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202420호 전체기사보기

심리지원·자살 예방 … 시민 마음건강 지킨다

시의회, 정신응급진료체계 구축 자살예방 조례 등 정비
부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 등 다양한 무료 서비스 제공

내용

보건복지부가 5년마다 실시하는 정신건강실태조사(2021년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중 정신질환을 앓았던 비율이 전체 인구의 27.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민의 정신과 마음을 지키기 위해 부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의회가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다.


부산시의회는 제325회 정례회 기간 동안 시민 정신과 마음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관련 조례를 정비한다.


복지환경위원회 이준호 의원은 `부산광역시립정신병원 설치 및 운영 조례' 일부개정안을 발의했다. 부산시립정신병원의 24시간 정신응급체계 가동과 부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관장하는 정신건강증진사업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개정안에는 `24시간 정신응급체계 및 정신건강사업 등과의 협력체계 구축' `수탁자의 의무' 등을 담았다.


자살을 막기 위한 `부산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조례'도 개정한다. 복지환경위 박희용 의원이 발의한 개정안은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및 시행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홍보 및 교육 △자살위험자와 자살시도자에 대한 심리상담 및 지원 △자살예방센터 설치 및 위탁 운영 △자살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협력망 구축 등을 담고 있다.


15-2
△부산시와 부산시의회가 시민의 정신·마음건강을 챙기기 위해 다양한 사업과 조례를 만들어 추진한다(사진은 지난 10월 8일 부산시민공원 다솜마당에서 열린 `2024 함께하는 마음건강 부산' 기념식 모습).


`부산광역시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등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 개정안도 마련한다. 복지환경위 문영미 의원이 발의한 조례는 △정신건강 문제 예방을 위한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개인 및 집단 맞춤형 심리검사와 상담, 교육 강화 △유관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및 위기 대응 강화 등으로 구성했다.


15-3
△사진은 지난 10월 8일 부산시민공원 다솜마당에서 열린 `2024 함께하는 마음건강 부산' 행사의 일환으로 열린 요가 프로그램.


부산시는 지난 2010년부터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센터를 포함해 구군별 16개, 모두 17개 기관이 운영중이다. 우울증·불안감·불면증 등 정신건강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산시민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지난 2022년 3월부터는 동네의원을 통해서도 정신건강을 진단받을 수 있는 마음건강돌봄연계 시범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1차 의료기관이 환자를 진료하면서 우울증, 자살 위험성이 의심되는 환자를 발견하면 의사 상담 또는 선별프로그램을 통해 정신건강 위험군을 선별하고 지역의 정신의료기관이나 정신건강복지센터로 연계하는 방식이다. 현재 부산지역 비정신과 1차 의료기관 198곳이 참여하고 있다. 환자는 사업기간 동안 비용부담 없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부산시는 이 같은 예방·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편,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펼친다. 매년 10월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의 날 기념행사를 열고 있다, 올해는 지난 10월 8∼9일 부산시민공원 다솜마당에서 `2024 함께하는 마음건강 부산'을 개최했다.


◎부산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주소:부산시 남구 수영로 299

  문의:051-242-2575

  홈페이지:www.busaninmaum.com

작성자
조현경
작성일자
2024-12-04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202420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