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102/142)
- 정수압
- 심해의 압력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용어로서, 해수면으로부터 해당 수심까지의 물의 무게에 의한 수압과 대기압을 합한 값이다. 어떤 유체가 중력장내에 있다면, 그 유체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정수압을 가지게 된다.
- 정압류
- 정압류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물의 밀도가 일정하거나 수직 밀도분포가 어느 곳에서도 같은 곳에서 압력경도력에 의하여 생기는 흐름을 정압류라 한다. 지형류 평형으로부터 얻어지는 정압류는 수심에 관계없다.
- 정장석
- 나트륨·칼슘 등을 함유한 광석으로서, 화성암이나 변성암 및 일부 퇴적암 속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정장석은 도자기의 원료로서 중요하며, 유리제조에도 사용된다.
- 정조
- 고조 또는 저조의 전·후에서 해면의 승강이 매우 느려 마치 정지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대개 정조의 지속시간은 조차에 따라 다른데, 적은조차가 큰 조차에서보다 길다. 쌍조가 우세한 곳에서 정조는 큰 조차에서도 몇 시간동안 지속된다. 조류에서 사용하는 게조라는 용어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 정체수
- 역전조류에서 창조류와 낙조류의 흐름방향이 바뀔 때 유속은 0이 되는데 이 상태를 정체수라 한다.
- 정합
- 부정합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몇 개의 퇴적지층이 누적되어 그 지층이 수평이든 경사되어 있든 간에 동일한 상태로 연속되어 퇴적된 경우에 이러한 지층간의 관계를 정합이라 한다. 연속상황이 중단되어 있는 부정합의 경우와는 달라서 이 지층의 퇴적 중에는 큰 지각변동이 없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 제련
- 광석에서 필요한 순도로 금속을 추출하는 공정을 말한다. 제련방법에는 고온에서 광석을 탄소 등으로 환원하는 건식제련과 산 등으로 금속성분을 추출하여 수용액을 만들어 목적금속을 용해시키는 습식제련이 있다.
- 제트기류
- 대류권의 상부 또는 성층권의 하부인 지상 약 10km에서 수평으로 부는 강한 서풍을 말한다. 보통은 평서풍대에 존재하는 극전선 상공의 한대제트와 위도 30°부근 상공의 아열대제트 2가지 제트기류를 말하며, 그 외에 사하라고 기압과 티벳고기압의 남쪽이나 카리브해 상공에 열대편동풍제트가 발달한다. 제트기류의 풍속은 때로는 약 100m/sec에 달할 때도 있다.
- 제한요인
- 생물이 최대로 성장하거나 생식을 하기에 너무 낮은 농도의 먹이나 영양염 필요원소를 제한요인 또는 한계요인이라 한다.
- 조간대
- 해안에서 밀물에 의해 해수가 해안선에 제일 높게 들어온 곳과 썰물에 의해 제일 낮게 빠진 곳 사이를 차지하는 지대를 말한다. 만조 때에는 수중에 잠기고, 간조 때에는 수면 밖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조간대는 수온, 염분, 광선, 물의 운동 등 환경의 변화가 매우 커서 이곳에 서식하는 생물들은 극심한 환경변화에 잘 적응되어 있다. 조간대에서는 생물의 다양도는 낮으나 생산력이 높고, 특히 광조건이 좋기 때문에 일차생산력은 높은 편이다. 조간대는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연안대라고도 하며, 간석지·갯벌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