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 목록
-
“부산 도시브랜드 완성…이제부터 시작이다!”
부산시보 2023-03-14
지난해 11월, 부산 도시브랜드 디자인 작업의 ‘총괄 디자이너’를 맡아달라는 제안을 받았다. 도시브랜드 디자인은 한 도시가 보유한 모든 유·무형의 가치, 더 나아가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비전까지를 담아내야 한다. 그래서 몇 명의 전문가가 모여서 할 수 있는 일은 결... -
양봉 유튜버 ‘프응TV’ “지레 겁먹지 말고 카메라를 켜라”
조현경 2023-03-13
△부산 기장에서 양봉을 하는 청년 농업인 김국연 씨는 팔로워 77만5천명이 넘는 인기 유튜브 채널 ‘프응TV’를 운영한다. 팔로워들은 그를 ‘벌통령’이라 부른다. 세계 랭킹 상위 1%에 드는 유튜버. 2월 22일 기준, 팔로워 77만5천 명, 누적조회수 2억2천500회... -
“공사장 주변 소음·먼지 피해 대책 마련”
조현경 2023-03-13
공사 현장은 먼지와 소음이 발생한다. 시행사는 현장 주변에 가림막을 치고, 주차된 차량에 커버를 씌우고 작업을 하지만 소음과 먼지를 모두 막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기에 공사장 인근에 사는 주민은 먼지와 소음에 크고 작은 피해를 입는다. 부산시의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 -
‘일하는 의회’ 부산시의회 연구단체 정책 논의 활발
조현경 2023-03-13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도시는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도시 오염, 경기 침체, 고령화, 슬럼화 등등. 이런 문제들은 사회적으로 복잡하게 얽혀있어 해결을 위해서는 다양한 접근과 노력이 필요하다. 제9대 부산시의회는 ‘일하는 의회’를 목표로 이 같은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
만덕 1~3동 연결하는 골목, "마을에 활기가 돌아요”
조현경 2023-03-13
북구 만덕동은 부산의 의미 있는 개발산업이 다양하게 펼쳐졌던 곳 중의 하나이다. 한때 금정산 아랫자락의 몇몇 자연마을과 구포와 동래를 잇는 고갯길 정도가 모두였던 산간 내륙 지역이 만덕동이었다. 1970년대 이후부터 남해고속도로, 만덕터널, 도시철도 3호선 등이 개통되... -
질곡의 역사 쌓인 터, 주민·상인 힘 모아 관광 1번지로
조현경 2023-03-13
코로나19와 경기침체로 소상공인이 힘겨운 나날을 보내고 있는 즈음이다. 부산광역시는 골목상권의 소비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잠재력 있는 골목을 부산 대표 상권으로 발전시키는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소외된 상권에 활력을 부여하고, 특색있는 골목의 ... -
"노인학대" 가정사 아닌 사회 문제
조현경 2023-03-13
‘갈등의 시대’다. 세대·성별 간 갈등이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다이내믹부산은 각 세대 계층이 안고 있는 고민과 문제를 공유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 기사를 연재한다. 부산에서 각 계층을 돕는 기관에서 진행한 상담과 부산시의 지원 정책을 소개하는 사회 통합 ... -
시의회, 은둔 청년 자립 지원하고 학생 건강·안전 챙긴다
조현경 2023-03-13
부산시의회가 지역 청년·학생들의 안전과 건강을 위한 조례를 속속 마련하고 있다. 지난 2월 7일 폐회한 제311회 임시회에서 ‘학생 건강증진에 관한 조례안’ ‘학생 통학 지원 조례 개정안’을 각각 원안가결했다. ‘부산시교육청 학생 건강증진에 관한 조례’는 부산시교육청... -
“스마트폰 잘 모르던 어르신, 이젠 저보다 ‘모바일 뱅킹’ 더 잘해요”
지민겸 2023-03-07
“신중년! 이제 세상의 속도를 따라잡자!!”박원옥 원장이 지난 2019년 6월 해운대구에 ‘은누리디지털문화원’을 개원할 때 내걸었던 캐치프레이즈(표어)다. 디지털 문화를 잘 모르는 50~80대에게 ‘디지털 지름길’을 안내하겠다는 뜻을 담았다. “요즘 주변을 둘러보면... -
“올해의 책 뽑아주세요!” 2023년 원북원부산 투표 3월 16일까지
지민겸 2023-03-07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부산시립시민도서관이 2023년 ‘올해의 원북’ 선정을 위한 시민투표를 오는 3월 16일까지 실시한다. 올해는 원북원부산 20주년 기념으로 기존 어린이·청소년·일반 분야에 더해 ‘부산’ 분야를 신설했다.독서전문가로 구성된 원북원부산 운영위원회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