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 목록
-
시민과 함께 시민행복 여는 원년 실현
김향희 2019-12-04
2019년, 민선 7기 부산광역시는 '시민이 행복한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 실현을 위해 숨가쁘게 달려온 한 해였다.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 △24시간 안전한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 추진 △부산을 통째로 바꾸는 부산대개조 프로젝트 △2030부산월드엑스포 유... -
위메프, "부산54마켓" 연말 특별 프로모션
김향희 2019-12-04
△위메프 부산전용관 '부산54마켓' 메인 이미지 : 누구에게나 사랑받는 친근한 부산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을 강조했다.http://promotion.wemakeprice.com/promotion/bsec2019"초저가 도전! 역대급 할인 혜택! 할인쿠폰+무료배송+한정... -
비행기로 2시간, 부산에서 가장 가까운 ‘유럽 도시’
조민제 2019-12-03
△‘금각교’는 2012년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4년에 걸쳐 만든 다리다. 블라디보스토크를 상징하는 랜드마크로 불린다. 바다에 비친 모습이 ‘금색의 뿔’ 같다고 해서 금각교란 이름을 붙였다. ‘V’자 모형 주탑은 블라디보스토크의 첫 글자 ‘V’를 상징한다. 사진은 ... -
“동남권 관문공항, 부산이 죽고 사는 문제”
조민제 2019-12-03
△오거돈 부산시장은 지난 10월 25일 (사)동남권관문공항추진위원회가 부산시청 대회의실에서 개최한 ‘동남권 관문공항 조찬포럼 및 긴급 시민 대책회의’에서 “신공항 문제의 주인공은 바로 부산”이라며 관문공항 추진 의지를 확고히 했다. ‘동남권 관문공항 조찬포럼 및 긴급 ... -
오거돈 부산시장 “한·아세안 허브 도시, 부산 미래입니다”
조민제 2019-12-03
△오거돈 부산시장은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부산이 ‘한·아세안 허브 도시’로 발돋움하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부산을 아세안과의 경제·문화 교류 허브 도시로 도약시키는 비전을 제시했다(사진은 201... -
"부산, 신남방·신북방정책 출발도시 우뚝"
조민제 2019-12-03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를 성공 개최한 부산이 한국과 아세안의 ‘협력 허브’로 확고하게 올라섰다. 문재인 대통령은 부산이 신남방정책과 신북방정책의 출발점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했다. 사진은 지난 11월 24일 열린 부산 에코델타... -
"문재인 대통령 ‘부산 특별정상회의’서 한국과 아세안 평화·번영 미래 열다"
조민제 2019-12-03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부산 선언’을 채택하고 지난 11월 26일 폐막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아세안 정상들은 ‘부산 선언’에서 한국과 아세안이 수교 이후 30년간 협력관계를 강화해 온 여정을 돌아보는 동시에 앞으로 30년 혹은 그 이후에도 ‘사람 중심... -
“한·아세안 정상들, 에코델타시티 첫 삽 함께 뜨다”
부산이야기 2019-11-25
- 출처 및 제공 : 국제신문-연합뉴스△부산시와 국토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 11월 24일 강서구에서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을 알리는 착공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쁘라윳 짠오차 타이 총리,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 통룬... -
동남아 마지막 미개척지, 경제 성장 "쑥쑥"
조현경 2019-11-22
아세안은 ③미얀마미얀마는 인도차이나 반도와 인도 대륙 사이에 있는 나라다. 황금빛 사원과 온화한 미소를 띤 사람들은 '불교국가 미얀마'의 상징이다. 미얀마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2016년 아웅산 수치 여사가 이끄는 신 민주정부 출범 이후, 개혁과 개방 정책을 통... -
아세안 각국 잇는 말레이시아, 한국과 끈끈한 교류
조현경 2019-11-22
아세안은 ②말레이시아 동남아시아의 중앙에 위치한 말레이시아는 아세안의 경제·문화를 잇는 나라다. 싱가포르, 타이, 브루나이와 국경이 닿아 있고, 타이를 지나면 베트남·캄보디아와 만난다. 남중국해를 건너면 필리핀과 중국이다. 이런 지리적 이점으로 말레이시아는 아세안의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