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해양용어사전

목록내 검색
검색

1416건 (102/142)

정수압
심해의 압력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용어로서, 해수면으로부터 해당 수심까지의 물의 무게에 의한 수압과 대기압을 합한 값이다. 어떤 유체가 중력장내에 있다면, 그 유체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정수압을 가지게 된다.
정압류
정압류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물의 밀도가 일정하거나 수직 밀도분포가 어느 곳에서도 같은 곳에서 압력경도력에 의하여 생기는 흐름을 정압류라 한다. 지형류 평형으로부터 얻어지는 정압류는 수심에 관계없다.
정장석
나트륨·칼슘 등을 함유한 광석으로서, 화성암이나 변성암 및 일부 퇴적암 속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정장석은 도자기의 원료로서 중요하며, 유리제조에도 사용된다.
정조
고조 또는 저조의 전·후에서 해면의 승강이 매우 느려 마치 정지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대개 정조의 지속시간은 조차에 따라 다른데, 적은조차가 큰 조차에서보다 길다. 쌍조가 우세한 곳에서 정조는 큰 조차에서도 몇 시간동안 지속된다. 조류에서 사용하는 게조라는 용어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정체수
역전조류에서 창조류와 낙조류의 흐름방향이 바뀔 때 유속은 0이 되는데 이 상태를 정체수라 한다.
정합
부정합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몇 개의 퇴적지층이 누적되어 그 지층이 수평이든 경사되어 있든 간에 동일한 상태로 연속되어 퇴적된 경우에 이러한 지층간의 관계를 정합이라 한다. 연속상황이 중단되어 있는 부정합의 경우와는 달라서 이 지층의 퇴적 중에는 큰 지각변동이 없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제련
광석에서 필요한 순도로 금속을 추출하는 공정을 말한다. 제련방법에는 고온에서 광석을 탄소 등으로 환원하는 건식제련과 산 등으로 금속성분을 추출하여 수용액을 만들어 목적금속을 용해시키는 습식제련이 있다.
제트기류
대류권의 상부 또는 성층권의 하부인 지상 약 10km에서 수평으로 부는 강한 서풍을 말한다. 보통은 평서풍대에 존재하는 극전선 상공의 한대제트와 위도 30°부근 상공의 아열대제트 2가지 제트기류를 말하며, 그 외에 사하라고 기압과 티벳고기압의 남쪽이나 카리브해 상공에 열대편동풍제트가 발달한다. 제트기류의 풍속은 때로는 약 100m/sec에 달할 때도 있다.
제한요인
생물이 최대로 성장하거나 생식을 하기에 너무 낮은 농도의 먹이나 영양염 필요원소를 제한요인 또는 한계요인이라 한다.
조간대
해안에서 밀물에 의해 해수가 해안선에 제일 높게 들어온 곳과 썰물에 의해 제일 낮게 빠진 곳 사이를 차지하는 지대를 말한다. 만조 때에는 수중에 잠기고, 간조 때에는 수면 밖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조간대는 수온, 염분, 광선, 물의 운동 등 환경의 변화가 매우 커서 이곳에 서식하는 생물들은 극심한 환경변화에 잘 적응되어 있다. 조간대에서는 생물의 다양도는 낮으나 생산력이 높고, 특히 광조건이 좋기 때문에 일차생산력은 높은 편이다. 조간대는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연안대라고도 하며, 간석지·갯벌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자료관리 담당부서

전시팀
0515508824
최근 업데이트
2023-01-11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