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어사전
총 1416건 (10/142)
- 고화작용
- 퇴적물이 굳어져 퇴적암으로 변하여 가는 과정을 말한다. 액체 또는 기체인 물질이 고체로 변화하는 과정이다. 퇴적물이 퇴적암으로 변성하기까지의 시일은 그 퇴적물이나 주변 여건 등에 따라서 각기 다른데, 오랜 시일이 걸리기 마련이며 크게 보아서 그 과정은 다져지는 일종의 압축과정과 속성작용의 하나인 교결작용을 거쳐 완성된다. 다져지는 작용은 지하 깊은 곳에서의 높은 압력으로 말미암아 그 퇴적물 자체 속의 공극이 줄어드는 과정이고, 교결작용 은 지하수 안에 용해되어 있는 퇴적물 자체의 입자 사이의 탄산칼슘, 규산, 산화철 등이 가라앉아서 입자를 결정시키는 과정이다.
- 곡류
- 비교적 완만한 바닥경사를 갖으면서 평야를 흐르는 하천은 관성에 의해 대체로 뱀이 기어가는 것과 같이 꾸불꾸불하게 흐르는데 그 유로를 곡류라 하며, 이와 같은 하천을 곡류하천이라 한다.
- 곡빙하
- 골짜기를 따라서 흘러내리는 빙하를 말하며, 히말라야(700~1300m/년)·알프스(40~200m/년)등에 발달되어 있고 빙하의 침식작용으로 골짜기는 U자형의 특수한 횡단면을 나타낸다.
- 골
- 파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마루에 대비되어 파의 가장 낮은 골짜기를 말한다.
- 골재
- 자갈·부순돌·모래 등과 같은 입자 재료로서, 시멘트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혼합물을 만들기 위해 이용될 때 골재라 한다.
- 공극률
- 암석이나 토양에 존재하는 빈틈(간격)을 표시한 비율로서, 간극률이라고도 한다. 공극률은 (공극부피/전체부피)×100%으로 계산된다. 퇴적물에서는 분급도(sorting) 및 입자 짜임(최대 : 정육면체, 최소 : 마름모꼴)이 공극률의 주요 변화요인으로서, 일반적으로 점토입자 퇴적층은 75‰이상, 석영 사립층은 30‰이상이 물이나 공기로 채워져 있다. 공극률이 큰 토양(모래·자갈·집괴암 등)은 물이 침투하기 쉬워 투수층을 이루고, 공극률이 적은 토양(점토·화강암 등)은 불투수층을 이룬다.
- 공극수
- 지층을 구성하는 입자 사이의 틈(공극)을 채우고 있는 물을 말하며, 간극수라고도 한다.
- 공기
- 대기의 하층 부분을 이루고 있는 기체를 말하며, 지상으로부터 약 35km까지는 그 조성이 같으며 질소(78%)·산소(21%)·아르곤(0.9%)·이산화탄소(0.0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공명
- 진동체나 전기진동 회로 등에 고유 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외부로부터 가했을 때,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 공생
- 서로 다른 두 생물이 서로 도움을 받으면서 같이 생활하는 것을 말하며, 공생은 상리공생과 편리공생으로 나눌 수 있다. 상리공생은 생물 상호간에 서로 이익이 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산호와 하등 해조류, 집게와 그 등에 붙어사는 말미잘 등이 이에 해당한다. 편리공생은 생물 상호간에 한쪽은 이익이 되나 다른 한쪽은 이익이 분명하지 않은 관계로서, 조개와 그 속에 사는 속살이게가 그 예이다. 그리고 한쪽은 이익을 보지만 다른 쪽이 해를 입는 관계는 기생이라 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전시팀
- 051550882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