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 목록
-
사진이 곧 역사다
강아랑 2022-02-28
'퓰리처상 사진전' 부산문화회관 5월 15일까지 우리가 평화롭게 밥을 먹고 웃으며 티브이를 보는 시각, 다른 어떤 곳에서는 재난과 분쟁이 일어나고 내전으로 집을 잃은 난민이 생사의 갈림길에 서 있다. 사진 한 장에 그러한 역사를 담은 전시회가 열린다. 작품을 감상하며 ... -
부산 근대미술 재조명하다
강아랑 2022-02-28
지역 중견화랑인 미광화랑은 올해 첫 기획전으로 `꽃피는 부산항 9展(전)'을 준비했다. 아홉 회째를 맞이하는 `꽃피는 부산항'전은 부산·경남의 근대미술을 재조명하는 전시이다. △김남배의 '오후'.이번 전시에서는 부산 근대미술가 27인의 주옥같은 작품들이 펼쳐진다. △... -
“부산에 ‘동백’이 활짝 피었습니다”
조민제 2022-02-28
부산에 ‘동백’이 활짝 피었다. 동백꽃은 부산의 시화(市花), 동백나무는 부산의 시목(市木). 부산광역시가 서민 생활 안정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운영 중인 공공 배달앱 ‘동백통’, 공공택시 호출 서비스 ‘동백택시’, 지역화폐 ‘동백전’이 인기몰이하고 있다.△부산시... -
부산 먼저 ‘청년 꿈·희망’ 이루는 도시로
조민제 2022-02-25
코로나19 장기화로 전 연령층에 고용 악화가 이어지고 있다. 산업 전반의 디지털화·자동화로 청년층의 취업 기회는 과거에 비해 심각할 정도로 줄어들었다. 삶의 질과 생활 형편 전반이 나빠지고, 청년이 당당하게 자립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청년 문제는 더 이상 청년... -
세계박람회 개최 효과? 변방에서 세계도시로!
조민제 2022-02-25
∎우리가 잘 몰랐던 세계박람회 이야기_⑤세계박람회와 도시 위상‘2030부산세계박람회’는 부산이 세계도시로 도약할 절호의 기회다. 인류가 이룩한 문화·경제·기술의 진보를 한 공간에서 한 번에 만날 수 있는 세계박람회는 올림픽이나 월드컵보다 행사 기간은 3∼5배, 입장객 ... -
“함께 뜁시다!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성공”
조민제 2022-02-25
부산광역시와 정부의 2030세계박람회(월드엑스포) 유치 성공을 향한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올해부터 내년 상반기까지는 2030세계박람회 유치 성공의 향방을 좌우할 행사가 이어진다. 국제박람회기구(BIE)는 2030세계박람회 개최 도시 선정과 관련해 ▷2차 경쟁 프레젠... -
‘부산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2차 모집합니다!
지민겸 2022-02-24
부산시는 지난 2월 23일부터 오는 3월 11일까지 ‘부산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에 참여할 청년을 추가 모집한다. 추가로 모집하는 인원은 850여 명이다. ‘부산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은 지역 청년 고용기업에 인건비를 2년간 최대 4천800만 원, 창업 청년... -
‘부산청년학교 청년학과’ 운영자 모십니다!
지민겸 2022-02-21
부산시가 2022년 부산청년학교 청년학과를 운영할 민간단체를 오는 3월 7일부터 3월 13일까지 모집한다.부산청년학교 청년학과는 청년단체(기업‧법인) 등 민간단체가 학과운영자가 되어 지역 청년에게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민간단체가 가진 다양한 경험과 전문역량... -
제1만덕터널‧대티터널 야간 통제합니다
차세린 2022-02-21
부산시는 제1만덕터널과 대티터널에 대해 2월 23일부터 25일까지 터널 조명 설치와 조명등 교체를 위해 야간 교통통제를 실시한다.23일은 제1만덕터널 상‧하행선 전체 차로, 24일은 대티터널 상행선(서대신동→괴정동) 1개 차로, 25일(괴정동→서대신동)은 하행선 1개 ... -
낙동강 하굿둑 35년 만에 빗장 풀렸다
조민제 2022-02-18
강과 바다를 갈라놓았던 낙동강 하굿둑의 빗장이 풀렸다. 낙동강 하굿둑이 2월 18일부터 상시 개방됐다. 1987년 하굿둑을 건설한 지 35년 만이다.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지난 2월 10일 ‘낙동강 하구 기수(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수역) 생태계 복원방안’을 의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