 작용한다. 파형은 뾰족한 마루와 편평한 골 모양이다. 파에 대한 복원력으로는 물의 표면장력, 중력, 코리올리의 힘을 생각할 수 있다. 중력파는 수명이 길지만, 파장이 작아지면 표면장력파로 다시 되돌려진다. 우리들이 보는 파도는 대부분 중력파이다.
중추항만
세계 주요 컨테이너 항로에 위치하고 있는 대형 항만으로서, 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기항한다.
중층수
해양에서 상층수와 심층수 사이에 존재하며, 상층수보다 저온이고 대부분 저염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깊이는 수백 m이며, 일반적으로 염분의 연직분포에서 그 값이 가장 낮은 극소층을 이룸으로써 식별된다.
중층원양대
해양생물의 서식환경에 따라 수심대별로 구분 시 사용되는 용어로서, 수심 2백~2천m의 수층 해역이다. 중층원양대는 일차생산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곳에 사는 생물들은 주로 표층에서 침강하는 유기물에 먹이를 의존한다. 많은 동물플랑크톤과 소형어류는 표층으로 먹이를 찾아 야간에 상승하고, 주간에 침강하는 주야수직이동을 한다. 이 층은 수심에 따른 온도변화는 크지만, 염분변화는 크지 않다. 그리고 용존산소량은 다른 층에 비하여 매우 낮다.
중형저서생물
퇴적물입자 사이의 공간에서 살고 있는 약 0.1~1mm 크기 사이의 저서생물이다. 저서성 요각류, 선충류, 갯지렁이류, 일부 섬모충류가 이에 속한다.

자료관리 담당부서

전시팀
0515508824
최근 업데이트
2023-01-11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