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 목록
-
창업, 성공 확률 UP! 좋은 일자리 늘리고
조현경 2019-03-28
"부산지역 청년들이 꿈을 찾을 수 있도록 일자리 만들기에 온 힘을 다 한다." 부산광역시가 청년 일자리 만들기에 온 시정 역량을 집중하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민선 7기 부산시는 부산의 경제 환경에 맞는 일자리를 발굴하고, 기업 및 공공기관과 힘을 합쳐 다양한 취... -
BIFF, 2019 아시아영화펀드(ACF) 지원작 모집
김영주 2019-03-28
한국과 아시아 독립영화의 다양성 확보와 세계시장 진출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부산국제영화제의 아시아영화펀드(Asian Cinema Fund · ACF)가 오는 4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 프로젝트 모집을 시작한다. 모집 분야는 장편독립 극영화 후반작업지원펀드와 장편독립 다큐멘터리 AND펀드다. 2017년 신설된 장편독립 극영화 제작지원펀드는 중간 ... -
학술연구총서 "장안사 Ⅱ" 발간
김영주 2019-03-28
부산박물관이 기장군 장안사 대웅전 북동쪽 일원에 대한 2차 발굴조사의 내용과 성과를 수록한 '장안사Ⅱ'를 부산박물관 학술연구총서 제59집으로 발간했다.2차 발굴조사 지역은 장안사 대웅전의 북동쪽 일원에 해당하는 곳으로 2016년 발굴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조선시대 후기 조성된 건물터 3동ㆍ석열 3기ㆍ축대 3기 등 사찰과 관련된 전각과 부속 시설을 비... -
경상좌수영성 성벽 축조 방법 알았다
김영주 2019-03-28
경상좌수영성 북쪽 성벽이 부분적으로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부산박물관 문화재조사팀은 수영구의 의뢰를 받아 지난 2월 18일~3월 7일 좌수영성(부산광역시 기념물 제8호) 북문지 동쪽 정비사업부지 내 입회조사에서 확인된 추정 성벽 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성벽 흔적이 일부 남아있을 뿐 아니라 축조수법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좌수영성은 낙동강을 경계로... -
민화에 담은 3·1운동 100주년 의미
김영주 2019-03-28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은 한국민화협회와 공동으로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민화로 보는 3·1운동 100년' 전사진을 역사관 상설전시실에서 열고 있다. 이번 전시는 3·1운동을 민화적 감수성으로 재해석하고 독립과 자유를 갈구했던 시대정신을 민중예술 ... -
지하신문에 기록된 100년 전 그날 뜨거운 함성
김영주 2019-03-28
부산근대역사관에서 열리고 있는 3·1운동 100주년 기념 공동기획 특별전 '범어사 3·1운동과 명정학교-저항×2' 전에는 아주 특별한 전시품 2점을 만날 수 있다. 부산시립박물관이 지난 2월 김석동(남구 거주) 씨로부터 기증받은 1919년 3월 1일 발행 '조선독립신문... -
1700년 전 가야인의 숨결을 느끼다
김영주 2019-03-28
청동칠두령·철제갑주 보물 지정 기념 특별전 ▲보물 제2019호 복천동 22호분 출토 청동칠두령. 복천박물관(동래구 복천동)에서 열고 있는 '복천동의 보물들' 전은 조금 특별한 전시다. 전시장에 들어가면 단 두 점의 유물이 관람객을 맞는다. 전시장 중앙에 놓여있는 유물은... -
독립운동가 숭고한 정신 계승 ,잊히는 헌신·투쟁 흔적 지켜야
하나은 2019-03-26
오는 4월 11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년이 되는 날이다. 지난해 8월, 부산시교육청이 주관하는 '임시정부 대장정 통일미래 프로젝트'에 참가해 5일간 중국 상하이∼항저우∼충칭 등 대한민국 임시정부 유적지를 탐방했다. '임시정부 대장정 통일미래 프로젝트'에서 많... -
젊은 우리는 "스토리"를 소비한다
조민제 2019-03-26
천인규 _ 부산교대 신문사 기자 해마다 부산에는 많은 관광객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고, 시대의 변화에 맞물려 새로운 산업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다. 그럼에도 제조업 등 주력 산업의 쇠퇴와 경기 침체로 젊은이들은 하나둘 부산을 떠나고 있다. 나는 이렇듯 날로 부산의... -
꽃필수록 아프다
김영주 2019-03-26
이산하.작가. 현재 '통일의 길' 자문위원. 시집 '한라산' '천둥 같은 그리움으로', 성장소설집 '양철북', 산사기행집 '피었으므로 진다' 외 부산은 영혼의 계승이 필요하고제주는 영혼의 치유가 필요하다 제주4·3항쟁은미국과 이승만 정권의 반인권 원죄였고,부마항쟁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